홍성용(130)
-
01 지방자치제의 중심에는 건축이 있어야 2018.05
건축담론 편집국장 주 건축담론을 시작합니다. 매달 다양한 건축계 필진들을 모시고, 우리 건축계가 고민하고 있는 여러 주제들을 논하려고 합니다. 우리 환경은 4차 산업 혁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뿐만 아니라 초개인화 되는 개인 경제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국가적으로는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세계 유래가 없이 전개되고, 도시재생이라는 이슈가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의 국가 정책 전면에 등장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건축계가 주도적으로 새로운 시선과 방향을 제시해야 할 때입니다. 월간 건축사는 국내 유일의 건축사 발행지로 책임감을 가지고, 건축담론 코너를 시작하려 합니다. 지면특성상 매월 각기 다른 주제로 약 1~2편의 글이 실릴 예정입니다. 너무 무겁지 않게, 하지만 의미는 강하게 나아가겠습니다. 589호 첫..
2022.12.01 -
용산 개조는 서울의 아시아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전제다 2022.11
Yongsan redevelopment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Seoul to secure competitiveness as an Asian city 도시에서 건축은 나 홀로 잘나서는 안 된다. 당장 이웃한 건축과 어우러질 고민을 해야 하고, 더 나아가 지역과 장소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 그런 고민이 확장되면 도시에 대한 시각도 갖게 된다. 현대 건축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수많은 건축사들은 도시에 대한 고민과 방향을 제시했다. 르 꼬르뷔지에나 루이스 칸, 오스카 니마이어 등 수많은 이들이 도시와 건축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왔다. 그런데 매우 아쉽게도 우리나라는 급성장을 통해 도시가 만들어진 경우가 있었음에도 건축사들의 참여는 눈에 잘 띄지 않..
2022.11.11 -
건축설계는 제조·유통업이 아닌 창의적 지식산업이다 2022.10
Architectural design is a creative knowledge industry, not a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industry 경영의 구루(guru, 전문가 혹은 권위자) 피터 드러커는 ‘기존 노동에 기반한 제조업에서 지식에 기반한 생산성 혁신으로의 이동’을 21세기 지식산업으로 정의했다. 그는 정보화, IT의 급격한 진보에 따른 생산성 극대화에 주목했다. 생산성 극대화는 직접 노동 생산성 극대화뿐만 아니라 부가된 새로운 기능 개선을 요구했다. 지식사회, 지식산업은 좀 더 확장되며 오늘날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고 있다. 사회의 변화는 당연히 새로운 산업군을 만들어 냈고 관련 법 역시 정비되었다. 국내 산업 관련 법령의 정의를 보면, ‘지식산업’이..
2022.11.04 -
WYM 아카이브 사옥 리노베이션 2022.10
Silhouette of connection 관계의 형태 / Silhouette of connection 1. 시간의 축적 : 클라이언트와 관계 1998년 패션디자이너 우영미 씨와 도산공원 앞 공사 중이던 사옥 자문으로 만났다. 패션회사 사옥으로 건축 외관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자문을 구했었다. 원설계는 철저한 경제성에 입각한 구성이라, 디자인이 없었다. 그렇게 인연이 시작되면서 건축 외관을 디자인해 주었다. 그 뒤로 2012년 은퇴하고 여행을 떠나기 전까지 우영미 씨의 패션 브랜드 매장 전체를 디자인했다. 매해 토론하고 매장 인테리어의 방향을 설정하고, 콘셉트를 정하면서 연단위로 바꿔나갔다. 패션 브랜드는 언제나 새로워야 하는 운명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매장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공간 경..
202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