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7월호(28)
-
설계도면 표준화·모듈러 건축…“BIM의 시대? 이미 왔다”_권순욱 교수
도입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됐던 건설정보모델링(BIM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이 어느새 성큼 다양한 분야에 진입했다. 영국, 싱가포르,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공공사업 시 BIM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18년 국토교통부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마련한 후 공공사업에 BIM을 단계적으로 도입해왔다. 대부분의 발주기관들은 오는 2025년까지 공공사업에 BIM을 전면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및 미래도시융합공학과 교수이자 국제건설자동화학회의 종신 상임이사인 권순욱 교수는 ‘스마트 건설 관리’ 연구자이자 국내외에서 활동 중인 CM, BIM의 권위자다. 관련 분야의 책 8권과 100편 이상의 논..
2023.01.17 -
“BIM, 소규모 건축사사무소에도 잘 맞는다!”_이재환 대표
“BIM, Fits well with small and medium-sized architect offices!” 코로나19 이후 건축사업계 비대면 작업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스마트건설 플랫폼 기술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건설정보모델링) 활성화에 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공공분야 BIM 기술의 성숙도를 4단계(레벨1∼4)로 봤을 때, 우리나라의 평가치는 ‘레벨1’ 초보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진단을 냈다. 이미 ‘레벨3’ 수준에 진입한 영국 등 선진국보다 뒤처져 있다는 분석인데, 이는 2D 환경을 기반으로 설계 또는 시공업무에 대해 제한적으로 BIM을 적용하면서, 일정 규모 이상의 설계BIM만 의무화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BI..
2023.01.17 -
[건축비평] 건축의 정체성, 장소의 정체성 2020.7
Architecture Criticism Architecture Identity, Place Identity ‘건축’은 창작물이다. 그런 이유로 창작가의 미학적 관점이 드러날 수밖에 없다. 반면 ‘건물’은 소유자의 것이다. 자신의 요구가 반영되지 못하면 진행이 어렵다. 건물엔 소유자의 생각이 드러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건축은 건물과 충돌한다. 협상이 필요하다. 건축의 창작가인 ‘건축사’와 건물의 ‘소유자’는 수많은 논의 끝에 합의를 이끌어 성과를 만들어낸다. 결과가 나쁜(?) 경우를 보면 대체로 건축사와 소유자 간에 갈등이 첨예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결과가 매력적일 때는 건축사와 소유자 간에 합의가 잘 이뤄졌을 경우인데, 대체로 전문가인 건축사 의견을 따를 때 좋은 성과로 이어진다. 물론 귀를 닫은 ..
2023.01.17 -
카멜레_존 2020.7
Chamele_zone Chapter1. Identity - 상수역을 중심으로 확장해 가는 상업 街路의 정체성 분석 카멜레존(Chamele_zone)은 젊은 기업의 사옥겸 쇼룸이다. 온라인에 기반을 둔 이회사의 성장세는 가늠하기가 어려웠다. 실제로 설계도중 인접부지를 추가로 매입하였고, 준공할 때쯤은 늘어난 직원들 때문에 사무공간을 더 확장해야 하는 지경이었다. 이 변화무쌍한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설계자는 당혹스러웠고, 특히 쇼룸은 다양한 제품과 시시각각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그런 공간을 설계 해야 했다. 홍대부도심의 확장선상에 놓인 상수역 주변거리는 아직 그 성격이 애매모호 하여, 상수역을 중심으로 서측지역은 당인리 발전소의 공원화 계획과 함께 상업화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본 부지가 위치한 ..
2023.01.17 -
능동 작은집 2020.7
Neungdong Small House 대지 집을 짓는다는 것은 처음 계획부터 매우 예민하고 섬세해야만 하는 작업이다. 신혼부부의 첫 주택이자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집이기에, 대지의 선택부터 매우 신중해야만 했다. 단독주택에서 대부분의 삶을 보낸 여자와 아파트에서 나고 자란 남자는 데이트를 핑계 삼아 신혼 기간의 대부분을 대지를 찾기 위해 서울 전역을 돌아다니며 보냈다. 아파트 전세금 정도의 예산을 가지고 마음에 드는 대지를 찾는 것은 쉽지 않았지만, 몇 년간의 발품의 노력으로 지금의 동네를 찾게 되었다. 대지 맥락과 조건 6m도로를 중심으로 남측에는 어린이 대공원 담을 마주하고 있고, 주변은 주택들이 많은 조용하고 한적한 동네이다. 남측의 도로는 어린이 대공원의 후문과 북문을 연결하는 보행로의 역할을..
2023.01.17 -
시흥 당근집 2020.7
Si Heung DangGeun jip “100% 임대세대로 채우려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100% 임대를 위한 집으로 지을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성능과 최대 임대면적, 동시다발적으로 지어지는 택지개발지구에서 다소 튀는 차별적 디자인이면서도 질리지 않을 디자인 정도면 된다고 했다. 이렇다보니 합법의 범위 안에서 최대 임대면적이 클라이언트의 최대 관심사였고, 대지는 택지개발지구 상가주택용지이기 때문에, 집은 지구단위계획과 현행법령에 따라 기본적인 집의 용량과 형태가 정해졌다. 기본 볼륨이 나온 후 주거와 상가의 구성과 평면, 파사드 디자인이 진행되었고, 진행과정에서는 의뢰인의 생활 방식이나 습관, 취미 등 일반적으로 거주를 위한 주택을 설계하는 데 집중하는 이야기보다, 불특정 임대인을 위한 보편적으로 편..
202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