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월호(26)
-
광주 운림동 추사채 2021.10
Gwangju Chusajae 광주광역시 소재의 한 대학교에서 치의학 분야 법의학자로 재직했던 건축주는 퇴임을 앞두고 대학 인근에 집을 짓고자 하였다. 오랜 세월 서울에 가족을 두고 주말에 귀경하는 일을 반복해왔는데, 퇴임을 앞두고 객지인 광주에 집을 짓는 일은 이례적이다. 건축주는 학교 민주화를 포함해 법의학자로서 다양한 형식의 사회적 활동에 헌신해왔다. 집을 짓고자 하는 건축주의 핵심 의제는 단연 ‘자연과 책’이다. 건축주는 무등산 자락에 오랫동안 눈여겨봐두었던 곳에 부지를 마련했다. 무등산(無等山)은 ‘등급을 매길 수 없는’이란 뜻으로 규모와 높이, 지형과 식생의 넉넉함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분야를 넘나드는 다독가인 그가 보유한 2만 3,000권에 이르는 책을 공유하는 것도 집을 짓는 중요한 이유였..
2023.02.10 -
인왕3분초-숲속쉼터 2021.10
Inwang Guard Post Forest Retreat 서울의 정체성은 산과 한강이 이루는 특성에서 비롯된다. 인왕산은 수려한 모습과 더불어 사이사이 작은 계곡마다 오랜 거주지와 연결된 삶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우리는 인왕산과 조선시대 중인들의 거주지였던 서촌에 존재했던 위항문학에 주목했다. 위항문학은 지역을 거점으로 한다는 점에서 역사와 장소적 의미가 결합된 문화적 산물이자, 계급사회 신분의 속박 속에서도 지식인으로 성장한 중인들이 만들어낸 역설이다. 1968년 1.21사태 이후 북악산과 인왕산에 30여 개의 군 초소가 들어서면서 오랫동안 시민들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점차 그 수를 줄여오다가, 2018년 현 정부가 한양도성 성벽에 설치된 20개 경계초소 중 18개를 철거하고 2개소는 훼철과 복원의..
2023.02.10 -
메리모나크 마리나클럽 풀빌라 2021.10
MERRY MONARCH MARINA CLUB POOL VILLA 고성은 옛 지명 칠성이 의미하듯이 단단한 성곽으로 둘러싸인 요새와 같이 견고하고 안락한 지역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수태산, 금정산, 거류산, 백방산, 봉화산 등에 에워싸여 있고, 남쪽으로 개방된 바다는 리아스식 해안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사이트가 접한 당항포는 창포와 내산 사이의 좁은 해안 안에 위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있고, 당항만은 남서쪽으로 깊이 만입한 내만의 안쪽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남해안 일대의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하여 외양이 파도를 막아주므로, 평균 파고 또한 0.5미터 이하로 잔잔하고 수심이 깊어 예로부터 소소강이라 불릴 만큼 호수같이 잔잔한 바다로 유명하다. 사이트는 서쪽으로 당항포 국민관광단지, 북쪽으로는 노벨..
2023.02.10 -
아우름725 2021.10
Aurum725 다세대주택 공동주택을 대표하는 아파트를 뒤로하고 일상골목에서 제일 많이 접하는 주거건축이 다세대주택일 것이다. 또한 다세대주택은 서민의 대표적인 주거형태이면서 1인 가구를 담아내고 있는 건축물이기도 하다. 1980년대에 지어진 붉은 벽돌 형태의 주택과 화강석 위주로 마감된 소위 집장사 빌라들이 우리 도시를 차지하고 있기에 다세대주택은 그리 주목받지 않는 건축물이다. 오히려, 부동산개발이나 투자에 초점을 맞춘 수익형 부동산으로 더 친숙한 건축이다. 주거문화의 변화 2000년대 이후로 다세대주택이 변하고 있다. 수익형 부동산이라는 투자적인 접근과 디자인이라는 가치가 결합되어 새로운 트렌드 바람이 불면서, 다양하고 독특한 다세대주택들이 등장하고 있다. 천편일률적이고 무색무취의 기존 집장사 빌라..
2023.02.10 -
창신제2동 마을회관 2021.10
Changsin 2-dong Village Hall 창신2동마을회관은 동대문역 한양도성박물관이 위치한 서울한양도성 성곽 근처에 인접한다.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 가쁜 숨을 쉬어가기 좋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애초의 계획은 창신2동 주민센터 내의 자치회관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기존 1층의 마을회관을 2층으로 증축하여 부족한 공간을 확보할 예정이었다. 기존 건물 노후화에 따른 슬라브와 보, 벽체의 보강, 내진설계를 반영하고 전기설비와 기계설비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므로, 증축할 경우 공공건축물 표준 공사비 예산 외에도 구조보강 공사비가 예산의 50% 추가로 필요했다. 이에 공사비 증가 사유를 구청장에게 보고하고 증축의 경우와 신축의 경우를 비교 검토하여, 전체 소요예산이 비슷할 경우 건물의 물리적 수명과 기..
2023.02.10 -
오조리-빌레꼿 2021.10
ville.cot 오조리 빌레꼿은 성산일출봉으로 가는 길목에서 한편으로 빠져있는 장소에 위치해 있다. 바람이 많아 파도가 거친 제주의 다른 해변과 달리 ‘만’ 형태의 바다에 접해 있기에 파도가 거의 없이 잔잔했다. 거센 파도가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낯선 제주 바다와 360여 개의 오름이 있는 제주도라는 육지의 경계에서 어떤 제스처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풀어내야 하는 작업이었다. 바다 쪽으로 펼쳐진 식산봉과 일출봉, 그리고 바다 반대편으로 펼쳐진 한라산 전경은 물성만 다를 뿐, 이곳에 어떤 공간이 펼쳐져야 하는지에 대한 형태적 실마리를 제공해 주었다. 건축주는 부모님을 모시고 함께 살기로 결정했지만, 본인 가족의 독립된 생활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의 주거공간에서 보이는..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