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4월호(24)
-
충남과학교육원 2021.4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Institute of Science Science Curve_사이언스 커브 : 과학과 자연의 곡선을 연결하다 지역과학의 활성화와 전시 및 체험기능을 하는 사이언스 커브는 각각의 영역이 융합되어 과학, 전시, 체험의 다양성을 만들어낸다. Link with Science Curve_과학의 선형을 연결하다 - 과학 + (전시 / 자연 / 교육 / 체험) 다양성을 융합하는 방법으로서 수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인 DNA 세포의 형태를 모티브로 나선형의 매스를 형성하고 교육과 전시의 영역을 연결시킨다. 과학과 자연의 형태를 담은 새로운 과학관의 선형을 그리다 자연의 선형과 과학의 상징적인 형태 및 패턴을 과학교육원에 담아내어, 과학의 정보를 공유하며 교류하..
2023.02.02 -
앤텔로프 캐니언 2021.4
Antelope Canyon 미국 애리조나 주에 있는 서부 5대 캐니언 중 하나로서, 사암 고원의 틈 사이로 빗물이 스며들면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길이 8킬로미터에 이르는 긴 협곡이다. 그 모양이 다채롭고 신기한 형상이 많으며, 특히 빛과 어우러진 사암에 남겨진 물의 흐름 잔상이 매우 다채롭다. 사진작가들은 이곳을 ‘눈과 마음, 영혼에 축복을 내리는 곳’이라고 말한다. 이곳에서는 빛과 색깔, 형태가 어우러져 시시각각 변화하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위쪽은 진한 주황색과 노란색으로 빛나지만 아래쪽으로 갈수록 빛이 약해지면서 어두운 푸른색과 보라색으로 변한다. 빛과 색의 대조와 협곡의 벽에 비춰지는 빛의 효과는 영혼의 깊은 내면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글. 정원규 Jeong, Wonkyu 창대..
2023.02.02 -
용어@건축 04유리 2021.4
Term@Architecture 04 Glass architectural terms 건축용어 우리나라 건축용어 중에는 왜 그렇게 표현하는지 어원을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 연재에서는 필자가 이해하기 어려웠거나 호기심이 크게 생겼던 표현들을 소개하고, 그 어원과 출처를 추적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과 함께 보다 적절한 표현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계기를 갖고자 합니다. 신라의 유리병 경주 고분 중에 가장 큰 황남대총에서는 남분과 북분을 합쳐 6만여 점의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6만여 점 유물 하나하나가 중요한 의미를 갖겠지만, 나의 흥미를 끈 것은 유리병이다. 유리는 4000여 년 전쯤 만들어져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에서는 페니키아 상인들이 식사를 준비하던 중 소다 덩어리가 녹아..
2023.02.02 -
북한건축 워치 02Ⅱ 북한의 건축설계 2021.4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2 Ⅱ Architectural Design in North Korea 북한의 건축설계(2) 3. 설계연구소의 조직 국내의 건축사사무소 대부분은 건축설계 외에 구조, 토목, 전기, 기계, 조경 및 내역서 작성은 외주를 주어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측량 및 지질조사 등을 직접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북한의 도시설계연구소는 건축설계만이 아니라, 건축설계와 관련된 업무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구조이다. 건축설계 외에, 구조, 토목, 기계, 전기설계, 내역서 작성 그리고 측량과 지질조사부서도 설계연구소 내에 있다. 북한의 설계연구소는 대체로 ①건축설계실, ②표준설계실, ③혁명사적설계실, ④시설설계실, ⑤지질실, ⑥도시계획설계실, ⑦측량실..
2023.02.02 -
바퀴 달린 집, Nomad Vs Diaspora 2021.4
House on Wheels, Nomad Vs Diaspora 기독교 영화라고 할 수 있는 를 보면 수많은 유대인이 고대 이집트에서 살아가는 모습이 나온다. 이들은 고향을 뒤로 하고 이집트의 노예로 끌려와 수많은 인구를 형성하면서 각종 노역에 동원된다.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말은 그리스어에서 유래가 된 단어로, 원래는 ‘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말은 고대 이스라엘민족이 바빌로니아나 로마제국에 의해 해외로 흩어진 현상을 언급하면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어느 문화, 어느 나라의 역사 속에서도 존재했던 현상이다. 강한 정복욕과 지배력을 가진 민족이 존재했고, 그런 왕조들이 있었다. 이들은 가장 효율적이고 빠르게 점령지를 운영하기 위한 전략을 폈다. 새로 만들기보다..
2023.02.02 -
누드와 장식 2021.4
Nude & Decoration 사진작가 로버트 메이플소프의 전시가 국제갤러리에서 개최되어 가 보았다. 메이플소프의 작품을 알게 된 건 1990년대 초반인데, 당시 그의 작품이 한국에서 출판되거나 전시되는 건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그는 남성 누드, 게이 섹슈얼리티, 사도마조히즘 같은 당시 사회적 통념에 반하는 주제를 다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메이플소프가 이런 주제의 사진을 발표한 시기는 1970~1980년대로 그의 전시는 미국에서도 논쟁이 끊이질 않았다. 메이플소프 자신도 그것을 분명히 의식했을 것이다. 그런 의식은 분명히 표현에 영향을 준다. 내가 이번 전시에서 본 것은 바로 그런 면이다. 그는 남들이 보기 역겨워 할지도 모르는 사진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느라 전전긍긍한..
202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