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8)
-
또 하나의 감옥 2019.1
Another prison 2018년 12월 11일 대전예술의전당에서 ‘윤동주의 시에 의한 4 개의 노래(이영 조 작곡)’가 공연됐다. 베이스 전승현 교수가 노래하고, 김정열 지휘로 대전챔버오 케스트라가 연주하는 공연이였다. 같은해 9월 어느 토요일, 서울에 갔었다. 상명대학교에서 볼 일을 보고, 안국동까 지 걸어서 넘어왔다. 자하문을 지나자 마자 오른편에 윤동주 문학관이 눈에 들어 왔다. 문학관은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시실은 시인과 관련된 기록물들 이 전시되어 있는 평범한 전시관이다. 제2전시관은 위로는 하늘이 열려있지만 사 방이 높은 벽으로 막혀 있다. 청운수도 가압장과 물탱크를 개조해서 만든 것이라 고 한다. 뒤쪽은 제3전시관이다. 천정까지 막혀있다. 밖으로 난 구멍으로 빛이 들 고..
2022.12.12 -
사이드를 아십니까? 2018.11
Do you know Side? 해군 근무 시절 이상한 용어를 접한 적이 있었다. 어느 날 저녁 휴식 시간에 고참이 “사이드 타고 올게”라고 말했다. 나는 처음 듣는 말이라 속으로 의아해 했다. 사이드 오토바이 를 타고 오겠다는 뜻인가 생각했고 고속 전투정 정박한 섬이 서해 격오지이기 때문에, 2 차 대전 시 독일군 두 명이 나란히 탔던 그런 오토바이가 아직도 있나 보다라고 생각했다. 고참은 두루마리 화장지를 챙겨서 공동 침실에서 나갔다. 그 화장지로 오토바이 안장을 닦으려나 라고 더 생각했다. 잠시 후 나는 바람을 쐬고자 갑판 위를 서성이다가 이윽고 배 후미 쪽으로 무심코 다가 갔는데, 배 후미 어두컴컴한 곳에서 담배 연기 냄새가 났다. 무 슨 일인가 다가가 보니 고참이 후미 충돌방지판 위에서 큰일을 ..
2022.12.09 -
시공간 2018.10
Spacetime 우리는 다음에 만날 약속을 정할 때, 보통 시간과 장소를 함께 언급한다. 장소만 정해서도 만날 수 없고, 시간만 정해서도 만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칫하면 어느 대중가요처럼, ‘첫 눈 오는 날, 안동역 앞에서 만나자’고 약속하는 꼴이 되고 만다. 물론 노랫말을 더 들어보 면 그들도 처음부터 약속을 잘못한 것은 아니었다. 장소와 시간까지 서로 살뜰하게 주고 받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런데도 결국 그들은 만나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 아마 ‘첫눈 오는 날’이 문제였던 것 같 다. 약속장소는 비교적 구체적이었는데, 다소 낭만적인 정취를 자아내려고 그랬는지 약 속시간을 애매모호하게 처리한 것이 그들 비련의 씨앗이었다. ‘첫눈 오는 날’이라는 시간 은 상황에 따라서 상당히 유동적이 될 수 밖에..
2022.12.08 -
머리맡 2018.9
A Cozy Place 0. 나는 뒤척인다. 베개와 함께. 그것으로 되었다. 1. 책 따위를 만드는 일로 입에 풀칠하며 근 20년이다. 책을 만들수록 책과 멀어지는 것은 대형 횟집의 직원 식사가 주로 김치찌개나 매운 라면인 것과 비슷한 이치이지 싶다. 그런 중에도 내가 가끔 몰래 꺼내 보는 책이 하나 있다. 「건축가 없는 건축」. 아무 곳이나 펴도 상관없고, 거꾸로 읽어도 상관없으며, 사진 한 장만 오래 쳐다보다 책을 닫아도 전혀 서운 하지 않다. 이 책에 실린, 아프리카 기니의 장정 넷이 머리에 한 모서리씩 지붕을 이고 있 는 사진의 제목은 이다. 2. 군 제대와 동시에 지금까지 나는 월세 세입자이지만, 그 한참 전인 열 살부터 열세 살까지 나는 건물주였다. 뻔한 스토리이다. 서울 변두리 산골에서 자란..
2022.12.07 -
수재민 주택 2018.08
Shelter for the flood victims 나는 초등학교 4학년 때까지 ‘수재민 주택’에서 살았다. 서울 변두리 은평구(당시에는 서 대문구) 응암동 244-2번지가 우리 집 주소였다. 사실 이 집은 고모부의 소유였다. 고모부 는 고맙게도 이 수재민 주택을 무상으로 우리에게 빌려주셨다. ’수재민 주택’이 무엇을 의 미하는지도 모르는 채 나를 포함한 형제 5남매가 거기서 컸다. 할머니가 우리와 함께 사 셔서 모두 여덟 식구였다. 집은 넓지 않았고 허름했으나 터는 꽤 넓었다. 한 100평? 남동향으로 자리잡은 블럭벽돌 건물의 정면에는 툇마루가 있었다. 어느날 새벽에 깨어 그 툇마루에 앉아 해가 뜨는 걸 바 라봤다. 붉은 기운의 하늘이 서서히 밝아오는데 공기는 시원했다. 마당에는 우물이 있었 고 우물..
2022.12.06 -
사랑방과 동굴벽화 2018.07
Sarangbang and Cave painting 곰방대 쩐 내와 땀 냄새가 진동하고 천장에는 쥐오줌 얼룩이 번져가는 방. 윗목에 볏가마 가 쌓여있고 시절에 따라 수확한 곡식이 먼저 들어와 며칠씩 묵어가는 곳, 행랑채 대문에 딸린 방이기도 하고 광이기도 하던 곳, 문이 집 안과 집 밖으로도 나 있어 대문을 통하지 않고도 곧바로 외부로 이어지는 방. 마음먹기에 따라 방주인이 가족의 일원이 되기도 하 고 때로는 슬쩍 뒤로 빠져도 되는 그런 자유로운 방, 집안으로 난 문을 열면 앞마당이고 바로 안채인데 나는 열일곱 살 되던 해까지 안방에서 5인 남녀 가족공동체 일원으로 온갖 불편한 진실들을 다 끌어안고 뒹굴다가 사랑방으로 독립했다. 방주인이었던 할아버지가 돌아가셨기 때문이었다. 여름은 무덥고 겨울이면 밖의 ..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