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락방의 추억 2021.2

2023. 1. 31. 09:05아티클 | Article/에세이 | Essay

Memories of attic

 

다락방에 대한 경험은 누구에게나 다양하다. 어릴 때 다락방에서 체험했던 여러 가지 일이 있으므로 추억을 반추하면 그 재미가 쏠쏠하다. 
건축법에서 정의하는 다락은 지붕과 천장 사이 공간을 조성하여 물건을 저장·보관하는 공간이며,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으로서의 개념이 아니기에 그 다락의 높이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경사진 지붕 형태 아래에 천정에 있을 경우에는 평균 높이가 1.8미터 이하여야 하고, 지붕 형태가 평 슬라브일 경우는 1.5미터 이하일 경우에만 다락으로 인정된다. 기껏해야 1.5미터 높이기에 성인은 머리를 숙여가며 그곳을 드나들어야 한다. 이렇게, 다락은 공간개념과 높이 규정에서 그 의미가 일반 방과는 확연히 구분되기에 공간에서 느끼는 맛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다락은 수납공간으로서 그 기능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우리는 그곳을 한 격실의 개념으로 방(房)이라는 이름을 붙여 ‘다락방’이라고 흔히들 부르고 있고, 그 어감이 정겹기에 나도 ‘다락방’이라 부르고 싶다. 다락방은 대부분 부엌 상부 천정 속에 위치하고 있다. 왜냐하면 부엌이 가지는 특성상 천정고가 다른 방보다 높게끔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일러가 보급되기 전 지어진, 어릴 적 내가 살던 집의 부엌 천정 높이는 일반 방보다 높게 구성되었다. 아버지는 높은 천정 내부에 들보를 설치하고, 멍에와 장선을 배열한 후 널판을 깔아 한 층이 채 안 되는 반개 층 높이의 다락방을 조성하여 그곳에 여러 가지 물건을 저장·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우리 집 다락방은 안방에서 사다리식 내부 계단을 통해 올라가야만 했다. 그곳은 맛있는 것과 재미있는 물건들이 상당히 많이 보관된 곳이었으므로 정말 자주 오르락내리락했던 기억이 있다. 나는 지금도 그 생각을 하면 군침이 돌고 얼굴에는 함박웃음이 피어오른다. 그 공간은 부엌 조리 시간 외에도 건조했고, 특별히 난방을 하지 않아도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공간이었다. 어머니는 사계절 보관이 용이한 음식들을 그곳에 많이 저장하고 보관하였다. 다락방은 설날이나 추석 전 차례 음식을 준비하기 위하여 장을 보고 오신 어머니의 저장고였으며, 명절 후 남은 음식을 보관하는 장소였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라면·멸치·과일·음식료, 특히 호랑이보다도 더 무섭다는 곶감 등이 보관되었기에 나는 그곳을 수없이 오르락내리락했다. 아이들이 혼자 있을 때 다락방을 자주 드나들면 저장·보관한 음식이 당연히 축나므로, 어른들이 이런 말을 만들어 냈던 것 같다.

조정만 건축사가 직접 설계한 다락이 있는 건축물 드로잉. 서재의 상부에 꿈의 발전소이자 저장소라고 할 수 있는 다락방이 있다.


‘다락방에는 도깨비가 산다’ 


그래서 혼자 있을 때 아이들은 그 말이 무서워 선뜻 다락방에 오르지 못한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아이들이 조금 크다 보면, 다시 말해 성탄절 선물을 머리맡에 놓고 가는 이가 산타 할아버지가 아니고 자기 부모님이라는 것을 알 때쯤이면, 도깨비에 대한 무섬증은 봄날 눈 녹듯이 사라진다. 이후 다락방은 소년시절의 훌륭한 놀이터가 되어 여러 가지 재미있는 만화나 각종 잡지들을 그곳에서 읽고, 낮잠을 자기도 하면서 자라게 된다. 다락방은 이렇듯 아이들의 꿈의 저장소이자 세상에 대한 견문을 넓히는 중요한 장소로도 자리매김하게 된다.
 
나는 그곳에서 먹었던 맛있는 것 중 하나를 고르라면 ‘생라면’이라고 말하고 싶다. 빨간 봉지에 담아있던 고불고불한 라면(羅麵), 국수를 마치 젓가락에 감아 삶고 햇볕에 말려 놓은 것 같은 라면에 나는 어릴 적 얼마나 열광했던가. 진정 국민 간식이 된 라면. 나는 지금도 애용하는 아주 훌륭한 음식이다. 어머니는 장에서 라면을 한 박스 사다 놓으시고 필요할 때마다 맛있게 끓여 주셨다. 라면요리는 계란의 독특한 향취와 더불어 아주 훌륭한 한 끼를 제공했다. 어릴 적 나는 다락방에 몰래 올라가 ‘끓여 먹어서 맛있는 라면을 생으로 그냥 먹으면 또 어떤 맛일까’ 하는 호기심이 발동하여 봉지를 과감히 해체하고 라면을 우적우적 부셔서 먹었다. 누가 몰래 먹으면 더 맛있다 했던가. 입안에 라면을 넣고 어금니로 부셔 먹으면 나는 그 소리…… ‘와사삭’ 하며 라면은 부서지고, 입안에는 적당한 군침이 돈다. 그리고 저작(咀嚼)할 때 코끝으로 풍겨 나오는 생 라면의 독특한 고소함. 
나는 지금 이 글을 쓰는 시간에도 다락방에서 먹었던 그 생라면이 먹고 싶다. 
생라면을 맛있게 부셔먹으며 다락방에서 보았던, 수없이 보았던 만화책들과 무협지 그리고 ‘꼭 필요한 지식’을 망라한 월간지나 주간지 등……. 그 공간에서 보았던 많은 책들에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곳 다락방은 나의 어린 시절 꿈의 공장이요, 미래 설계의 발전소였다. 

그래서 다락방은 소중하다. 어린 시절이지만 때로는 은밀함과 나름대로의 프라이버시도 필요한 시기, 그 시기에 갈증을 해소해 주었던 다락방. 그래서 필자는 집 설계를 할 때에 늘 다락방을 설계한다. 꿈을 계발해 주고 발전시켜 주는 공간으로서의 다락방, 자라나는 소년·소녀들에게 소중한 경험을 제공해 주는 공간으로서의 다락방을 선물하고 싶은 것이다. 

 

 

 

글. 조정만 Cho, Jeongman (주)무영씨엠 건축사사무소

 

 

조정만 (주)무영씨엠 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건축사·작가

건축사이자 문학작가인 조정만은 남원 성원고, 건국대학교 건 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건설경영과정 금호MCA를 이수하였다. 천일건축, 금호그룹 종합설계실, 아키플랜에서 설 계, 감리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건축사를 취득한 후 강원청암 재, 동교주상헌, 고양농경문화박물관 등 다수의 작품을 하고 있 다. 2016년에는 한국수필에 '방패연 사랑'과 '아버지와 자전거' 로 등단하였다. 선함재건축을 7년 운영하였으며, 현재는 무영씨 엠건축 대표이사이자, 활발한 에세이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imatect@mooyoungcm.com

 

 

'아티클 | Article > 에세이 |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물의 활력소 ‘계단’ 2021.6  (0) 2023.02.06
불씨 2021.5  (0) 2023.02.03
이음과 맞춤 2020.11  (0) 2023.01.26
마당, 그 아름다움에 관하여 2020.10  (0) 2023.01.25
분위기를 짓습니다 2023.1  (0)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