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1487)
-
도시경관에 건축이 없다 2019.2
There is no architecture in urban landscape 일반인들과 대화에서 “우리나라 공동주택에 건축이 없다”라는 말을 하면 매우 의아해 한다. 아파트가 건축이 아니면 뭐냐고... 과연 그런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 건축 전공자들이 만나는 첫 번째 내용은 건축의 구성 3요소라는 비 트리비우스의 정의를 배운다. 기능, 구조, 그리고 미학. 이 세 가지 요소가 맞물 리고 조화를 만들어 내면서 소위 말해서 건축 명작을 탄생시킨다. 물론 그밖에 도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 이 세 가지 측면을 항상 분석과 관찰의 기준점으로 삼는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우리나라 도시들은 매우 불쌍하다. 왜냐면 세 가지 요소 모두 판단의 핵심 가치가 아니기 때문이 다. 어..
2022.12.15 -
« 도시 »란 무엇인가? 2019.2
건축담론 도시의 공동주택 Architecture Discussion Urban Apartment House 편집국장 註 건축 담론은 너무 무겁지 않게, 논문처럼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우리 건축계가 고민하고 있는, 또는 고민할 만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전개합니다. 다양 한 관점과 생각들을 소개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아주 추상적 주제부터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부분까지 다루려 합니다. 가벼운 이야기부터 무거운 논쟁의 소재도 담으려 합니다. 물론 한 두 편의 글이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거나 큰 힘을 발휘하지는 않겠지요. 그래도 우리는 생각의 기회를 한번 마련하고 싶었습니다. 가장 많은 건축사들이 보는 건축사지는 짧게라도 생각할 여지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모든 건축이 명작일 수 없지만, 철학이 바 탕이 되는 작품은..
2022.12.15 -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미래 도시 공동 주거의 방향 2019.2
건축담론 도시의 공동주택 Architecture Discussion Urban Apartment House 편집국장 註 건축 담론은 너무 무겁지 않게, 논문처럼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우리 건축계가 고민하고 있는, 또는 고민할 만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전개합니다. 다양 한 관점과 생각들을 소개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아주 추상적 주제부터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부분까지 다루려 합니다. 가벼운 이야기부터 무거운 논쟁의 소재도 담으려 합니다. 물론 한 두 편의 글이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거나 큰 힘을 발휘하지는 않겠지요. 그래도 우리는 생각의 기회를 한번 마련하고 싶었습니다. 가장 많은 건축사들이 보는 건축사지는 짧게라도 생각할 여지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모든 건축이 명작일 수 없지만, 철학이 바 탕이 되는 작품은..
2022.12.15 -
아파트와 건축담론2019.2
건축담론 도시의 공동주택 Architecture Discussion Urban Apartment House 편집국장 註 건축 담론은 너무 무겁지 않게, 논문처럼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우리 건축계가 고민하고 있는, 또는 고민할 만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전개합니다. 다양 한 관점과 생각들을 소개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아주 추상적 주제부터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부분까지 다루려 합니다. 가벼운 이야기부터 무거운 논쟁의 소재도 담으려 합니다. 물론 한 두 편의 글이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거나 큰 힘을 발휘하지는 않겠지요. 그래도 우리는 생각의 기회를 한번 마련하고 싶었습니다. 가장 많은 건축사들이 보는 건축사지는 짧게라도 생각할 여지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모든 건축이 명작일 수 없지만, 철학이 바 탕이 되는 작품은..
2022.12.14 -
[건축비평] 부메랑 곤지암의 단독주택 2019.2
Architectural criticism _ Chalet Boomerang A Detached House in Gonjiam 나는 오랫동안 한국의 목조건축을 심사해왔으나 그 중에 지금도 확실하게 기억 에 남는 몇 작품이 있다. 얼마전 곤지암에서 만난 목조 단독주택 ‘부메랑’이 그 중 하나이다. 동서고금에 있어 주거란 ‘가족생활’을 행하는 장소라 할 수 있다. ‘가정(家庭)’은 집(家)과 뜰(庭)이라는 2개의 글자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생활(生活)이란 한자 를 그대로 풀어보면 ‘생생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주거란 ‘집과 뜰에서 생생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독일의 철학자 Martin Heidegger(1889-1976)는 ‘주거란 로서 인간의 중심이 위치한 장소’와 같은 의미적 언어라 할 수 ..
2022.12.14 -
온-건축, 모두의 건축 ;누구나 좋은 공간을 누릴 권리가 있다 2019.2
ON-ARCHITECTURE, ARCHITECTURE FOR ALL ; Everyone deserves to have a good space “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진리는 과거의 좋은 공간은 지금도 좋은 공간이고 지금의 좋은 공간은 미래에도 좋은 공간이라는 것이다. 공간의 기능은 바뀌어도 공간이 가진 감성은 변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 ■ 전시장소 : CK아트홀 갤러리(CK치과병원 12층)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173 ■ 주최·주관 : (주)온 건축사사무소 ■ 기획 : 에뜰리에(E'telier) ■ AR 협력 : 김도윤(ARworks, 울산대학교 겸임교수) ■ 사진 : 윤준환 은 (주)온 건축사사무소의 작품과 건축 개념을 통해 건축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그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마..
202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