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Education(29)
-
산본도서관 증축 및 리모델링 공사 2023.7
Expansion and remodeling of Sanbon Library 군포시 산본도서관은 1994년 준공된 건물로 1기 신도시 중 하나인 산본신도시가 개발될 때 LH가 지어서 기부채납한 도서관이다. 산본신도시의 중심거점이 되는 중앙공원 한쪽 모퉁이에 자리 잡고 있어 접근성이 좋은 덕분에, 별도의 중앙도서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포시에 있는 6개 도서관 중 이용률이 가장 높으며, 그만큼 밀도가 높고 늘 이용자로 인해 복잡한 상황이었다. 더군다나 구조적 이유로 1층에만 서가가 있고 2층은 학습열람실로만 쓰이고 있어 제대로 된 도서관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도서관에서는 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민들이 쾌적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타당성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증축 및 리모델링이..
2023.07.24 -
회원첫작품_상지대학교 정문 조형물 2023.6
Sangji University Main Gate Sculpture 상지대학교 정문 조형물 상지대학교 정문 조형물은 2006년 대한민국의 건축사와 조형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한 설계공모에 출품해 당선된 작품이다. 학생, 교직원, 교수 등 학교의 모든 관계자가 심사에 참여해 민주적이고 열려있는 방식으로 당선작을 선정했다. 작품은 본관 로비에 전시해 선호하는 작품에 스티커를 붙여 작품에 대한 호응도를 점수로 환산하고 기능, 구조, 디자인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2차 평가를 종합해 당선작을 선정했다. 그와 같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 방식으로 진행하겠다는 학교의 통보가 크나큰 지원군이 되었다. 이런 요인에 기인해 여타의 불필요한 생각을 배제하고 오직 교육적 순수한 개념 추출에 몰입할 수 있었고, 그 바탕에..
2023.06.22 -
서대문구 육아복합지원센터 / 가재울 어린이집 2021.11
GAJAEUL Kindergarten 이 세상에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축복이다. 따라서, 기성세대는 새롭게 태어난 생명에게는 무엇이든 다 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겨난다. ‘새로이 세상을 경험하는 영·유아기의 아이들에게 어떤 공간이 가장 좋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이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큰 주제가 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인간은 오랜 수렵생활과 농경생활을 통하여 자연과 친숙한 존재로 DNA가 발달해 왔다. 도시생활에 적응해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도 내재된 근원으로서, 자연에 대한 경험은 필수적 생활 요소가 된다. 새로이 태어난 영·유아기 어린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체 경험인 자연과의 상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 이 프로젝트의 근원적 개념이다. 다행히 사이트는 한 면을 도시가로에 접하고 있고, 반대측 ..
2023.02.13 -
메리모나크 마리나클럽 풀빌라 2021.10
MERRY MONARCH MARINA CLUB POOL VILLA 고성은 옛 지명 칠성이 의미하듯이 단단한 성곽으로 둘러싸인 요새와 같이 견고하고 안락한 지역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수태산, 금정산, 거류산, 백방산, 봉화산 등에 에워싸여 있고, 남쪽으로 개방된 바다는 리아스식 해안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사이트가 접한 당항포는 창포와 내산 사이의 좁은 해안 안에 위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있고, 당항만은 남서쪽으로 깊이 만입한 내만의 안쪽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남해안 일대의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하여 외양이 파도를 막아주므로, 평균 파고 또한 0.5미터 이하로 잔잔하고 수심이 깊어 예로부터 소소강이라 불릴 만큼 호수같이 잔잔한 바다로 유명하다. 사이트는 서쪽으로 당항포 국민관광단지, 북쪽으로는 노벨..
2023.02.10 -
함안 지역아동센터 2021.9
Haman Local Children’s Center 함안의 지역아동센터가 만들어질 대지는 주변이 잘 정돈된 단지 안에 위치하고 있어 사방으로 나무와 정원 같은 녹지를 접하고 있다. 특히나 한쪽으로는 주민들이 매일 사용하는, 탁 트인, 커다란 운동장을 마주하고 있다. 이 운동장은 나무로 둘러싸여 있고, 바닥에는 잔디가 있어 아이들을 포함한 지역주민들이 일상에서 운동이나 산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지역아동센터의 계획도 이 운동장을 포함한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지역아동센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을 통해 운동장을 포함한 외부공간과 관계를 만든다. 첫 번째는 1층 바닥 레벨을 운동장보다 높이는 것이다. 이로써 아이들은 좀 더 높은 눈높이에서 운동장을 ..
2023.02.09 -
청송 지역아동센터 2021.6
Cheongsong Local Children’s Center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의 소외된 ‘아이’들을 위한 공간이다. 대상이 되는 아이들에게 아동센터는 학교를 마친 후에 갈 수 있는, 지역에서 거의 유일한 놀이공간이자 보호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에서 이 공간은 어떤 시설보다 더 주민들에게 관심받아야 하고, 더 좋아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지역아동센터는 지역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고, 서로 단절되어 있다. 아동센터라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 지역의 어떤 아이들이 아동센터에 있는지, 그 아이들이 그곳에서 무엇을 하며 지내는지 지역 구성원들은 잘 알지 못한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지역아동센터는 아이들에게 충분한 자극과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있지 못하다. 대부분은 물리적 공간만을..
2023.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