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Education(29)
-
하이덴하인코리아 안양연구소 2021.4
HEIDENHAIN KOREA RESEARCH INSTITUTE ‘받침’이 되는 디자인 매개체 ‘SUPPORT : ER’ 하이덴하인코리아 주식회사는 교통의 요지가 되는 안양시의 중심부로 안양시청이 있는 중심상업지역과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전면 10미터 도로와 측면 9미터 도로 교차로 코너에 면하여 건물의 파사드에 대한 인지성이 매우 뛰어나며, 남서쪽으로 열린 부지 형상으로 인해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공간과 디자인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건물의 파사드는 내·외부 공간의 주장이 명확하다. 일명 전면의 빵빵이 창들은 정확하면서도 확실하게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 투영하고 있다. 이는 ‘맞춤형 솔루션’이라는 슬로건으로 제품을 찾는 고객에게 정확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하이덴하인코리아의 신뢰를 기반(基盤)으로 한..
2023.02.02 -
충남과학교육원 2021.4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Institute of Science Science Curve_사이언스 커브 : 과학과 자연의 곡선을 연결하다 지역과학의 활성화와 전시 및 체험기능을 하는 사이언스 커브는 각각의 영역이 융합되어 과학, 전시, 체험의 다양성을 만들어낸다. Link with Science Curve_과학의 선형을 연결하다 - 과학 + (전시 / 자연 / 교육 / 체험) 다양성을 융합하는 방법으로서 수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인 DNA 세포의 형태를 모티브로 나선형의 매스를 형성하고 교육과 전시의 영역을 연결시킨다. 과학과 자연의 형태를 담은 새로운 과학관의 선형을 그리다 자연의 선형과 과학의 상징적인 형태 및 패턴을 과학교육원에 담아내어, 과학의 정보를 공유하며 교류하..
2023.02.02 -
영월 바이오 산업센터 2021.3
Yeongwol Bioindustry Center 동강의 사계절을 수놓다 영월은 강원도 내륙에 위치하며 서울과 가까워 관광지로 주목받는 곳이다. 영월바이오산업센터가 위치하는 동강생태공원은 동강의 생태환경과 자연경관을 경험할 수 있는 주요 관광지 중에 한 곳이다. 공원 내에는 박물관과 숙박시설로 이루어진 생태체험 건축물들이 위치하며, 공원 탐방로를 통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영월바이오산업센터는 공공(Public)공원 안에 위치하는 보안(security)시설이다. 대지가 갖는 지형을 활용하여 공공과의 경계를 구분 지었다. 5미터의 경사대지는 자연스럽게 공공을 위한 앞마당과 가운데 마당을 내주고, 사적인 연구공간은 뒷마당과 함께 보호된다. 연구자의 동선과 곤충의 사육조건은 동서로 기다란 매스를 만들었다...
2023.02.01 -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리노베이션 2021.1
Seoul Street Arts Creation Center Renovation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의 옛 이름은 구의취수장이다. 1972년 취수장을 시작으로 1984년에 관사를 만들면서 취수장은 4개동으로 운영되어졌다. 강북취수장을 만들면서 구의취수장은 2011년에 취수장의 운명을 다하고, 또 다른 행보를 모색하게 된다. 그리하여 2013년 서울문화재단 거리예술가들의 창작공간으로 재생(재해석)을 시작하게 된다. 광진구 워커힐 호텔 아래 한강변에 위치한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는 거리예술가들의 창작공간으로 창작기획, 활동, 연습, 사무, 창작물 작업 및 보관, 해외예술가 레지던시 등의 거리예술 창작 베이스캠프로 다양한 창작활동이 이뤄지는 공간이다. 설계 공모 당시 제안했었던 많은 아이디어는 사용자와 많은 소통의..
2023.01.30 -
남양주시 중앙도서관 2020.10
Namyangju public library 다산서가 정약용 도서관은 다산서가, 다산 신도시의 상징인 다산 정약용의 철학, 서재의 개념을 담은 도서관이다. 켜(Layer), 자연(Green), 기능(Function) 세 가지 개념으로 계획했다. 장식물은 최대한 억제하고 도서관이라는 기능에 충실하도록 형태를 구성했다. 개방형 도서관 기존 국내 도서관처럼 열람실과 자료실을 분리하는 방식이 아닌, 자료실 내에 자유로운 형태로 좌석을 배치해 자료실과 열람실의 기능을 조합했다. 즉 도서관의 목적이 책을 대여하는 공간에 그치지 않고 도서관 내에서 다양한 문화활동과 소모임 등을 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기존 도서관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서관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 스텝이라는 공공..
2023.01.25 -
화성시 시립 향남공원어린이집 2020.5
Hwaseong Hyangnam-Park Daycare Center 대지는 화성시 향남2지구 택지개발지구의 공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린이집을 건축하기에 비교적 여유로운 큰 땅이었다. 바로 근처에 아름다운 자연과 옥외놀이터가 있기 때문에 내부는 온전히 교사와 아이들의 생활공간으로 인식했다. 1층의 공용홀은 어린이집의 중심이며 모두의 공간이다. 2층과 시각적·공간적으로 연결되고, 동선의 중앙에 있어서 서로 만나고 소통을 유발하며, 동시에 강당으로 확장된다. 2층의 조망데크는 공원으로 열린 놀이공간이며, 놀이터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어, 어린이집과 외부공간의 매개공간이 된다. 어린이집의 내부를 구성하는데 있어 건축적으로 집중한 것은 공간의 켜를 만드는 것이었다. 시창을 통해 보육실에서 옆 보육실 내부와 상상의..
20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