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761)
-
테트리스하우스 2022.11
Tetris House 하나이면서 셋 건축주의 첫 번째 요구사항은 210제곱미터의 대지에 건폐율 60%를 최대한 활용하여 2층짜리 건물을 짓되, 세 가구가 살 수 있는 건물을 설계해 달라는 것이었다. 은퇴하신 부모님과 미혼인 아들, 자녀가 둘 있는 딸 부부, 그리고 임대 세대까지 이렇게 세 가구를 위한 공간을 설계하는 것이 우리들의 숙제였다. 보통 은퇴하신 부모님을 중심으로 3대가 모여 사는 집일 경우 하나의 주거 공간 속에서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며 가족들이 함께 살 공간들을 마련해 주는 것이 일반적인데, 율현동 주택 건축주의 경우 부모님과 딸 부부가 완전히 분리된 세대가 되기를 원하였고, 또한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임대 세대까지 있어서 제한된 건축면적에서 어떻게 하면 세 가구를 효율적으로 분배해 ..
2022.11.14 -
세 개의 면, 다섯 개의 켜 2022.11
TPFL 설계자와 시공자가 동일한 건축물 몇 년 전 소규모 건축물에 대한 건축허가권자의 감리자 지정에 관한 법률로 건축계가 한동안 들썩이던 때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설계자의 감리권한에 관한 재고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는 프로젝트이다. 기억을 되새겨보면 과거에 건축주나 시공사가 무시할 수 없는 건축사사무소에 다녔음에도 불구하고, 감리를 설계자가 맡지 못했을 경우 형편없이 시공됐던 악몽이 떠오른다. 심지어 아무 보상 없이 현장에 나가서 감리자와 시공자에게 건축개념상 꼭 도서대로 시공되어야 하는 부분을 호소했음에도 무시당하기 일쑤였다. 그 이유는 시방서나 도서에서 언급하는 “지정제품을 부득이하게 사용하지 못하거나 현장상황에 따라 설계도서를 그대로 반영하기 힘든 경우 동급이상의 제품을 감리·감독관의 승인 아래 시..
2022.11.14 -
텐퍼센트 2022.11
TENPERCENT 대지는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격자체계의 도시조직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인접대지는 1980년대 후반 연속적으로 유사한 설계와 같은 건축업체의 주관으로 지어진 블록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건축주는 최초 대수선을 목표로 대지를 구입하였으나, 구조 조사 결과 건물의 기초가 존재하지 않았고, 내부 철근 부식까지 상당 부분 진행되어 있는 상황이어서 목표를 신축으로 전향하였다. 협소한 대지에서 건축선까지 지정된 대지이기에, 모든 스케일과 치수들을 결정하는 데 심혈을 기울여 계획을 진행하였다. 선형의 도시맥락에서 건축의 존재감을 주·야간으로 자연스레 발현시키기 위해, 층별로 모서리창을 계획하였다. 모든 이들이 선형의 도시조직에 적극적으로 스며들어 상호 소통하게 하기 위해 내부..
2022.11.14 -
공립치매전담형 김해시립요양원 2022.11
Home of Memories 생의 기억을 잃어가는 분들을 위해, 자연을 가까이하며 일상의 행복, 생(生)의 아름다움과 그 여운을 느끼고 자연과 함께하는 좋은 기억들을 다시 채울 수 있는 ‘기억의 집’을 계획하였다. 대지는 돗대산을 뒤로하고 서낙동강을 마주하는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도로로 인해 소음과 프라이버시에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완충공간을 만들고, 그 표피를 달리 사용해 이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주고 실내와 자연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돗대산 쪽의 연속된 수직루버는 차량소음과 마을의 시선을 조율한다. 테라스 이용자는 앞산을 바라보며 틈새 사이로 주변 환경을 소유한다. 서낙동강 쪽은 이용자를 고려해 배회할 수 있는 브리지를 만들어 이곳을 걸으며 낙동강을 ..
2022.11.14 -
연가 2018.02
Connected House “4대가 어우러지는 두 가구의 집.” “각각의 공간에 대한 프라이버시는 지켜주되, 모든 구성원이 같이 식사할 수 있고 세대가 어우러질 수 있는 집.” “2,450㎡의 넓은 대지, 개발이 시작된 단지에 처음 들어서는 집.” 허투루 집을 짓고 싶지는 않다는 건축주의 이러한 요구는 어쩌면 당연한 것인데도 흔히 단지형 전원주택이라는 건축에서는 쉽지만은 않은 요구였다. 우선 남향으로 주향을 잡고, 두 세대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내부공간으로 연결되어지며 마당과 중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배치했다. 두 개의 현관을 두어 세대를 분리했으며 내부의 복도와 계단을 통한 동선의 끝에 각각의 실을 두어 공간을 완성했다. 그렇게 완성된 두 집은 하나의 연결통로를 통해 한 집이 되도록 했다. 전..
2022.11.09 -
송단주(松砃宙) 2018.02
SONG DAN JU 송단주(松砃宙) 소나무 숲속 하얀 조약돌 나는 공동주택 생활을 정리하고 부모님(1세대)과 함께 전원생활을 하기로 결정했다. 148제곱미터 이내에서 3세대가 거주하는 공간을 구성하고자, 개인공간은 철저히 구분하면서 중정 등의 외부 매개공간을 통해 공동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전통한옥의 ㄷ자 구조를 모티브로 평면구성을 했다. 평면구성(외부) _ 대지의 형상을 고려하여 바깥마당(주차장/외부영역)과 안마당(가족공용공간)으로 구분했다. 안마당은 중정을 중심으로 툇마루(자녀공간)와 처마가 있는 테라스(노부모공간)의 사적공간과 파고라(정원시설물)와 외부데크 등의 공용공간으로 분리했다. 평면구성(내부) _ 건물 가운데 위치한 중정을 기준으로 노부모의 생활공간인 ‘안방+거실+처마’가 있는 테라스공간과 ..
202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