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26)
-
학록도서관 2021.9
HAKROK LIBRARY 현대사회의 도서관과 빛 학록도서관은 민간 기업이 군사교육기관에 건축물 기증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공공도서관 프로젝트가 주어진 프로그램과 면적 조건하에서 진행하는데 비해, 이 프로젝트는 프로그램과 공간에 대해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무지와 어두움의 낮은 곳에서 지혜와 빛의 높은 곳으로 올라감’을 구현한 미켈란젤로의 메디치 도서관 개념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해보고 싶었고, 복합적 문화공간으로서의 현대적 도서관에서 ‘빛’은 어떻게 내부 공간과 관계를 맺을 것인가에 대한 건축적 질문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계획부지는 앞뒤로 2.4미터 정도 레벨 차이가 나며, 좌우로 아름드리나무들이 자리 잡은 좋은 자연환경을 가진 땅이었다. 이러한 조건은 빛..
2023.02.09 -
함안 지역아동센터 2021.9
Haman Local Children’s Center 함안의 지역아동센터가 만들어질 대지는 주변이 잘 정돈된 단지 안에 위치하고 있어 사방으로 나무와 정원 같은 녹지를 접하고 있다. 특히나 한쪽으로는 주민들이 매일 사용하는, 탁 트인, 커다란 운동장을 마주하고 있다. 이 운동장은 나무로 둘러싸여 있고, 바닥에는 잔디가 있어 아이들을 포함한 지역주민들이 일상에서 운동이나 산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지역아동센터의 계획도 이 운동장을 포함한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지역아동센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을 통해 운동장을 포함한 외부공간과 관계를 만든다. 첫 번째는 1층 바닥 레벨을 운동장보다 높이는 것이다. 이로써 아이들은 좀 더 높은 눈높이에서 운동장을 ..
2023.02.09 -
Cafe KLITZ 2021.9
Cafe KLITZ Prologue 카페 클리츠가 위치한 삼어지구는 김해시 경계에 위치한 도시개발 구역이다. 지역개발이 그러하듯 이곳 또한 무미건조한 건물들로 빠르게 채워지기 시작한 신생 도시조직이었으며, 프로젝트는 그 안의 작은 카페를 계획하는 것이었다. 건축주의 요구는 간단했다. 본인이 운영하는 바로 옆 셀프세차장의 부설 카페 기능을 바탕으로 100제곱미터 이하의 작은 바닥면적을 가질 것, 그리고 흡사 창고와 같은 간결한 디자인을 원했다. Phase1 : 작지만 넓은 공간 제한된 바닥면적으로 인한 제한된 테이블 레이아웃과 테이크아웃 위주로 운영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벗어나고자 내부 면적과 동일한 외부 데크를 계획하였다. 실내를 구성하는 바닥 슬라브와 한쪽 벽면을 그대로 연장한 데크공간은 이용자로 하여..
2023.02.09 -
제13회 서울국제건축영화제 ‘모두를 위한 건축’ 22개 상영작 소개 2021.9
Introducing the 22 films of the 13th Seoul International Architecture Film Festival 'Designed For All' 9월 8~18일, ‘씨네큐브 광화문·네이버TV’ 온·오프라인 동시 상영 최초 공개 및 아시아·코리아 첫 상영작 등 서울국제건축영화제에서! 아시아 유일 비경쟁 건축영화제인 제13회 서울국제건축영화제(SIAFF, 이하 건축영화제)가 9월 8일부터 18일까지 다채로운 건축 영화를 상영 중이다. 대한건축사협회와 서울특별시가 주최, 대한건축사협회·서울특별시건축사회가 주관하는 이번 건축영화제의 주제는 ‘모두를 위한 건축(Designed For All)’이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작년 처음 개최된 온라인 건축영화제의 장점과 기존 오프라..
2023.02.09 -
사라지는 마을色이 있는 마을 – 신화(新和)마을 2021.9
Disappearing village Town with color(色)-Shinhwa(新和) town 1960년대에 미포국가산업단지의 형성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공단 이주민촌인 울산의 대표적 산동네, 신화마을은 울산시 남구 일대(여천로 66번길 7) 여천오거리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160채의 가옥에 55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거주자의 60%는 60세 이상의 고령자로 구성되어 있다. 주택지의 40% 이상이 무허가로서 국유지와 개발 제한지역에 놓여있어 증·개축이 불가능하고, 공단과의 인접성 등으로 인해 재개발의 한계를 갖고 시간이 멈춘 도시의 섬처럼 놓여 있었다. 그러나 2010년 문화관광부 마을미술 프로젝트에 당선되어 지역 작가 벽화마을로 조성되는 등 다양한 재생사업을 시행하며 ..
2023.02.09 -
용어@ 건축 09 도구 2021.9
Term@ Architecture 09 Tool architectural terms 건축용어 우리나라 건축용어 중에는 왜 그렇게 표현하는지 어원을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 연재에서는 필자가 이해하기 어려웠거나 호기심이 크게 생겼던 표현들을 소개하고, 그 어원과 출처를 추적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과 함께 보다 적절한 표현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계기를 갖고자 합니다. 김홍도의 ‘기와이기(집 짓기)’ 그림을 보다가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어린 시절부터 동네에 버려진 나무로 팽이, 총, 활과 화살, 아이스하키 채, 모형 배 등을 만들면서 아버지의 창고에서 여러 도구들을 몰래 꺼내 사용했고,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며 건설 현장에서 다양한 도구와 장비를 어깨너머로 보아 왔다. 최근까지도 일련의 파..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