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욱(10)
-
북한건축 워치 10 북한의 건축교육 ② 2021.12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10 North Korea's architecture education ② 해방 후 평양에는 소련의 지원을 받아 많은 공공건축물 사업이 추진되었으나, 건설기술자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한반도의 건축고등교육기관은 경성고등공업학교가 유일하였으며, 몇 개의 기술견습학교가 있을 뿐이었다. 해방 당시 경성고등공업학교(경성고공)가 개교한 후 건축을 전공한 조선인 졸업생은 60여 명에 불과하였고, 일본에서 건축을 공부한 사람도 100여 명에 불과하였으며, 북한지역에 건축전문가는 더욱 적었다. 해방 당시 북한에는 경성고공에서 건축을 졸업한 사람은 20여 명이 있었고, 일본 유학생 출신도 소수였다고 한다(안창모, 「서구건축문화의 이식통로 원조프..
2023.02.14 -
북한건축 워치 09북한의 건축교육 ① 2021.11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9 North Korea's architecture education ①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한 후 대규모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대학의 위상도 높아지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한 해인 2012년 평양건설건재대학의 명칭을 평양건축종합대학으로 바꾸었으며, 2013년 현지지도 시에 학생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그리게 하였다. 2014년에는 평양건축종합대학의 명예총장이 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12월에는 노동신문 한 면을 할애하여 평양건축종합대학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최근 평양건축종합대학은 북한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은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철도, 도로, 항구, 발전소, 전력망, 경제특구개발 등 ..
2023.02.13 -
북한건축 워치 08 건축물의 유지관리(도시경영) 2021.10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8 Maintenance of buildings(City management) 1. 도시경영의 의미와 범위 남한과 비교하여 북한의 건축의 가장 독특한 점은 국가가 주택을 포함한 도시의 건물과 시설물 유지관리를 담당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북한은 공공시설물(기반시설)만이 아니라 주택과 건물도 국가(혹은 지방정부 및 단체) 소유이므로, 국가에 유지관리의 책임이 있다. 우리나라는 기반시설(도로, 철도, 주차장, 정수장, 폐수처리장, 댐, 발전소)와 공공건물은 국가 및 지방정부가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으나, 일반저으로 건물과 주택은 개인(법인)소유이며, 정부소유 시설물도(도로, 철도, 발전소, 댐 등)도 정부에서 직접 관리하지 않고 공공기관이 관리하거나 ..
2023.02.10 -
북한건축 워치 07북한의 건재산업 2021.9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7 Building material industry of North Korea 1. 2021년 북한의 평양 살림집 5만 세대 건설과 건자재 생산 독려 2021년 3월, 코로나19 감염 방지를 위하여 북한이 국경을 봉쇄한 지 1년 만에 한 국영기업 대표가 중국을 방문하여 건축자재공장을 둘러본 것으로 보도되었다.(北, 국경 봉쇄 1년 만에 中 견학 "건축 자재 보러왔습니다"/ YTN, 2021.03.05) 북한국영기업 대표의 중국방문은 평양 살림집 1만 세대 건설을 위한 건축자재확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2021년 1월에 조선로동당 제8차 대회를 개최(2021.01.05.~12)하고,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당대회 후..
2023.02.09 -
북한건축 워치 06 북한의 건축시공 2021.8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6 North Korea's Building Construction 1. 들어가는 말 북한의 건설공사는 뉴스 등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남북한의 경제체제의 차이 때문에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북한의 일반적인 건설공사는 지역별 건설사업소에 소속된 건설노동자에 의하여 수행된다. 대규모 공사는 각 기관과 기업 등에서 지원자를 모집하여 수행하며, 건설공사에 지원한 노동자의 급여 및 각종 부대비용을 원 소속기관이나 기업에서 부담한다. 그리고 대규모 공사 시에는 노동자를 격려하기 위하여 선전선동대의 공연이 진행되고, 어린이들이 위문편지를 보내기도 한다. 이러한 북한의 건설시스템은 건축주와 민간건설사가 공사계약을 맺어 진행하는 국내 건설시스템과는 완전히 다른 ..
2023.02.08 -
북한건축 워치 05 북한의 건설 관련 법규 2021.7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5 North Korea's laws and regulations in regard to construction 1. 들어가는 말 건축은 공공복리, 안전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모든 나라에서 법에 의한 규제를 받는다. 또한 개인소유 토지에 건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건축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어, 건축은 법에 의한 사유재산권을 제한받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건축법규는 건축밀도(건폐율, 용적율), 건축선, 높이, 구조, 환기, 채광 및 소방 등 건축 전반에 대하여 규정하고 기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건축인허가 관련 법규가 800여 개에 이른다. 북한은 노동당 중심으로 국가를 운영하고 있고, 노동당 규약 등이 법률에 우선하므로 법치국..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