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시설(16)
-
대한주정판매(주) 사옥 증축공사 2023.3
Korea Ethanol Supplies Company Building 계획대지는 서울 IT산업의 중심인 가산디지털단지와 구로디지털단지, 두 지역 중간과 주거지역 경계선상에 위치한다. 대로변 주변은 시야 확보를 위해 저층 스카이라인으로 분지와 흡사하며, 주 진입로에선 소규모 슬레이트 지붕, 샌드위치 외벽패널로 슬럼화된 거리를 적잖게 볼 수 있다. 대한주정판매가 사무실, 제조공장 혹은 창고 등으로 사용하던 이곳에서 낙후된 환경개선과 시설규모 확장을 위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전시, 업무, 휴식공간은 기능을 분화하여 상부매스로 발전시켰고 근·생, 주출입공간은 접근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하부매스로 구성하였으며, 옥외(조경)공간은 내·외부공간의 전이공간으로 효율적 토지 및 공간 활용을 유도하였다. 우뚝 선 주..
2023.03.17 -
Y2 빌딩 2023.3
Y2 Building 변화하는 주택가 풍경 연희동은 서울의 대표적인 고급 주택가다. 현재는 신촌과 홍대에서 형성된 상권이 확장되면서 주택가의 평온한 분위기 속에 활기찬 상업공간이 다수 형성되며 지역의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다. Y2 빌딩은 메인 도로에서 떨어진 언덕에 형성된 주택가에 자리한다. 경사에 따라 층층이 높은 벽과 담으로 둘러싸인 폐쇄적인 주택가였다. 그러나 해당 부지가 경사지 코너라는 점은 골목 초입에서 건물이 인지될 수 있어서 장점이라 할만했다. 건물에 좋은 얼굴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를 적극적으로 대입한다면, 골목에서부터 사람들을 끌어들일 매력과 주목성을 가질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열린 건물 지하 1층~지상 2층인 Y2 빌딩은 건물 전면에 개방성을 강조하는 디자인 요소..
2023.03.17 -
HDC랩스타워 2022.7
HDC labs Tower 도시 변위의 풍경(urban displacement-scape) 대지는 남부터미널 역 사거리와 강남의 뱅뱅사거리로 연결되는 도로에 위치한다. 주거지역과 상업공간이 혼재해 있어서 유동인구가 많고 교통의 흐름이 활발하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 가로공간 풍경의 변화에 있어서 보이는 것과 보여지는 것의 가변적인 상관관계를 타진하였다. 도시 건축 디자인의 바탕과 오브제의 관계에 있어서 연속적, 유기적, 이중적으로 가로공간 입면의 콘텍스트(context)를 재구성하여 단순함과 복잡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저층 가로공간에서부터 시작하는 지그재그로 엇갈린 형태의 곡면 파사드는 건물 전체 외관 형태를 다양한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이는 건물이 보이는 주변 가로공간의 위치에 따라서 도시 풍경의 다양..
2023.02.21 -
구미도시재생혁신지구 그린융합밸리 _ 2022. 5
Green Convergence Valley 누구나 머무르고 싶은 그린 융합밸리 쇠퇴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산업단지’ 구미 제1공단 일대가 도시재생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와 사람이 넘쳐나고 자연이 더해진 지역의 랜드마크로 새롭게 태어난다. 서측의 광평천과 동측의 낙동강 사이에 있는 대상지는 자연을 이어주는 그린네트워크와 연계하여 도시 연결의 새로운 흐름을 더한다. 이 흐름의 한가운데 위치한 대상지는 구미만의 역사적·입지적 잠재력에 따른 공간의 창조적 재활용을 통해 사람을 끌어들이고, 다양한 문화시설, 상권과 조화롭게 연계되어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이 된다. 산업단지의 특성상 서로 단절된 도시공간에 보행동선을 유입해 보행자 중심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전략이다. 이에 따라 남북축을..
2023.02.21 -
군자동 복합청사 2022.6
Gunja-dong office comaplex 대상지는 저층의 주거건물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주거 밀집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새롭게 조성되는 군자동 복합청사는 기존 청사가 가지는 경직된 이미지와 달리, 마을과 조화되고 지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열린 청사라는 개념으로 계획하였다. 프로그램의 성격과 법규적인 제약, 그리고 도로에서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매스의 볼륨을 적절하게 분절하였으며, 모든 층에 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는 공간을 구성하였다. 청사라는 건축물의 상징성과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벽돌을 주요 외장재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단순한 매스 구성과 풍부한 외부 녹화 공간 계획을 통해, 건물 사용자들의 편의와 외부와의 시각적·공간적 연계를 고려하였다. 지하층은 이형의 땅 모양이지만, 가용할..
2023.02.20 -
중화2동 복합청사 _ 2022. 4
Junghwa 2-dong Complex building 배치계획 대지는 중화1재정비촉진구역 계획에 따른 향후 조성 예정인 공원과 광장의 중간에 위치한다. 본 배치계획의 주안점은 공원 및 광장과 연계된 주민생활형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본 대지는 중랑역로와 봉화산로가 만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데, 대지의 모서리를 비움으로써 기존의 작은 광장을 크게 확대하여 주민들의 각종 행사와 활동들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광장에 면하여 플라자 스텝(PLAZA STEP)을 계획함으로써 각종 행사가 원활하도록 하였으며, 도로에 면한 건축선후퇴공간에는 보행로와 보행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계획하여 주변 환경과의 연결이 매끄럽도록 하였다. 공원에 면하여 부출입구를 계획하여 건물로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파크 스텝(PARK STEP)..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