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13)
-
[Archisalon]개항일보_ 역사를 품은 도시 인천, 근대화거리를 뉴트로의 관점으로 보다 2019.8
Gaehang Ilbo _ Looking at the modern street in Incheon, a city with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New-tro 들어가기 전에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경제자유구역발전의 중심지로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과거 개항을 통해 다양한 문물을 받아들였고 현재는 산업화를 거쳐 우리나라 중심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도심 내에서 새로운 관점으로 알려지 고 있는 거리가 있다. 인천 중구청 앞쪽에 위치한 ‘인천 근대화거리’가 바로 그곳이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일본식 건물들이 눈에 들어오며, 개항 당시 거리와 같은 착각에 빠져들게 된다. 건물 안쪽까지 일본식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중구와 지역 주민들이 낙후된 도시 이미..
2022.12.24 -
시도 [공간]테마 석재 미술관 마을 2018.12
Si Do [Raum] Stone Gallery 2004년 당시 김종학 프로덕션과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 중 드라마용 주택을 진행했는데 시간은 3개월밖에 없었고, 그 안에 모든 일들이 끝나야 했다. 그런데다 드라마 시각연 출부는 당혹스러운 디자인을 강하게 요청했고, 어쩔 수 없이 마무리만 하는데 집중해서 처리했다. 누구보다 과정을 지켜 본 토지주와 몇 차례 만나게 되면서 이 프로젝트를 의뢰받게 됐다. 건축 주는 40년 가까이 소유했던 부지라고 이야기 하면서, 석재 미술관을 계획하기로 했다. 석재 회 사를 오랫동안 운영한 건축주는 미술관 내부에 돌을 배치해서 다양한 조형적 체험이 가능하길 원했고, 전적으로 모든 연출과 디자인은 내게 맡겼다. 2001년 과천 마이 알레 부지에 계획했던(이..
2022.12.11 -
서윤재(徐尹齋) 2018.9
Seo Yoon Jae 서윤재의 컨셉은 ‘넓은 마당의 한옥’, ‘햇살이 들어오는 집’이다. 넓은 전정, 툇마루, 누각 의 하부공간을 통해 한옥의 정서를 투영했으며 ㄷ자형 배치로 안마당을 확보하면서 동 시에 도로와 접한 북동측에 물리적 경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했다. 실내에서는 안마당과 북측의 산을 즐길 수 있도록 각 실과 집 밖의 자연이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1 층과 2층 간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거실은 상부를 오픈했으며, 거실이 좌·우측 매스를 연 결하는 구심적인 공간으로 기능하도록 배치했다. 안마당에서 따사로운 햇살을 받으며 가족들이 정겨운 시간을 보내는 집이 되길 희망한다. Seo Yun-jae’s concept is 'a house with a wide courtyard' and 'a ho..
2022.12.07 -
마호가니 카페 강화점 2018.07
MAHOGANY in Ganghwado 새롭게 들어설 마호가니 카페의 부지는 기존 도레도레 카페가 놓여진 부지에서 약 3미 터 정도의 레벨 아래에 놓여져 있다. 야외카페와 실내카페가 구분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마호가니 카페 전면의 마당을 공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설계됐다. 강화의 여름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처마는 길게 계획됐고, 구조는 조립식 경량철골을 사용했다. 내부에서 조 립식 경량철골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아무 마감도 하지 않으려고 했지만 카페 실내 인테 리어를 고려하여 마감을 한 것이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외관은 단순한 박공의 형태로 기 존 도레도레 카페의 독특한 형태와 대비되도록 구성했다. 마감은 골강판을 사용하여 형 태가 가지는 심플함을 더욱 강조했다. 접어서 만들어진 판의 형태를 강조하고, ..
2022.12.05 -
지젤엠청라 2018.07
ZizelM Cheong-na 'FLOATING EMERALD(플로팅 에메랄드)’ 청라의 하늘과 물, 에메랄드의 우아하고 영롱한 빛과 자연스럽게 흐르는 물빛을 닮은 유 리패턴과 건물의 웅장한 매스로 절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청라를 관통하는 호수변에 떠있는 하나의 섬을 표현하고자 호수에 순응하는 배치로 호 수와 하나된 형태를 만들었다. 또한, 분절된 두 개의 매스 사이를 정원으로 계획하여 호 수와 섬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1층과 지하층을 연계하여 입점 업체의 매출을 극 대화할 수 있도록 동선을 계획했다. 건축물은 도시미관의 일부이며 그 자체이기도 하지만 상가는 단순한 도시기능을 넘어서 야 한다는 생각으로 동선을 배치했다. 많은 방문객들이 머무르게 하고 그 머무름이 즐거 움이 되도록 했다. The..
2022.12.05 -
아라플라자 2018.07
A-ra Plaza 대지는 송도신도시 F8지구 국제업무단지에 내에 위치한 상업지역으로서 , 주변 대규모 주거지경계에 인접하고 있다. 신도시 중심과 인근 주거지에서 센트럴파크로 교차 진입 되는 곳에 위치한 블럭 내의 중요한 중심지로, 보행자, 차량이동자들의 접근 방향에 대 해 고려해야 했다. 송도신도시와 도심 속 산책길 같은 요소를 이용하여 건물의 디자인 포 인트로 사용했다. 건축의 공공성과 기능성 간의 균형을 계획의 중점으로 두고 고민했다. 인근 주민들의 이동 동선과 건물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고려해서 건물 내부에 8미터의 공공보행통로를 만들었다. 전면에 조성한 소규모 광장은 건물의 임팩트있는 파사드와 함께 교차점에서 보행자들의 휴식공간의 역할과 도시적 기능을 가진다. 여러 목적을 가진 건물 이용자들 의 ..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