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4월호(24)
-
월산 4동 행정복지센터 2023.4
Wolsan 4-dong Community Service Center 물리적 환경의 극복 대지는 오래된 주택가에 위치한 삼각형 모양의 작은 땅이다. 도시에 자리한 오래된 마을이 가진 여러 인문학적 이야기를 뒤로한 채, 작은 삼각형 땅 지하를 주차장으로 조성해야 하는 발주처의 프로그램 요구와 방향성 없이 오르내리며 최고 2미터의 높이 차이를 가진 세 도로는 건축에 대한 접근 방식을 다분히 기능의 해결로 귀결되게 만들었다. 도로 레벨이 가장 낮은 부분에 주차장 출입구를 설치해 램프의 길이를 최소화했고, 각 도로에서 대지를 관통하는 기존 보행의 흐름과 기억들을 유지시킨 다양한 접근 동선을 구성하고 1층 부분을 비워내 다양한 행위를 담을 수 있는 마당의 역할을 하게 하였으며, 행정복지센터의 주민친화적 성격이 최..
2023.04.19 -
[특집] 우리동네키움센터 성북10호점 2023.4 2023.04.19
-
현대에서 과거(고대)로의 시간 여행 ②고대와 현대가 공존하는 이집트 2023.4
Time travel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ancient) ② Egypt, where ancient and modern coexist 이집트는 기원전 6000년경 나일강 유역에서 이루어진 문명으로 지리적으로 폐쇄적인 위치에 있어 외부의 침입 없이 고유한 문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 나일강이 정기적으로 범람하면서 발생한 비옥한 토지는 농경문화를 이루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 이집트인들은 영혼 불멸을 믿고 미라를 만들었고, 10진법이 발달했으며, 피라미드를 건축하는 과정에서 도르래의 원리를 사용할 정도로 건축술이 발달했다. 이집트의 고대 유적과 유물을 돌아보면서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삶의 끝이 아니라 영원한 삶을 준비하는 과정이라면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하는 의문이 들..
2023.04.19 -
도시의 정체성 ④서울, 20세기 후반 : 팽창과 성장의 가속, 도시의 원형을 넘어서다 2023.4
Identity of the City ④ _ Seoul,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 Acceleration of expansion and growth, beyond the original form of the city ■ 변화의 배경과 특징 생존의 장소로 시작된 서울의 재구성 한국 전쟁 이후 서울은 일제강점기 동안 진행된 도시 변형 중, 훼손된 도시의 원형을 회복하고 고유의 의도를 가진 근대 도시로 거듭날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도시의 대부분이 파괴된 상황에서, 일자리를 찾아 수도로 몰려든 사람들에게 서울은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한 장소로서의 역할을 위한 도시의 재건으로 시작되었다. 생산과 소비의 장소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 외에..
2023.04.19 -
재건축을 바라보는 공동주택 2023.4
Apartment houses looking forward to reconstruction 아파트의 수명이 고작 3~40년이라니, 무슨 건물이 내달리느라 지칠 대로 지친 말도 아니고……. 유럽에 있던 시절, 유럽에서 발발된 두 차례의 전쟁을 겪으며 세기를 지난 집에서 삼대가 동고동락했던 거북이 머물던 집에 머문 적이 있다. 이런 삶을 고스란히 담은 뒤뜰에 연결된 주방은 벽에 걸린 무쇠냄비와 팬들, 그리고 오래된 화덕과 함께 집의 운치를 더해주고 있었다. 그 순간 요리를 하느라 분주한 여인들의 모습이 머릿속에 그려지고 치즈 내음과 달콤한 디저트의 향기가 코에 머무는 것 같았다. 인간의 생애 속에는 분명 지우고 싶지 않은, 가슴 깊이 머물러 주었으면 하는 기억들이 있다. 어떤 이에게는 다소 수고스러운 장소였..
2023.04.19 -
[건축코믹북] 달나라 부동산 2023.4
Architecture Comic Book _ Dalnara Budongsan 글. 김동희 건축사 Kim, Donghee architect 건축사사무소 케이디디에이치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