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인터뷰 | Interview(117)
-
해외의 한국인 건축사 _ 송현정 건축사 2018.04
Korean architects in the World _ Architect Song, Hyun-Jung 프랑스에서 건축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1965년 9월 프랑스 루브르궁에서 ‘현대건축의 아버지’로 불리는 르코르뷔지에의 장례식이 국장(國葬)으로 치러진 것에서도, 또 유럽최초로 건축을 문화적 관점에서 성문화한 것에서도 이를 엿볼 수 있다. 1977년 당시 프랑스는 건축법(Architecture Act)에서 “건축은 문화의 표현이다. 건축의 창조성, 건물의 품격, 주변환경과의 조화, 자연적 도시적 경관과 건축유산의 존중은 공공의 관심사다”라고 규정했다. “프랑스에서는 옛날부터 국왕이 건축사(Architect)를 초청해 식사를 할 정도로 건축을 예술·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하며, 특히 건축사(Ar..
2022.12.01 -
‘공공청사, 설계공모 이후 이대로 괜찮은가’ 좌담회 2022.11
공공건축, 지자체장 등 개인 아닌 ‘지역민’과 ‘미래세대’ 위한 것… 반복되는 설계당선 번복 이대로 괜찮은가? Public architecture, local government, etc. for ‘local residents’ and ‘future generations’, not for individuals… Is it okay to overturn repeated design wins? 사회 박현진 건축사(주.온디자인건축사사무소) 참석자 신춘규 건축사(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안창모 교수(경기대 건축학과) 윤승현 교수(중앙대 건축학부/건축사) 조남호 건축사(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홍성용 건축사(건축사사무소 NCS Lab) 몇 년에 걸쳐 수많은 시민·전문가가 참여해 선발한 건축 설계공모 당선작 설계안이 ..
2022.11.11 -
“다양한 형태의 집·필지, 계층의 혼재 상징…이런 잡종성이 ‘도시의 힘’”_김시덕 박사 2022.11
“A mixed symbol of various types of houses · lots and hierarchies… This hybridity is the ‘power of the city’” 김시덕 박사 Kim, Shiduck 도시문헌학자 『이국정벌전기의 세계(異国征伐戦記の世界, 2010)』를 통해 외국인 최초로 일본 고전문학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는 김시덕 문학박사(일본 국립 문헌학 연구소인 국문학 연구 자료관/일본국립 총합연구대학원대학 소속)는 지역답사를 통해 도시의 역사·문화를 서민의 관점에서 ‘도시문헌학’이라는 고유 모델로 기록하고 있는 문헌학자다. 저서 『서울선언(2018)』, 『갈등도시(2019)』, 『대서울의 길(2021)』 등 서울선언 시리즈와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2022)..
2022.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