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칼럼 | Column(280)
-
[건축담론] 건축박람회에서 느낀 정당한 업무 대가 정착의 필요성 2024.7
The need to establish a fair reward for work felt at the Architecture Fair “ 업무 대가 기준의 필요성 저가 덤핑 방지, 건축사의 격을 높이고, 건축 서비스 산업의 지속 가능성 도모 ” 건축박람회 참가와 그 한계 나는 지난 몇 년 동안 우리 회사를 알리기 위해 건축박람회에 참가해 왔다. 6.6제곱미터 남짓한 부스에 그동안 설계한 건축 패널을 전시하고, 브로슈어와 리플릿, 명함 등을 준비해 비치해 뒀다. 아주 오래전부터 매년 방문하던 박람회였기에 처음 참가했을 때의 감회는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한 감정이 들었다. 그렇게 몇 년 동안 참가했고 그곳에서 강연도 했으나, 이제는 더 이상 참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곳에서 건축사사무소가 저비..
2024.07.31 -
[건축담론] 과정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2024.7
To receive recognition for the value of the process “ 업무대가 정상화를 위해 과정의 가치에 사회적 공감 필요 공간을 매개로 더 많은 이들의 현재와 맞닿는 이야기 전해야 ” 건축의 복합성과 비용산정의 난해함 설계비를 산출할 때면 매번 번민에 빠진다. 현실적인 운영비, 예측되는 변수에 대한 위험부담까지 고려해야 하는데 워낙 사전에 큰돈이 드니 건축주 입장에서는 선뜻 수긍하기가 어렵다. 고심 끝에 제시하면 돌아오는 답은 십중팔구는 ‘비싸다’는 것이다. 설계용역비 산정기준을 갖추기 위해 많은 이들이 노력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협회 누리집을 통해 공사비를 통한 설계비 산정을 할 수 있게 되면서 협의가 조금이나마 수월해져 감사하게 잘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기준을..
2024.07.31 -
[건축비평] 4×4프로젝트와 젊은 건축사들 2024.7
Architecture Criticism 4×4 Project and Young Architects 욕망의 공간 위, 건축사에게 주어진 틈 대지 약 3.3제곱미터(1평)당 가격이 1억을 호가하는 부지에 임대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의 설계는, 최대 용적률 충족이라는 절대적인 기준 아래 건축주의 임대 전략에 따른 배치와 평면, 층수와 층고, 그리고 창호의 크기와 같은 꽤나 세부적인 부분까지 구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설계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건축주가 필요로 하는 건축사의 직능은, 목표와 기대를 충실히 충족시켜 주면서도 자신이 생각지 못했던 약간의 기지와 상상력이다. 이런 프로젝트에서 상상력의 영역으로 남겨둔 부분이, 건축사에게는 자신의 설계를 부딪혀볼 수 있는 작은 틈이 된다. 그 틈에서의 ..
2024.07.31 -
지구의 한 부분을 만드는 일 2024.7
Making a part of the Earth 독립하기 전에 다녔던 회사 실무 5년 차에 담당했던 프로젝트 일화이다. 어느 회사의 사옥 신축 프로젝트였다. 1년여에 걸쳐 계획설계부터 실시설계까지 전담했고, BIM 모델 속을 수백 번 돌아다니면서 꼼꼼하게 설계했다고 생각했다. 자신 있게 납품했고, 상주하며 현장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주어졌다. 착공식 후 지하와 기초공사를 위한 터파기를 시작하는 날이었다. 이른 아침부터 인부들의 고함소리와 중장비의 엔진 소리, 파낸 것을 와르르 쏟아내는 소리가 들렸고 정신을 깨우는 매연 냄새가 났다. 파헤쳐서 벌겋게 드러난 지구의 한 부분을 보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제대로 설계했겠지? 최선의 안이었겠지?’ 수십억짜리 건물의 공사가 내가 ..
2024.07.31 -
상선약수 (上善若水) 2024.7
Sangseon Yaksu (上善若水): The best things are like water 상선약수. 노자의 사상에서 나온 이 말은 ‘물을 지구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겨 이르는 말’로 사전은 풀이하고 있다. 최고의 선(善)이란 무엇인가? 사전적 의미는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음 또는 그런 것’, 철학적 의미는 ‘도덕적 생활의 최고 이상’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둘의 공통적 어휘는 도덕(道德)이다. 도덕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의 구성원들이 양심, 사회적 여론, 관습 등에 비추어 스스로 마땅히 지켜야 할 행동 준칙이나 규범의 총체, 외적 강제력을 갖는 법률과 달리 각자의 내면적 원리로서 작용하여, 또 종교와 달리 초월자와의 관계가 아닌 인간 상호 관계를 규정한다’고 말하고 있다..
2024.07.31 -
[건축비평] 순환과 공생의 가치가 성장하는 사회적 장소 2024.6
Architecture Criticism A social place cultivates the value of circulation and symbiosis 근대의 건축사(architect)들에게 공장설계는 기술적 혁신을 실험하고, 시대의 정신을 표현하는 기회였다. 공장은 필연적으로 내부의 제조공정, 즉 기능을 따르는 형태로 만들어져야 했고, 이는 곧 근대건축의 덕목과 일치했다. 높고 넓은 보편공간(universal space), 투명함, 가변성, 빠른 시공 및 교체 가능한 조립식 시스템 등 공장 건축의 미덕은 현대 건축 전반으로 빠르게 수용되었다. 기본적으로 공장은 보안과 안전, 관리의 영역이다 보니 건축적 의미는 파사드 디자인이나 혁신적 구조 시스템에 집중되곤 한다. 하지만 서서히 공장의 경험 자..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