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칼럼 | Column(278)
-
메가 프로젝트와 스마트시티. 세계사를 바꾼 대형 건설 프로젝트 속에서 잃어버린 것을 찾아서 2024.6
Mega Project and Smart City In search of what was lost in a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 that changed world history 1. 잃어버린 도시 이야기인간의 발명품 중에 가장 위대한 것은 무엇일까. 고대 바벨론 제국Babylon, BC 4000~539은 인류에게 ‘최초의 도시 국가로 기록되어 있다. 바벨론 이라는 이름이 있기 전 이미 ‘우르Ur’라는 도시 국가가 세워졌다. 도시라는 거대한 발명품 속에는 질서秩序(ordre, discipline)와 더불어 법이 분명히 존재했으며, 과학과 건축기술은 최고의 도시 국가로 번성하는 동력이었다. “‘우르’는 단순히 사람만 모여있는 곳이 아니었다. 오늘날로 본다면 모든 자..
2024.06.30 -
변곡점 2024.6
Inflection point 요즘은 지난 흔적을 반추하는 일이 부쩍 잦아졌다. 아마 타고난 성향 탓일지도 모른다. 한때 명리(命理)와 자미두수(紫微斗數)에 관심을 두고 뭇 사물의 본성을 헤아려보다가, 문득 내 사주(四柱)를 짚어보니 그랬다. 명리로 풀어보면, 10개의 천간(天干) 중에서 “단단히 벼른 쇠붙이”로 상징되는 ‘신(辛)’이 일간(日干)이었고, 자미두수에서는 “봉흉화길(逢凶化吉)”의 운세로 대표되는, ‘천량(天梁)’이라는 별(星)이 명궁(命宮)에 자리 잡고 있었다. 또 그게 ‘노인의 성향’을 띤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당시, 한참 젊은 시절에 노인의 기질이라니? 다소 의아했지만, 돌이켜보니 대충 그런 본성(本性)대로 취사 선택을 하며 살았다는 걸, 자인하지 않을 수 없다. 기실 따지고..
2024.06.30 -
[건축담론] ‘인공지능 플랫폼시대, 건축계획프로세스의 새로운 동반자’ 2024.5
‘The era of AI platforms, a new partner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process’ 2022년 9월, 한 미술대회에서 인공지능으로 제작된 작품이 디지털 아트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예술의 범위를 둘러싼 논쟁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인공지능 화가의 우승이 시대의 흐름인가, 예술의 사망인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보도됐다. 이 기사에서 인공지능이 예술 작품을 창작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필자는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 인공지능이 그림을 그릴 수 있다면 건축 디자인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이 사건은 인공지능이 예술 분야에 진출함에 따라 예술의 정의와 범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 일부는 인공지능이 예술 창작에 참여하는 것을 ..
2024.05.31 -
[건축담론] 디자이닝 디자인 프로세스 2024.5
Designing Design Processes 건축설계: 정답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의 해결 건축설계는 단순한 공학 기술을 넘어선 예술·관습·문화적 요소가 결합된 복합적인 분야다. 이에 모범 답안이 존재하지 않으며, 각 프로젝트는 설계자, 엔지니어, 건축주, 사용자, 시공자, 그리고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각각의 건축 프로젝트는 상황에 따른 최적의 대안을 찾아내는 과정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이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필요로 하며, 다양한 관점을 조율하고 통합하는 것이 성공적인 설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건축설계 분야는 전통적인 제조업과는 다르게, 프로토타입을 통한 사전 검증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건축사..
2024.05.31 -
[건축담론] AI 소프트웨어의 등장과 디자인 프로세스의 혼재 2024.5
The Emergence of AI Software and Integration into Design Processes 이미지 생성형 AI 소프트웨어가 디자인 업계에 서서히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이를 둘러싸고 진정한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 창조행위 자체가 AI에 의해 잠식되지 않을까란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는 생성형 AI를 지속적으로 활용해 본 유저(user)의 입장에서, 또한 건축 실무에서 창조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반복적으로 경험해 본 입장에서 AI 소프트웨어에 대한 긍정적 가능성을 발견했고, 이 글을 통해 공유하고자 한다.건축실무에서의 디자인 프로세스의 중요성과 디자인 오피스의 생존전략 건축사사무소들은 각기 나름의 장점과 특화된 개성으..
2024.05.31 -
[건축비평] 동그라미 유치원, 신나는 아이들의 놀이터 2024.5
Architecture Criticism Donggrami Kindergarten, an exciting children’s playground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은 경성중·고등학교와 홍익디자인고등학교가 공유하는 기존의 체육관을 허물고 조성되었다. 새롭게 들어선 건물에는 유치원 단독 공간이 1, 2층에, 그리고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하는 체육관이 최상층인 3층에 위치한다. 건축설계의 중요한 모티브로 도입된 동그라미는 대상지 주변에 위치하는 다채로운 모습의 기존 교사와는 차별화된 독창적인 정면성을 형성하는 동시에 신축된 건물에 수직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이질적인 프로그램 간 시각적 조화를 확보한다. 원형이 상징하는 유연하고 통합적인 이미지는 내·외부 공간을 이용하는 어린 학생들에게 창의적..
20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