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40)
-
건축계소식 5월 2023.5
2023 대한건축사협회 위원장 합동간담회, “민간대가 등 협회 중점과제 완수 위해 노력할 때” 대한건축사협회는 지난 5월 2일 위원장 합동간담회를 진행했다. 금년도 협회는 의무가입 취지와 목적 달성을 위해 각 위원회별로 중점적이고 가시적인 활동에 집중할 계획이다. 대한건축사협회 석정훈 회장은 “의무가입 취지와 목적 달성을 위해 협회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만큼, 협회와 임원진·위원장·부위원장 모두가 새로운 각오를 해야 하고, 협회가 중점 추진하는 과제 완수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금년도 협회 주요 사업 활동에 대한 보고와 위원회별 추진 핵심과제 등을 논의했다. 제13차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추천서 교부식 개최 대한건축사협회는 우수 건축자재에 대한 선택기준을..
2023.05.16 -
vol.648 2023.4
2023년 4월 Publisher SEOK, Jung Hoon Chief Editor Bahk, Joung Yeon Editorial Department Public Compilation Team Supervision of English Text International Relations Committee Publishing Office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Address 317, Hyoryueong-ro, Seocho-gu, Seoul, Korea Zip Code 06643 Tel 02-3416-6962~6 Fax 02-3415-6899 Publication Date April 17, 2023 Registration Number Seocho, RA11..
2023.04.20 -
건축사의 가치? 2023.4
What is the value of an architect? 건축설계 산업 종사자들은 의외로 자신에 대한 경제적 환산가치를 잘 모른다. 언급하는 것도 불편해한다. 조선 시대 사농공상의 DNA가 남아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영문 ‘Architect’를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지 논쟁이 되었고, 건축가와 건축사라는 단어의 마지막 자음으로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다. 또한, 건축사의 마지막 한자 역시 한자의 선비 ‘사(士)’와 스승 ‘사(師)’로 설왕설래한다. 이런 논쟁과 혼란은 산업사회와 성문법, 그리고 법 책임주의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냉정하게, 현대사회는 경제적 보상을 통해 책임과 권한이 측정되고 일임 받는다. 행위에 대한 경제적 보상은 당연한 것으로, 가치에 대한 인정이다..
2023.04.20 -
한국 건축 알리기“k건축 모든 것 나눠요” 2023.4
Introducing Korean architecture “Sharing everything about K Architecture” 국내 건축설계 성과 및 수준에 견줘 대한민국 건축사들을 해외에 알리는 작업이 그동안 너무나 부족했던 게 사실이다. 한국 현대건축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최신작, 건축계에서 높은 평가와 주목을 받은 작품들까지 포함해서 세계에 한국 건축을 스스로 알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손쉽게는 유명 건축 사이트에 작품게재를 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작품을 투고하고 나면 운영진이 게재 가능 여부를 심사하게 되는데 심사기준은 매체나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 다르다. 본지에서는 해외 유명 건축사이트·매체·웹진을 선별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해외에서 개최되는 건축&디자인 어워드를 함께 정..
2023.04.20 -
아이 엠 키라 _ “상식과 집중, 워라밸 높이면서 일할 수 있는 원동력이죠” 박유리 건축사 2023.4
I AM KIRA 건축사사무소 미션과 비전 박유리_건축사는 환경을 보존하고, 사회공동체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리 건축사사무소의 미션입니다. 고객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건축사로서 사회적인 역할을 다하는 건축사사무소가 되고자 합니다. 회사를 설립하면서 회사 방향과 비전을 고민한 끝에 ‘상식과 집중’을 키워드로 설정했습니다. 모든 일을 상식적으로 하고, 업무를 대할 때는 높은 집중력을 가지면서 최대한의 효율을 내는 것이 워라밸을 높이는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공유하고 싶거나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는? 박유리_최근 진행했던 고교학점제를 위한 ‘학교 공간 사용자 참여 설계 프로젝트’ 입니다. 고등학교의 공간 재구조화 프로젝트를 맡아서 4개월 정도 교육공동체(..
2023.04.20 -
[공간공감] 안아주세요 2023.4
Hug me 그림 한정훈
2023.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