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74)
-
도시의 정체성 ② I. 도시 서울, 역사 이전의 흔적부터 지금까지 2023.2
Identity of the City ② I. Seoul City, traces of the past to the present in history ‘도시 서울, 역사 이전의 흔적부터 지금까지’는 위에서 이야기한 세 개의 코어를 전제로, 그 결과로써 도시가 만들어진 세 개의 시기로 나누어서 전개하고자 한다. 첫 시기는 도시 서울의 원형이 만들어지기 이전, 두 번째 시기는 조선시대의 수도로서 도시 원형이 구축되고 그 원형의 구조 안에서 자기 진화가 진행된 500여 년의 고전시대, 세 번째 시기는 근 현대 시대로, 20세기 100년의 시간 동안 진행된 도시의 변형, 근대화 및 현재의 모습이 만들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대들의 비교는 도시 서울이 스스로 가지고 있는 물리적 형상으로서의 존재에서, 형이상학적 원리..
2023.02.16 -
용어@건축 12건축 2021.12
Term@Architecture 12 Architect architectural terms 건축용어 우리나라 건축용어 중에는 왜 그렇게 표현하는지 어원을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 연재에서는 필자가 이해하기 어려웠거나 호기심이 크게 생겼던 표현들을 소개하고, 그 어원과 출처를 추적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과 함께 보다 적절한 표현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계기를 갖고자 합니다. 나를 낳아주고 키워주신 부모님을 떠올려보자. 이 분들이 친부모가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 사람이 있을까? 출생의 비밀이 있어야 재미를 더하는 막장 드라마가 아니고서야 부모님을 의심하는 것은 흔한 일은 아닐 것이다. ‘건축사에게 「건축(建築)」이 적절한 용어인가?’라는 의문은 ‘부모님이 친부모일까?’라고 의심하는 정도..
2023.02.14 -
용어@건축 03목재(木材) 2021.3
Term@Architecture 03 Wood architectural terms 건축용어 우리나라 건축용어 중에는 왜 그렇게 표현하는지 어원을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 연재에서는 필자가 이해하기 어려웠거나 호기심이 크게 생겼던 표현들을 소개하고, 그 어원과 출처를 추적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과 함께 보다 적절한 표현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계기를 갖고자 합니다. 이 땅에서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었던 건축재료를 꼽자면, 단연 목재일 것이다. 지금도 목재는 건축재료에서 빠질 수 없는 소재이다. 현대에 와서는 물류의 발달로 동남아시아와 남아메리카의 활엽수종을 가공한 목재에서부터 캐나다, 북유럽, 그리고 러시아 지역의 침엽수종을 가공한 목재까지 다양한 모습과 방법으로 목재를 건축재료로 사용하고 있..
2023.02.01 -
북한건축 워치 01Ⅰ 북한의 건축설계 2021.3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1 1. Architectural Design in North Korea 연재를 시작하면서 2010년 이후 악화일로를 걷던 남북관계가 2018년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인하여 개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대북사업 TF팀을 만들거나 정비하였다. TF팀을 만든 것으로 알려진 건설사는 삼성물산, 대우건설, 포스코 건설, GS건설, 롯데건설 등(북미정상회담, 건설사 잇따라 대북 TF 구성…통일건설포럼·세미나 등 러시/ E-대한경제, 2018-06-14)이었으며, 정림, 희림 등 대형건축사사무소도 북한사업관련 TF팀을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건축・건설업계는 오래 전부터 북한개발에 큰 기대를 가지고 있다. 남한의 SOC(사회간접자본)와 주택시장이..
2023.02.01 -
도시의 정체성 ①‘현재의 도시, 서울’의 도시성 어휘에 대해 2023.1
Identity of the City ① About the Urbanity Vocabulary of “Current City, Seoul” 연재를 시작하며 2023년 1년간 소개될 이 연재는 2008년 로마국립대학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 「서울의 정체성 : 도시물성의 잠재성과 가능성 연구(Configurazione dell’Identita’ della Citta’ di Seoul : Le possibilita’ e potenzialita’ della fisicita’ urbana)」을 기반으로, 논문작성 이후 15년 동안의 서울의 변화과정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서울의 도시성에 대한 핵심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베니스건축대학 졸업 후 한국에서 실무와 스튜디오 수업을 진행하며, 베니스에서 배운 유..
2023.01.19 -
중국의 건축 연재 03 _ 다른 용도로 리모델링된 중국의 건축물들 2018.05
Chinese buildings remodeled for other purposes 중국에서는 오래된 건축물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변화시켜 문화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건축물 외관에 치중하기보다는 골조만 두고 리모델링하는 것이다. 여기에 소개할 3개의 건축물 또한 오래된 건축물을 리모델링한 것으로 중국 내에서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1. 상해당대예술박물관 : Power Station Of Art 개요 위치 : 중국 상하이(上海市黄浦区花园港路200号) 건축주 : Shanghai Expo Land Co., Ltd 설계 : TJAD _ Original Design Studio 대지면적 : 19,103㎡ 건축연면적 : 41,00㎡ (층고 : 27m / 전시공간 : 15,000㎡..
20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