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67)
-
살아 숨 쉬는 건축여행 ⑨백두산, 고구려유적지 답사 및 심양건축대학교 견학 2023.3
A living and Brenthing Tourism for Architecture ⑨ Baekdusan Mountain, Goguryeo Historic Site, and a Visit to Shenyang Architectural University 2018년 10월 6일, 김성우 연세건축역사 연구소 팀과 김준봉 심양건축대학교 건축토목과 교수 공동주관, 심양대 건축대 대학원 팀 초청으로 12시 30분 남방항공편에 출항했다. 모든 일정은 백두산, 고구려 유적 및 환도성 답사 일정과 심양 건축대학교 견학으로 짜였다. 12시 30분에 인천공항을 출발, 13시 30분 심양공항에 도착해 심양공항(선양) 버스를 탑승 후 공항주차장을 출발했다. 통화를 거쳐 송강하로 이동(6시간) 중, 서파 만주족식당에서 저녁식..
2023.03.17 -
살아 숨 쉬는 건축여행 ④소읍도시 형성과정과 예산발전 문제점 제시 2022.9
A living and Brenthing Tourism for Architecture ④ Formotional Process of Modern town & Problems on Yesan County development 1. 고려와 조선시대 행정체계상 예산의 위치 고려시대의 치도는 한마디로 역로가 대표적인 육상교통통신시설이었다. 역로의 등급은 대로·중로·소로로 나누고 역정을 배치하였으며, 역은 6등급으로 구분하여 일과에서 5과로 정하고, 일과는 개경에서 서경(평양) 사이였으며 이과는 서경에서 의주 사이였다고 한다. 994~995년 경 역로와 역수를 간추려보면 평구도의 경우 30역, 금교도는 16역, 여교도 12역, 충청주도 34역 등으로 고려의 역제는 22역 역도로 구분되며, 총 525역이란 방대한 역..
2023.02.23 -
다소 자극적인 건축인의 생로병사 2022.7
The somewhat exciting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of architects 생각하고 싶지 않지만 생각하게 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얼마 전 유명을 달리하신 한 건축사분의 모바일 부고장이 나에게 좀 충격이었다. 그분과 나 사이에 어떤 연결고리는 없다. 다만 비슷한 연배로 추측이 되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지금껏 부고는 대부분 우리의 조부모님 또는 부모님에 관련된 것이었다. 그래서 부고에 대해 그리 큰마음이 남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던 중 갑자기 이 부고장이 눈이 들어온 것은 특히 건축사 당사자에게 일어난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지만, 사실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일면식도 없는 그분의 부고가 나에게 마음의 충격으로 ..
2023.02.21 -
상가주택에 대한 단상 2022.3
A thought on commercial housing 상가주택은 지금의 투닷을 있게 해준 고마운 주제다. 우리에게 버티기의 생존이 아닌 주도적 생존 전략이 필요함을 깨닫게 해준 상가주택에 대해 정리해보고, 더 발전된 생각을 쌓아가고자 한다. 상가주택의 한계 신도시나 도시개발구역의 점포(상가)주택지는 도시의 비좁은 골목의 빌라촌과는 여건이 다르다. 도시 빌라촌의 태생은 단독주택지이다. 단독주택의 크기에 적합한 토지와 도로의 크기를 갖고 있던 것이 점차 빌라촌의 모습으로 변화된 것이다. 1가구를 위한 단독주택지에 다가구를 넣고 적층하다 보니 주거환경이 좋을 수 없다. 물론 그 한계를 인정하고 그에 적합한 다가구 형식을 고민해 적용했더라면 지금의 빌라촌과는 사뭇 다른 모습일 수도 있었겠으나, 불행히도 그 ..
2023.02.17 -
문예와 건축 _ 영화로 읽는 소설 속 도시와 건축 ⑪ <소레카라(Sorekara-それから)> 1985년 모리타 요시미츠 감독 2023.2
Architecture and the Urban in Film and Literature ⑪ film 1985 directed by Morita Yoshimitsu 1985년 모리타 요시미츠(MORITA Yoshimitsu_森田 芳光, 1950~2011)감독/ 나츠메 소세키(NATSUME Soseki_夏目 漱石, 1867~1916)의 소레카라(それから, 其后, lit. "And Then", 1909) 원작/ 츠츠이 토모미(TSUTSUI Tomomi_筒井ともみ, 1948~ ) 각본/ 우메바야시 시게루(UMEBAYASHI Shigeru_梅林 茂 1951~)음악(running time: 130 minutes) 주연 : 마츠다 유사쿠(MATSUDA Yūsaku_松田 優作, 1949~1989), 후지타니(오카무라..
2023.02.16 -
도시의 정체성 ② I. 도시 서울, 역사 이전의 흔적부터 지금까지 2023.2
Identity of the City ② I. Seoul City, traces of the past to the present in history ‘도시 서울, 역사 이전의 흔적부터 지금까지’는 위에서 이야기한 세 개의 코어를 전제로, 그 결과로써 도시가 만들어진 세 개의 시기로 나누어서 전개하고자 한다. 첫 시기는 도시 서울의 원형이 만들어지기 이전, 두 번째 시기는 조선시대의 수도로서 도시 원형이 구축되고 그 원형의 구조 안에서 자기 진화가 진행된 500여 년의 고전시대, 세 번째 시기는 근 현대 시대로, 20세기 100년의 시간 동안 진행된 도시의 변형, 근대화 및 현재의 모습이 만들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대들의 비교는 도시 서울이 스스로 가지고 있는 물리적 형상으로서의 존재에서, 형이상학적 원리..
202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