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건축사(1542)
-
02 비즈니스가 윤리적이어야 할까? 2021.6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편집자 註 이번 건축담론의 주제는 경영 윤리와 관련된 것이다. 의외로 건축계 사람들은 경영이라는 말을 낯설어 한다. 그리고 본인들의 일이 비즈니스의 영업과 전략에 해당된다는 것도 인지하려 들지 않는다. 그저 화가처럼 개인의 창작 욕망에 끌려서 작품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건축이 어려운 것은 바로 이런 창작을 바탕으로 기술자로서 책임도 가지고, 경영자로서 윤리 의식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거기다 영업을 통한 이윤창출로 조직을 운영해야 한다. 건축사는 창작 예술인이기도 하지만, 타인의 시간을 사용하기 위해 계약하는 조직관리인이자 경영인이기도 하다. 그런데 우리나라 대부분의 건축대학에서는 창작 예술인으로서, 기술장인으로서 건축학도들을 지도하고 가르치..
2023.02.06 -
03 슬기로운 건축사 생활건축사사무소를 경영하는 리더의 역할 2021.6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편집자 註 이번 건축담론의 주제는 경영 윤리와 관련된 것이다. 의외로 건축계 사람들은 경영이라는 말을 낯설어 한다. 그리고 본인들의 일이 비즈니스의 영업과 전략에 해당된다는 것도 인지하려 들지 않는다. 그저 화가처럼 개인의 창작 욕망에 끌려서 작품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건축이 어려운 것은 바로 이런 창작을 바탕으로 기술자로서 책임도 가지고, 경영자로서 윤리 의식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거기다 영업을 통한 이윤창출로 조직을 운영해야 한다. 건축사는 창작 예술인이기도 하지만, 타인의 시간을 사용하기 위해 계약하는 조직관리인이자 경영인이기도 하다. 그런데 우리나라 대부분의 건축대학에서는 창작 예술인으로서, 기술장인으로서 건축학도들을 지도하고 가르치..
2023.02.06 -
[건축비평] 주제의 삶 – 이로재김효만의 건축 2021.6
Architecture Criticism Stellafiore -The Life of a Theme. The Architecture of IROJEKHM 스텔라피오레? 화헌, 그리고 최근 경독재- 이들 건축물의 이름은 지금의 현실과 동떨어져 있고, 이들이 전통에서 온 것이라고 여기더라도 그 모습은 예상과 달랐다. 주변의 현장 건축과는 다르게 다들 초연한 자태였다. 이들을 보았을 때의 충격은 아직도 가시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환원의 대상이 없기 때문에 더욱 그랬을 것이다. 그런데 ‘스텔라피오레’는 새롭게 기대하지 못한 방식의 충격을 한층 더했다. 19채의 단지를 위한 별과 꽃의 주제어, 주제의 직유라고 해야 옳을 것 같은 외관, 그리고 다양한 색채. 세 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진 주거와 건축물보다 훨씬 높이 ..
2023.02.06 -
스텔라피오레 2021.6
STELLA FIORE 속세를 등진 별세계 답답하고 긴장된 현실 사회와 지루하게 연속되는 획일적 도시풍경을 등지고, 속세와의 경계를 따라 흐르는 실개천 위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세계로의 관문인 STELLA BRIDGE를 건너면 19개의 ‘삶의 별’들이 서식하는 별들의 세계가 펼쳐진다. 별들의 착륙 남향의 태양빛을 최대한 실내로 인입하기 위하여, 또 주변 풍경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실내에서의 회화적인 풍경 연출을 꾀하기 위해, 그리고 각 실내의 원활한 자연통풍을 위해서, 다양한 각도의 경사지붕들과 고창들이 각 세대마다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었다. 인접 세대로부터의 시선을 상호 차단하기 위한 경사날개벽의 부가, 또한 가파른 경사지형을 따라 흘러가는 스킵플로어 형식으로 배치된 지그재그식 동선이 만들어내는 역동..
2023.02.06 -
청송 지역아동센터 2021.6
Cheongsong Local Children’s Center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의 소외된 ‘아이’들을 위한 공간이다. 대상이 되는 아이들에게 아동센터는 학교를 마친 후에 갈 수 있는, 지역에서 거의 유일한 놀이공간이자 보호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에서 이 공간은 어떤 시설보다 더 주민들에게 관심받아야 하고, 더 좋아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지역아동센터는 지역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고, 서로 단절되어 있다. 아동센터라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 지역의 어떤 아이들이 아동센터에 있는지, 그 아이들이 그곳에서 무엇을 하며 지내는지 지역 구성원들은 잘 알지 못한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지역아동센터는 아이들에게 충분한 자극과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있지 못하다. 대부분은 물리적 공간만을..
2023.02.06 -
청년공간 길:이음 2021.6
Youth Space Gil:eum 대지는 길음역 7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하며 20미터 도로에 접하고 있다. 작은 점포들이 연속되어 있던 거리에 근린생활시설이 차츰 들어서면서 거리의 풍경이 바뀌고 있다. 기존 건물은 1960년에 시멘트블록으로 지어진 단층의 단독주택인데, 마당 부분을 점포로 활용하기 위해 지붕을 덧붙인 것이 확인됐다. 이번 작업은 건축물대장에 기재된 면적에 맞추어 증축된 부분을 덜어내고 내부의 칸막이벽을 철거하여 청년공간으로 리모델링하는 작업이다. 지붕은 일본식 중목구조로 틀이 형성되어 있어 그 뼈대를 드러내기 위한 작업이 공사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마당의 지붕을 철거하고 보니 60년이 된 목재틀은 재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훼손되어 있어 그 형태를 유지하며 새로운 목재로 뼈..
2023.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