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108)
-
“마스터 플랜은 땅의 가치를 읽고, 최적화된 콘텐츠를 담아내는 과정입니다” 건축사 강승우 2025.1
“Master Plan is a process of reading the value of the land and containing optimized content” 리조트, 테마파크, 복합 주거단지 등 스펙트럼 넓은 건축 설계 이어온 마이 건축사사무소 국내외서 마스터 플랜 및 콘텐츠 개발 이어와 “건축적 디테일도 좋지만 도시적 컨텍스트 전반을 고려해 설계해야” “건축사라면 되도록 건강한 건축을 지향해야 합니다. 건강한 건축이 별거인가요. 건축주의 예산에 맞춰 오랫동안 사용하기 편한 건축물을 설계하는 거죠.” 리조트, 테마파크, 복합 주거단지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건축 설계를 진행하며 특화된 역량을 쌓아온 강승우 건축사. 그는 1995년 에버랜드의 대규모 워터 파크인 캐리비언베이와 쇼핑편의 시설 지역..
2025.01.31 -
[인터뷰] 전통성의 이미지와 기능 담은 광명전통무형유산전수관…“내·외부 경계 흐리며 주변과 유연하게 관계 맺는 건축 희망” 건축사 오승태 2025.1
Gwangmyeong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er with the images and functions of tradition… “Hoping it will become a building that blurs internal and external boundaries and flexibly harmonizes with its surroundings” ‘광명전통무형유산전수관’은 광명농악과 서도소리 등 무형문화재를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 전수관은 기형도문화공원 내 삼각형 부지(전체 연면적 997.13㎡)에 위치하며, 공연장, 연습실, 교육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2024년 8월에 개관했다. 오승태 건축사는 “광명이 지닌 소리와 전통의 ..
2025.01.31 -
아이 엠 키라_“다양한 건축물을 계획하며 다양한 삶을 만나보고 싶습니다.” 건축사 이윤희 2024.12
I AM KIRA Q. 건축사사무소의 미션과 비전은? 건축사사무소 사이(studio)의 ‘사이’는 한자 ‘사이 간(間)’을 뜻합니다. 인간(間)과 공간(間)으로 이루어진 세상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성찰하는 건축을 추구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사무소 이름을 이렇게 지은 이유는 사무엘 막비와 루럴 스튜디오(Rural Studio)가 제가 되고자 하는 궁극적인 건축사의 모습이기 때문입니. ‘Rural Studio: Samuel Mockbee and an Architecture of Decency’라는 책을 통해 사무엘 막비와 루럴 스튜디오를 알게 됐는데요, 저 역시 루럴 스튜디오처럼 건축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공동체의 복지와 발전에 기여하는 건축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저..
2024.12.31 -
아이 엠 키라_“이견이 없는 건축…건축주 의도 명쾌한 건축적 해법으로 풀어낼 것” 건축사 박성욱 2024.12
I AM KIRA “늘 깨어 있길 바라고, 그래서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한 갈증이 있습니다.” 박성욱 건축사(스퀘어 건축사사무소)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자신의 삶의 방식을 건축에 투영하고 있다. 그렇다고 과거의 프로젝트를 소홀히 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그것들이 자신의 기반이자 발판이 되어 준다는 사실에 감사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 주목한 ‘I AM KIRA’는 광주광역시건축사회 소속 박성욱 건축사이다. 건축사사무소의 미션과 비전은? 건축의 기본 형태는 사각형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건축 경험을 통해 여러 형태를 접했지만, 사각형 형태일 때 건물의 마감, 디테일, 그리고 내부 요소들, 예를 들어 가구 등이 가장 간결하게 자리 잡는다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사각형 형태는..
2024.12.31 -
“친환경과 지속 가능성 고민 깊었던 작품들이 트렌드 형성” 건축사 인의식 2024.12
“The works that have deeply considered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are becoming a new trend.” 출품 작품 많은 민간건축 부문 우수상 추가되길 희망 설계자의 설계의도 구현 준수되는 공공건축 ‘기대’ 인의식 심사위원장은 2024 한국건축문화대상 시상식에서 심사 경과 보고를 통해 수상작들에 대한 깊은 애정을 나타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공공건축 분야의 설계공모 제도 문제 개선, 설계 의도 구현의 중요성 등 다양한 문제를 지적하며, 국내 건축문화의 발전과 이를 위한 한국건축문화대상의 과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시상식 후 그를 만나 심사 과정에서 느낀 소회와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들을 수..
2024.12.31 -
2024년 프리츠커상 수상자 야마모토 리켄 “사람의 사회성 최대한 발굴해내는 게 건축사의 임무” 2024. 12
The 2024 Pritzker Architecture Prize Winner, Riken Yamamoto, “The mission of an architect is to fully uncover and maximize human sociality.” 사회성 강한 건축 철학 견지해 온 야마모토 리켄 2024 프리츠커상 심사위원 ‘공동체 가능하게 하는 데 기여’ 평가 “사람들이 공존하는 커뮤니티 만드는 것이 건축 설계자의 역할”Riken Yamamoto, who has upheld an architecture philosophy emphasizing strong social engagement. 2024 Pritzker Prize Jury: “Recognized for contributing t..
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