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6)
-
명륜동 네박공집 2022.8
Myeongryun-dong four-perforated roof 하마비(下馬碑) 오래된 동네는 뭔가 다르다. 동네 입구에는 하마비下馬碑(말을 타고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표시)가 있었고, 3.1운동 집결터 등의 안내문에서 이 동네의 역사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비석과 표식 외에 3~4층의 다세대 주택이 이미 점령한 동네는 어디에서도 역사를 읽을 수가 없었다. 서울 종로구 명륜동이다…. 산업화 이후 1990년대까지, 우리의 오래된 동네들이 이렇게 변했다. 이 오래된 동네에 현재 우리의 삶은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나? 이 프로젝트는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집합주택의 연접 방법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이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모여 살기 두 필지가 연접해 있는 부지는 사업성을 위해 ..
2023.02.22 -
인왕3분초-숲속쉼터 2021.10
Inwang Guard Post Forest Retreat 서울의 정체성은 산과 한강이 이루는 특성에서 비롯된다. 인왕산은 수려한 모습과 더불어 사이사이 작은 계곡마다 오랜 거주지와 연결된 삶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우리는 인왕산과 조선시대 중인들의 거주지였던 서촌에 존재했던 위항문학에 주목했다. 위항문학은 지역을 거점으로 한다는 점에서 역사와 장소적 의미가 결합된 문화적 산물이자, 계급사회 신분의 속박 속에서도 지식인으로 성장한 중인들이 만들어낸 역설이다. 1968년 1.21사태 이후 북악산과 인왕산에 30여 개의 군 초소가 들어서면서 오랫동안 시민들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점차 그 수를 줄여오다가, 2018년 현 정부가 한양도성 성벽에 설치된 20개 경계초소 중 18개를 철거하고 2개소는 훼철과 복원의..
2023.02.10 -
창신제2동 마을회관 2021.10
Changsin 2-dong Village Hall 창신2동마을회관은 동대문역 한양도성박물관이 위치한 서울한양도성 성곽 근처에 인접한다.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 가쁜 숨을 쉬어가기 좋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애초의 계획은 창신2동 주민센터 내의 자치회관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기존 1층의 마을회관을 2층으로 증축하여 부족한 공간을 확보할 예정이었다. 기존 건물 노후화에 따른 슬라브와 보, 벽체의 보강, 내진설계를 반영하고 전기설비와 기계설비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므로, 증축할 경우 공공건축물 표준 공사비 예산 외에도 구조보강 공사비가 예산의 50% 추가로 필요했다. 이에 공사비 증가 사유를 구청장에게 보고하고 증축의 경우와 신축의 경우를 비교 검토하여, 전체 소요예산이 비슷할 경우 건물의 물리적 수명과 기..
2023.02.10 -
부암동 투루프 하우스
Buam-dong Two Roof House 북악산 산기슭에 자리 잡은 이 대지는 북악산의 좋은 전망과 남쪽으로 열려있는 좋은 대지조건을 가진다. 북측의 인접도로보다 낮은 경사지라는 대지조건을 이용하여 도로에서 2층으로 바로 진입하는 방식을 택하였고, 이로 인해 마당에서 보면 2층이지만 도로에서 보면 단층 건물처럼 보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집을 계획하였다. 이는 인접도로가 넓지 않은 상황에서 보행자의 시선에 위압감을 주는 건물이 아니라 골목 스케일의 친근한 집으로 보이고 싶은 의도에도 부합했다. 도로 쪽 입면에는 부쩍 많아진 부암동의 유동인구로부터 시선을 차단하는 장치를 계획해야 했지만, 그것이 단절이나 차단의 역할을 하는 것은 원치 않았기 때문에 목재 루버를 통해 시선을 어느 정도 ..
2023.02.08 -
비비정(備比庭) 2021.5
Bibi-jeong 자연과 공생하는 도심 속 단독주택 남북방향으로 세장하게 꺾인 형상의 부정형한 경사대지가 주는 계획의 한계는 계획과정의 수고로움을 예고했다. 비비정(備比庭)은 어쩌면 이러한 일련의 제한된 조건들을 계획의 ‘단서’로 재해석하고 치환하는 과정의 결과물인지도 모르겠다. 먼저, 대지에 순응하여 높낮이를 나눠 두 개의 영역으로 분절하고 사이를 비워내는 것으로부터 계획을 시작한다. 남북방향으로 장방형인 터라 채광에 불리한 조건을 두 개 영역 사이에 중정(中庭)을 두어 비워내었다. 중정과 면해 연속하여 흐르는 복도를 따라 내부공간으로 연결되는 중정을 둘러싼 곳곳의 테라스 외부공간은, 일상 속에서 자연과 부단히 교감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비비정(備比庭)은 자연과 가족의 일상이 부단히 교차하고 교감..
2023.02.03 -
가회동 주민센터 리모델링 2019.3
Gahoe Dong Office Remodeling 2017년 ‘찾동 사업’으로 시작된 가회동 청사의 설계는 몇 차례 협의를 거치며 전면 리모델링으로 변경됐다. 기존 청사는 공간건축에서 설계하고 1995년 완 공되어 20년 넘게 사용된 건물이다. 신축 당시 길의 연장으로서의 필로티, 2층 민원실 설치, 2∼3층의 오픈 공간 등 많은 건축적 아이디어를 가진 건축이었으 나, 노후화된 설비, 비효율적인 공간 배치, 장애인 엘리베이터의 부재 등으로 대대적인 개선이 필요하게 됐다. 어떻게 기존 건물의 역사를 간직한 채 새로운 건물로 탄생시킬 것인가와 주민 이용을 극대화하고 이곳이 그들의 공간임을 드러낼 것인가가 중요한 건축적 목표가 됐다. 건물 전면에 가벽을 설치해 대칭이던 건물 입면에 변화를 주었다. 질감이 풍..
202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