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206)
-
탑클라우드 포레 2024.1
TOPCLOUD FORET 이 프로젝트는 대지의 위치와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시작된 분양 프로젝트이다. 소비자적 시각에서 대지의 활용가치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시대적 주거형태, 환경, 서비스 시설 등의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시작한 타운하우스이다. 공원이 감싸고 있는 대지의 형태와 지형, 자연 특성 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건물의 배치에 있어서 3면의 개방성을 가지며, 대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각각의 건물이 갖고 있는 정형화된 건축의 단조로움은 대지의 효과적인 사용과 더불어 시각적 피로함을 덜어내면서도 입면 재료 분할과 볼륨감 부여로 각도에 따라 형태적인 개성을 느낄 수 있도록 계획했다. 2층 발코니와 개방된 옥상 발코니는 거주자에게 풍부한 경관을 제공하고, 단독주택의 개방감과 합리적인 ..
2024.01.31 -
돌샘길 카페 2024.1
Cafe Dolsaemgil 부지 통영의 안산인 미륵산과 오랜 역사의 전통 고찰인 용화사 광장에서 약간 비껴간 곳으로, 산에서 흐르는 소하천을 복개한 도로를 낀 10여 채의 주택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곳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요즘 보기 힘든 탱자나무 울타리가 부지를 따라 펼쳐져 있다. 배치 본채는 인접한 이웃집 건물에서 최대한 이격하여 확보된 열린 공간에 꽃과 나무를 심어 동네 정원으로 조성했으며, 길을 따라 이어진 탱자나무 울타리와 기와를 씌운 돌담을 낮게 조성해 자연스러움을 더하는 동시에 내·외부에서의 시선이 막힘없이 흐르도록 계획했다. 또한 과거의 기억 속에만 남아 있는 복개천 물을 마당으로 끌어와 낙차를 통해 청량감 있는 물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시각적으로도 좋은 감성을 더해 과거와 현재..
2024.01.31 -
회원 첫 작품_유유재 2024.1
YUYUJAE - A Tranquil House 유유재(𤘜有齋)_고요하게 자리한 집 배경(背景)을 살피다_ 도․농 경계부에 위치한 집 순천은 수려한 자연을 가진 거대한 정원이다. 철새의 낙원 순천만, 드넓은 황금빛 논과 밭, 한국의 산지승원 선암사. 자연 풍경과 함께하는 도시, 순천의 지역 거주민은 문 앞을 나서는 순간 커다란 마당이자 정원과 마주하게 된다. 도시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단계에서 부지에 주어진 다양한 차원의 배경(背景)을 먼저 살폈다. 특히 유유재(𤘜有齋)가 자리 잡은 동네는 도시 끝자락에 위치하여 도시와 농경지의 경계라는 도시적 맥락을 바탕으로 한다. 도시와 농경지의 상반된 풍경, 상반된 밀도 경계에 위치해 시각적 배경을 누리고 담아낸다. 기능은 전형적인 상가주택으로, 학업과 직장으로 인해..
2024.01.31 -
펀그라운드 진접 2023.12
Funground Jinjeop 남양주시 장현로는 오랫동안 오일장이 열리며 구도심의 중심을 형성해왔지만, 지금은 왕숙천 너머 신시가지 개발로 활기를 잃은 풍경이다. 그런 거리에 네 개의 거친 콘크리트 코어탑은 분절된 덩어리로 펀그라운드의 존재를 알린다. 매끈한 곡면 루버의 반복은 이와 대비를 이루며 윤곽을 만들고 청소년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 도로에서부터 실내를 거쳐 후정까지 하나로 연결되며 이어지는 광장은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다양한 방식으로 이곳을 찾아오고 이용하도록 해주는 도시적 장치이다. 펀그라운드 진접은 기존 청소년시설의 한계를 넘어서 그들이 주인이 되어 만들어 나가는 문화 거점 시설이자 아지트로서, 건강한 교류와 즐거움이 가득한 열린 플랫폼을 만드는 과감한 시도이다. 언더그라운드_ 광장, 소통,..
2023.12.30 -
콤포트서울 _ 후암소월1길 1 2023.12
Comfort Seoul 공공을 위한 소월길 연결로의 새로운 제안 본 프로젝트는 후암동 마을에 절벽으로 단절되어 있던 소월길과 두텁바위길을 연결하는 프로젝트이다. 기존 소월길 접근로의 물리적 단차를 극복하는 단순한 장치의 성격을 넘어 누구에게나 열린 새로운 길이 되어, 사람들이 모이고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공간이 되길 원했다. 도시의 공간경험은 대부분 길에서 이루어진다. 건축 역시 주어진 길의 환경 속에서 길과 공간의 관계를 고민한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를 기존의 길과 공간의 단편적인 관계로 규정짓는 것이 아니라 마을의 새로운 길 자체로 만들고 이를 통해 어떤 경험과 변화가 만들어질지 관찰하고자 했다. 마을 주민들에게 내어준 길 두텁바위길과 소월길 사이 약 15미터의 단차를 활용해 풍부한 공간경험을 가진..
2023.12.30 -
강화바람언덕 협동조합주택 2023.12
Ganghwa House Complex 강화도 산마을고등학교 학부모 몇 분의 발의로 시작해,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의 도움과 참여로 최종 12가구의 가족이 모여 함께 부지를 물색하고 예산을 마련, 마을의 정체성과 지향하는 모습 등을 구체화해 가며 3년여의 노력 끝에 결실을 거두어 완성된 협동조합형 마을이다. 첫째로 조합원들이 주체가 되어 직접 참여하고 검증해 평생 거주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주택을 건립하고, 둘째로 조합원 각각의 개별적 거주와 더불어 함께 사는 공동체 환경이 발휘될 수 있는 마을 공간을 만들며, 셋째로 배타적인 전원마을 조성이 아니라 기존 마을과의 관계를 소중히 하고 기회를 공유할 수 있는 마을을 만들고자 했다. 필지별로 분할된 각각의 집들의 조합이 아니라, 열두 집 모두 열려 연속된 경관..
2023.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