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1487)
-
좌담회_전략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지렛대 삼아 차별화 포지션 지켜나가야 2023.1
Symposium 소규모 건축사사무소 어떻게 운영해 나가야 할까, 경쟁력은 무엇? 전략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지렛대 삼아 차별화 포지션 지켜나가야 사회 홍성용 건축사(건축사사무소 NCS Lab) 참석자 남기봉 건축사(남기봉 건축사사무소) 박우린 건축사(쿠쿠루쿠쿠 건축사사무소) 이관용 건축사(주.오픈스케일 건축사사무소) 이영재 건축사(주.건축사사무소 이인집단) 중국의 황금기를 이끈 당 태종 23년의 정치 토론 기록인 ‘정관정요’에는 ‘창업은 쉬우나 수성은 어렵다’는 구절이 나온다. 이는 원래 국가를 세우고 다스리는 법도에 관한 이야기지만, 기업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시장의 수많은 경쟁자를 제치고 고객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목표 고객의 니즈를 잘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것을 목표 고객의..
2023.01.20 -
공간공감 "같이 당근을 먹어요." 2023.1
Let's eat carrots together.
2023.01.20 -
신년인사 2023.1
Newyears Greeting 2023
2023.01.20 -
[건축비평] 알뜰한 자연 속에 자리 잡은 또 하나의 멋진 자연_ 자질구레한 평은 없는 이보다 못한 2023.1
Architecture Criticism _ Another wonderful nature in frugal nature Trifling reviews are worse than nothing 오래 전, 김중업 선생께서 들려주신 말씀이 있다. “건축이란 알뜰한 자연 속에 또 하나의 멋진 자연을 만들어내는 소중한 작업.” 거슬러 올라 우리 전통 건축이 보여주는 “어디까지가 자연이고 어디까지가 건축인지”와 같은 맥락이다. 자연 속에 비집어 들어온 콘크리트 구조물이 주경이 아니고 배경이 되는 경지, 그것이 최고의 경지라 일갈하셨다. 지리산 굽이굽이 고갯길을 한참이나 돌고 돌아 집 앞 진입로에 막 들어서면, 눈앞에 ‘less is more’ 마치 미스의 미니멀리즘 건축철학을 연상시키는 듯한 담백한 건축물 하나가 ..
2023.01.20 -
[특집] 우리동네키움센터_동작 5호점 우리동네키움센터, 동작 14호점 우리동네키움센터 2023.1
우리동네키움센터는 방과 후나 방학 등의 돌봄 공백 발생기간에 돌봄이 필요한 만 6~12세 아동을 돌봐주는 서울시의 초등 돌봄시설입니다. 2018년 6월 성북구(장위1동)에 1호가 시범 개소된 후 초등돌봄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키움센터는 서울시와 관할구(지자체)가 협력해 운영·실시하며 접근성을 중시하는 일반형(80제곱미터 이상 소규모), 지역아동센터와 협업해 마을권역별 돌봄거점으로 운영하며 긴급·주말 돌봄기능을 강화한 융합형(210제곱미터 이상 중규모), 서울시가 직접 운영하는 지역대표 특화 돌봄시설이자 문화·예술·체육과 부모교육 등을 강화한 거점형(1,000제곱미터 이상 대규모) 시설 세 가지로 나뉩니다. 2023년 1월 4일 기준으로 서울시 우리동네키움센터는 총 232개소가 운영 중입니..
2023.01.19 -
[특집] 2022년 전국 건축상賞 한 눈에 보기 2023.1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