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Office(39)
-
더 라움 서울 2022.2
The Raum Seoul 회사 내 프로젝트가 많아지면서 함께 설계할 팀원들을 구하기 위해 많은 구직공고를 내보았지만, 서울사무소가 아닌 지역적인 한계와 신생에 소규모 건축사사무소라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세 명의 건축사와 팀원들 간의 해결방안을 위한 회의를 통해 사무실을 분리해서 운영하는 방안으로 결정하였다. 양평과 서울 두 개로 분리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현재 팀원들을 중심으로 서울에는 디자인 연구소를 운영하고 양평에 건축사사무소를 분리해서 운영하는 것을 생각하였고, 적합한 위치를 물색하던 중 양평사무소와 대중교통으로 연결되면서 건축학과가 있는 대학교와 근접한 동대문구 휘경동의 부지를 선정하였다. 기존 건축물이 1954년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이라 과도한 구조의 조정은 어려웠고, 2..
2023.02.16 -
이원의료재단 송도의학연구소 2021.11
E-one Laboratory 間_ 사이, 잇다, 풍부하게 하다 두 건물을 600이라는 모듈과 같은 재료들을 최대한 사용해 하나의 큰 건물로 인식하게 하였다. 또한 연결 브릿지의 전면부, 후면부를 다른 높이로 계획하여 건물 사이에 위요감을 만들며 이어나갔다. 그 하부 공간들을 중정과 아트리움으로 잇고, 그 사이의 옥외에 대나무를 심어 바람이 지나갈 때마다 들리는 대나무의 사그락사그락 소리를 채웠다. 두 건물 사이의 주차장이라는 건조할 수 있는 공간에 바람의 소리를 채우며 공간을 풍부하게 하였다. 間_ 공간과 공간 사이 만남이 시작되는 곳, Multi-Lounge & Atrium 1층 로비는 복도를 기준으로 좌우로 놓인 멀티 라운지(Multi-Lounge)와 아트리움(Atrium)을 두어 연구원들이 자유롭..
2023.02.13 -
지타워 2021.5
G-TOWER 사람과 자연, 문화가 자유롭게 소통하는 G-Tower 사업지는 1960년대 구로공단(現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에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옛 정수장이다. 2005년 공업용수 공급 중단으로 폐쇄되었다. 이후 변모하고 있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 환경에 걸맞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구조고도화사업 대상 부지로 선정, G밸리 舊 정수장 부지개발 민간사업자 제안 공고로 개발계획이 이루어졌다. G-TOWER는 기존 사업지(舊 정수장 부지)로 인해 단절되어 있던 보행동선을 남북/동서 간 내· 외부연결통로 계획으로 지역 간 소통의 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으며, 지상 오픈스페이스 최대 확보를 통한 풍부한 녹지공간계획으로 지역주민에게 휴식과 문화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대지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디자인에 중점을 두..
2023.02.03 -
3.1빌딩 리노베이션 2021.3
SAMIL BUILDING RENOVATION 3.1빌딩 Concept 글. (주)건축사사무소 원오원아키텍스 1. URBAN 1-1. 정면성의 회복 파사드는 크게 기준층과 저층부, 그리고 옥상으로 나누어 계획하였다. 기준층은 3.1빌딩의 기존 파사드를 최대한 유지하되 에너지법과 건축법을 만족시키면서 약간의 변형을 주었다. 돌출 I빔은 플레이트용접 방식으로 기존의 R값이 보이지 않게 섬세한 변형을 주었으며, 내부 멀리언 바는 기존보다 얇고 길게 프로포션(비율)을 조정하여 I빔의 섬세함과 연속적인 느낌을 부여하였다. 북측의 코어박스는 전면의 유리커튼월 재료와 모듈과의 관계를 고려해 금속판넬로 디자인하되, 금속돌출 리브를 북측면 한 면에만 두어 섬세한 전면 디자인의 연속성을 유지하려고 했다. 그리고 기존 엘리..
2023.02.01 -
모제림 모발이식센터 리노베이션 2020.10
Mojelim Hair Transplantation Center Renovation 기존 건축물은 지하 2층-지상 7층 규모로 1993년에 지어졌는데, 설계 당시에도 23년 된 고건축물이었다. ‘신축 vs. 리모델링’이 사업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건축주는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최대 용적과 경제성 원리를 기준으로 저렴하면서도 퀄리티 있는 디자인을 요구했다. 리모델링 공사비로 신축 대비 60%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다각적으로 면밀하게 분석했다. 물론 빼어나고 가치 있는 디자인은 기본이었다. 디자인 방향은 기술을 바탕으로 디자인 가치를 완성하는 것이었다. 좀 더 구체적이고, 안정적이며, 특장점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는 확실성이 있어야 가능한 사업이었다. 각 층을 수평으로 증축하고 동시에 2개 층을..
2023.01.25 -
마곡 퀸즈파크13(마곡 C12-8,16) 2020.7
QUEENS’ PARK 13 마곡 퀸즈파크 13은 문영과 마곡에 진행한 5번째 프로젝트이다. 벌써 5번째인가 할 정도로 세월이 유수와 같이 빨리 흘렀으며, 마곡의 모습도 참으로 많이 변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이전 프로젝트들과는 다르게 공항대로의 동서의 강한 평행축을 갖는 대지가 아닌 남북의 축을 갖는 대지이다. “어차피 대지일 뿐 축이 무슨 상관이냐” 하겠지만, 예전부터 관습적으로 내려오던 서울의 메인 축은 동서축이라는 고정 관념 때문에 남북의 축을 갖는 대지는 왠지 모르게 메인이라기 보다는 마이너한 대지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쓸데없는 편집광적인 잡념일지 모르겠으나, 세운상가가 그랬듯이 남북축의 상가가 가지는 부정적 이미지를 떨쳐 버릴 수 없었음은 건물 디자인에도 반영될 수밖에 없었다. 도로에 면한 메인..
202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