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728)
-
구미도시재생혁신지구 그린융합밸리 _ 2022. 5
Green Convergence Valley 누구나 머무르고 싶은 그린 융합밸리 쇠퇴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산업단지’ 구미 제1공단 일대가 도시재생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와 사람이 넘쳐나고 자연이 더해진 지역의 랜드마크로 새롭게 태어난다. 서측의 광평천과 동측의 낙동강 사이에 있는 대상지는 자연을 이어주는 그린네트워크와 연계하여 도시 연결의 새로운 흐름을 더한다. 이 흐름의 한가운데 위치한 대상지는 구미만의 역사적·입지적 잠재력에 따른 공간의 창조적 재활용을 통해 사람을 끌어들이고, 다양한 문화시설, 상권과 조화롭게 연계되어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이 된다. 산업단지의 특성상 서로 단절된 도시공간에 보행동선을 유입해 보행자 중심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전략이다. 이에 따라 남북축을..
2023.02.21 -
삼양 반다비 체육센터 _ 2022. 4
Samyang Bandabi Sports Center 일반인과 장애인을 구분하거나 장애인만의 전용공간이 아닌 모두가 동등하고 특별하지 않은 일상적인 공간을 제안했다. 주 이용객의 상당수가 장애인일 가능성이 높은 시설인 만큼 제약적인 환경을 최대한 배려하고 모두가 공유되는 관계 속에서 ‘장애인 전용’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흩트리는 시도를 통해 ‘비일상’으로 인식되었던 우리 삶의 부분들을 ‘일상’의 자리로 ‘치환’ 하고자 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반다비’의 가치라고 전제하며 우리가 경험해 온 운동시설과는 사뭇 다른 풍경을 연출하여 우리에게 익숙한 일상적 공간을 경험하게 하고자 했다. 우선 기능적으로 기존 축구장, 실내체육관, 실내 게이트볼장, 주차장과 동떨어진 반다비 체육센터 사이에 강한 동선 축을 형성하..
2023.02.21 -
아산시 농업기술센터 농기계보관창고 2022.6
Asan Agricultural Machinery Storage Warehouse 건축, PVC PIPE를 입다 아산시 농기계보관창고(PVC PIPE SKIN)는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폐PVC 파이프를 업사이클링하여 설계한 건축물이다. 폐PVC 파이프를 건축과 접목시켜, 투명성과 자연채광 및 자연통풍의 효율을 높였다. 이러한 크로스오버는 폐품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신선한 디자인 요소로서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주어진 (주변)상황과 사용자를 위한 기능과 형태를 PVC 파이프 파사드 디자인을 통해 조화시킨 프로젝트이다. 용도와 환경을 생각하다 아산시 농기계보관창고는 약 30센티미터 길이(변화치수 적용)의 PVC 파이프로 내·외부 입면을 이룬다. 디자인적으로도 뛰어난 면모를 보이지만, 더 중요한 것..
2023.02.20 -
파라스파라 서울 2022.6
PARASPARA Seoul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파라스파라 서울 리조트는 골조가 완성된 상태에서 2012년 공사가 중단된 후 7년간 방치되어 흉물로 남아있었다. 2019년에 재 착공하여 오래전 설계된 건축물을 현재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구조를 건드리지 않고 평면을 완성하여 새롭게 만드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대지면적 약 80,000제곱미터, 연면적 약 99,800제곱미터에 지하 3층, 지상 7층 규모로 숙박시설 14개 동, 문화 및 집회시설 1개 동, 총 15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객실은 334실(방수: 698개)로 사우나, 실내외 수영장, 옥상정원, 레스토랑, 연회장, 산악박물관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미 시공되어 있는 구조체와 면적은 가급적 변경하지 않는 조건에서 계획을 시작하..
2023.02.20 -
디_프리마 타운하우스 2022.6
The_Prima Twon House 제주에서 건축 작업을 하다 보면 제주 외의 지역에 건축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지역을 벗어나 다른 지역인 광주에 건축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늘 제주의 지역성을 고민하면서 작업을 하였으나, 이 작업에서는 보편성을 찾으려 하였다. 공동주택이 갖는 사용자가 정해지지 않은 보편적인 기능이 아니라, 그 땅이 갖는 공동 요소에서 보편성을 갖고자 하였다. 보통의 공동주거에 없는 접지성을 각 세대마다 부여하여 개별 마당과 테라스를 제공하고, 단독주거에서만 가질 수 있는 독립성도 확보하였다. 새로 개발되는 주변의 신흥 주거지에서 존재감을 부여하는 형태와 외장 재료 벽돌은 여타 공동주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이 프로젝트의 아이콘이 되어 보편적 건축에서 결여되기 쉬운 자존감을 보여..
2023.02.20 -
브릭하우스 2022.6
Brick House 건축주는 기존에 살던 타운하우스 생활을 정리하고 새로운 전원주택을 짓기를 원했다. 주택에서의 오랜 거주 경험을 통해 주택의 장단점과 자신의 취향을 확실하게 정리하고 있었다. 전원주택에 대한 막연한 환상보다는 현실적이고 명확한 요구사항들을 제시하여 설계 과정에서 실질적인 작업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었다. 대지는 북쪽에 도로를 두고 남쪽으로 트여 있어 좋은 전망과 채광을 확보하고 있었다. 동쪽으로 숲을 마주 보고 있어 자연을 바로 접할 수 있는, 주택의 입지로 볼 때 여러모로 좋은 땅이었다. 몇 번의 미팅을 통해 널찍한 대지를 니은(ㄴ) 자로 감싸는 형태의 매스로 안이 정리되었다. ‘ㄴ’자 형태의 매스는 건물을 이용해 대지 내·외부를 명확하게 분리하여 마당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함과 동시에..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