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761)
-
HDC랩스타워 2022.7
HDC labs Tower 도시 변위의 풍경(urban displacement-scape) 대지는 남부터미널 역 사거리와 강남의 뱅뱅사거리로 연결되는 도로에 위치한다. 주거지역과 상업공간이 혼재해 있어서 유동인구가 많고 교통의 흐름이 활발하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 가로공간 풍경의 변화에 있어서 보이는 것과 보여지는 것의 가변적인 상관관계를 타진하였다. 도시 건축 디자인의 바탕과 오브제의 관계에 있어서 연속적, 유기적, 이중적으로 가로공간 입면의 콘텍스트(context)를 재구성하여 단순함과 복잡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저층 가로공간에서부터 시작하는 지그재그로 엇갈린 형태의 곡면 파사드는 건물 전체 외관 형태를 다양한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이는 건물이 보이는 주변 가로공간의 위치에 따라서 도시 풍경의 다양..
2023.02.21 -
연희동 주택 2022.7
Yeonhuidong House 예전부터 주택들이 모여있는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한 이 주택은 목공방을 운영하는 건축주가 거주할 주택과 작업 공방을 함께 계획하는 프로젝트였다. 연희동의 지형적 특성상 대상지는 가파른 언덕에 위치하여 옹벽을 따라 올라가는 계단 보행로에 맞닿아 있었다. 대지가 가지고 있는 4미터 가량의 레벨차를 이용해 지하층 공방과 지상층 주택 공간의 출입구를 나누어 작업공간과 주택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효과를 주었다. 지상층으로 올라와 2층 계단을 올라서면 2, 3층 주택공간이 나오고, 건축주는 이곳에서 연희동 주택지의 전경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정북사선을 통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옥상 공간은 건축주의 취미이기도 한 가드닝을 통해 꾸며질 옥상정원이 될 것이다. Located in..
2023.02.21 -
다정다감(多庭多監) 2022.7
Dajungdagam 대지는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의릉을 품고 있는 천장산의 아래 자락에 있다. 흔히 ‘원룸’이라 불리는 용도와 약 132㎡(40평)의 작은 땅이지만, 가파른 경사지형을 활용해 지하 같지 않은 지하층을 만들고, 산 중턱에서 바라보는 도심의 풍경을 최대한 담아내는 것이 목표였다. 각 실의 독립성과 공용부에서의 조망 등을 위해 평면에서 ’틈'을 많이 만들었고, 그 ‘틈'이 지하 선큰까지 연결되도록 했다. 지하에는 5개의 작은 뜰(庭[정]/ 선큰)을 만들어 지하 환경을 개선하고, 각 실 및 공용공간에서 볼(監[감]) 풍경이 많은 건축물을 계획했다. The site sits around the foot of Cheonjangsan Mountain, which surrounds the Korean N..
2023.02.21 -
구미도시재생혁신지구 그린융합밸리 _ 2022. 5
Green Convergence Valley 누구나 머무르고 싶은 그린 융합밸리 쇠퇴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산업단지’ 구미 제1공단 일대가 도시재생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와 사람이 넘쳐나고 자연이 더해진 지역의 랜드마크로 새롭게 태어난다. 서측의 광평천과 동측의 낙동강 사이에 있는 대상지는 자연을 이어주는 그린네트워크와 연계하여 도시 연결의 새로운 흐름을 더한다. 이 흐름의 한가운데 위치한 대상지는 구미만의 역사적·입지적 잠재력에 따른 공간의 창조적 재활용을 통해 사람을 끌어들이고, 다양한 문화시설, 상권과 조화롭게 연계되어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이 된다. 산업단지의 특성상 서로 단절된 도시공간에 보행동선을 유입해 보행자 중심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전략이다. 이에 따라 남북축을..
2023.02.21 -
삼양 반다비 체육센터 _ 2022. 4
Samyang Bandabi Sports Center 일반인과 장애인을 구분하거나 장애인만의 전용공간이 아닌 모두가 동등하고 특별하지 않은 일상적인 공간을 제안했다. 주 이용객의 상당수가 장애인일 가능성이 높은 시설인 만큼 제약적인 환경을 최대한 배려하고 모두가 공유되는 관계 속에서 ‘장애인 전용’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흩트리는 시도를 통해 ‘비일상’으로 인식되었던 우리 삶의 부분들을 ‘일상’의 자리로 ‘치환’ 하고자 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반다비’의 가치라고 전제하며 우리가 경험해 온 운동시설과는 사뭇 다른 풍경을 연출하여 우리에게 익숙한 일상적 공간을 경험하게 하고자 했다. 우선 기능적으로 기존 축구장, 실내체육관, 실내 게이트볼장, 주차장과 동떨어진 반다비 체육센터 사이에 강한 동선 축을 형성하..
2023.02.21 -
아산시 농업기술센터 농기계보관창고 2022.6
Asan Agricultural Machinery Storage Warehouse 건축, PVC PIPE를 입다 아산시 농기계보관창고(PVC PIPE SKIN)는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폐PVC 파이프를 업사이클링하여 설계한 건축물이다. 폐PVC 파이프를 건축과 접목시켜, 투명성과 자연채광 및 자연통풍의 효율을 높였다. 이러한 크로스오버는 폐품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신선한 디자인 요소로서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주어진 (주변)상황과 사용자를 위한 기능과 형태를 PVC 파이프 파사드 디자인을 통해 조화시킨 프로젝트이다. 용도와 환경을 생각하다 아산시 농기계보관창고는 약 30센티미터 길이(변화치수 적용)의 PVC 파이프로 내·외부 입면을 이룬다. 디자인적으로도 뛰어난 면모를 보이지만, 더 중요한 것..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