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비평(61)
-
[건축비평] 동그라미 유치원, 신나는 아이들의 놀이터 2024.5
Architecture Criticism Donggrami Kindergarten, an exciting children’s playground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은 경성중·고등학교와 홍익디자인고등학교가 공유하는 기존의 체육관을 허물고 조성되었다. 새롭게 들어선 건물에는 유치원 단독 공간이 1, 2층에, 그리고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하는 체육관이 최상층인 3층에 위치한다. 건축설계의 중요한 모티브로 도입된 동그라미는 대상지 주변에 위치하는 다채로운 모습의 기존 교사와는 차별화된 독창적인 정면성을 형성하는 동시에 신축된 건물에 수직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이질적인 프로그램 간 시각적 조화를 확보한다. 원형이 상징하는 유연하고 통합적인 이미지는 내·외부 공간을 이용하는 어린 학생들에게 창의적..
2024.05.31 -
[건축비평] 교동살롱, 그 복합성에 대하여 2024.5
Architecture Criticism On Complexity of Gyodong Salon 교동살롱 프로젝트를 접하게 된 것은 2023년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심사를 진행하면서였다. 결론부터 말하면 교동살롱은 ‘포레스트 에지(주.중원건축사사무소 김선형 건축사 설계)’와 더불어 두 개의 대상 중 하나를 받았다. 심사 과정이 교동살롱의 건축적 가치를 평가하는 시사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므로 밝히는 것이 좋겠다. 일단 제출물을 중심으로 후보작들을 선정했는데, 수도권에 있는 후보작들은 직접 현장을 답사하고 다른 지역의 후보작들은 사진과 도면으로 심사하기로 했다. 그런데 막상 현장에 가 보니 사진과 상이한 경우들이 있었다. 사진을 너무 잘 찍어서(?) 문제가 된 경우, 혹은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
2024.05.31 -
[건축비평] 소요유가주택의 프라이버시와 공공성 2024.3
Architecture Criticism Housing Privacy and Publicity 최새벌 건축사가 설계한 ‘소요유가’는 양산물금지구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양산물금신도시 단독주택용지에 건축된 단독주택이다. 공공이 택지 개발한 새로운 도시에서 단독주택이 갖는 프라이버시와 공공성에 대한 방향은 아쉽게도 사회적 양상을 따르고 있으나, 그 구현에 있어서 건축적 장치와 해법은 주목할 만하다. 건축사의 이상 속 설계가 현실 세계에 소환되는 과정에서 그 의도가 다소 약화하기는 하나, 건물이라는 실재 속에서 건축사가 꿈꾼 건물의 설계 의도를 해석하고 이해해 보고자 한다. 공공, 특히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주도하는 택지개발 방식의 신도시는 지구단위계획으로 해당 도시의 고유성과 질서를 만들고자 노력하나 늘 성공하지 ..
2024.03.31 -
[건축비평] 풍경작용, 여백 그리고 인시튜(IN SITU) 미학 2024.2
Architecture Criticism_Scenery’s effect, Empty space & In situ work 자경(自景) ‘풍경을 담은 집, 풍경 속에 담긴 집’, 이 주택의 이름을 듣고 주택을 마주하는 순간 풍경작용에 대한 호기심이 자연스럽게 발동한다. 과연 어떠한 풍경작용이 숨어있기에 이러한 시적이고 정겨운 이름을 지었을까? ‘자경(自景)’이라는 풍경작용이 단번에 머릿속에 떠오른다. 건축에서 풍경과의 관계는 도시가 아닌 전원 속의 집에서 더욱 중요하다. 다양한 풍경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풍경작용은 집을 거주하기에 즐거운 곳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우리의 전통 한옥은 풍경과의 관계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한옥은 혼자 존재하지 않는다. 한옥의 공간 구조는 주변의 풍경을 끌어들여 함께 ..
2024.03.08 -
[건축비평] 유연한 경계의 낮은 집 – 카페 인더스하버 2024.1
Architecture Criticism Low House with Soft Edge 무심한 건축 별다른 정보 없이 찾아간 카페 ‘인더스하버’의 첫인상은 흔히 SNS에서 보던 유려한 형태와 번쩍이는 재료, 형태가 수려한 카페들과는 사뭇 달랐다. 2차선 도로 건너편에 펼쳐진, 지세포항 수변공원 앞에 낮게 깔린 건축은 마치 오래전 그곳에 있던 작은 미술관처럼 무표정하게 서 있었다. 건너편 도로에 서서 카페를 한참 살폈다. 바닷가 앞 카페들은 으레 한 뼘이라도 더 바다 쪽으로 나가거나 개성 있는 외관, 개방감 있는 창을 낸다. 애매하게 펼쳐진 풍경으로 열 것인가, 아니면 내밀하고 특별한 자연을 만들어 다른 태도로 시작할 것인가를 두고 여러 대안을 검토했을 건축사의 고민이 그려졌다. 도로에 길게 면하게 하는 상..
2024.01.31 -
[건축비평] 껍질, 배타적인 독립체 2023.11
Architecture Criticism Husk, an exclusive entity 스몰웍스 건축사사무소의 고운동 주택은 별다른 도시 맥락을 찾기 어려운 세종특별자치시 외곽의 한 주택단지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그 존재감의 근원은 독특한 형태라기보다 독특한 존재 방식이다. 그리고 이를 드러내고 조율하는 요소가 바로 건물 전체를 에워싼 ‘한 꺼풀의 벽’이다. 고운동 주택은 스몰웍스가 ‘열린 덮개’라는 주제를 담아 건축한 세 번째 작품이다. 지구단위계획의 기계적 해석 아래 지어진 이웃 주택들은 대체로 비슷한 성격을 갖는다. 동남쪽(혹은 조례에 따라 그것을 마주 보는 방향으로) 대지를 비워 통으로 긴 마당을 만들고, 건물은 이 마당을 향해 놓인다. 거실에는 전신이 드러나는 큰 창문, 침실에..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