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린생활시설(187)
-
인천건축사회관 2020.2
Incheon architect hall 2019 인천건축사회관의 위치는 개항기의 역사와 항구 주변의 근대건축물을 많이 가지고 있고 인근에 차이나타운, 신포국제시장과 문화공간인 아트플랫폼이라는 역사적, 문화적 공간의 가치가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본 회관건물은 인천 개항기의 이케마츠 상점으로 사용되어 오던 목조건축물로 선구점을 거쳐 약 90여 년의 시간이 흘러 인천건축사회관으로 재탄생하게 됐다. 단순한 매스이지만 개항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 목조트러스와 창문의 도르레등, 벽마감까지 그대로 간직한 몇 안 되는 목조 건축물로 그 가치를 잘 살릴 수 있도록 훼손을 최소화하고 복원에 중점을 두었다. 외부는 기존 인천재능대학교 손장원 교수의 제공 이미지대로 복원을 하고, 내부는 목조의 트러스와 화재의 흔적이 잘 ..
2023.01.10 -
이움빌딩 2020.2
E·UM Building 이 건물은 1층에 상가, 2·3층은 주택, 그리고 4·5층은 복층으로 된 이움건축의 사옥이다. 주택은 가구마다 각기 다른 마감 및 창호 계획을 통해 개성을 부여하여 획일적인 주택 외관으로 보이지 않도록 노력했다. 계획단계에서는 외벽을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는 것도 고려해 보았으나, 노출콘크리트로 외벽을 마감하는 것은 단열에 취약한 단점이 있을 수밖에 없어 외부에는 단열과 무관한 가벽, 테라스 등의 부분만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고, 나머지 외벽은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하여 외단열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내부의 콘크리트 구조벽과 슬라브는 골조의 콘크리트를 그대로 인테리어 요소로 사용했다. 4,5층의 복층 내부에 생기는 경사면은 오픈 공간과 연계하여 내부공간의 수직적 인테리어 요소로 사용했..
2023.01.10 -
아크레타 양림 2020.1
ACRETA YANGRIM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고민을 했던 부분이 새로 조성되고 있는 양림역사문화 마을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가였다. 양림동 일대는 기독교 시설과 관련한 근대건축유산과 180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반에 건축된 근대 한옥이 많이 분포돼 있다. 또한, 팽귄마을이 위치하고 있어 그에 따른 가로경관과 문화적인 맥락을 같이 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당초 부지에는 4층 규모의 적벽돌로 마감된 원룸건물이 있었다. 처음 검토는 리모델링안부터 검토를 했으나, 구조 및 평면구성의 제약이 있어 신축으로 방향을 정리했다. 크게 5가지의 설계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첫째, ‘양림동에 어울려야 한다’이다. 둘째, ‘마당을 만들자’이다. 셋째 ‘이어지는 골목길을..
2023.01.09 -
유앤아이사옥 2019.10
YOU & I 유앤아이사옥은 대구 남구 봉덕동(고산골)의 주거지역에 위치한다. 인근에는 남구국민체육센터가 자리잡고 있다. 대지는 북쪽 8미터 도로에 접하고 있으며, 전면도로는 좌우로 40센티미터의 레벨차가 있다. 4개 층으로 구성 된 유앤아이사옥의 대지면적은 158제곱미터(약 48평)이며, 전체연면적은 315.57제곱미터(약 95평)이다 각 진입부(주출입구, 주차출입구)는 도로의 레벨차를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내부와 연결되도록 했다. 주출입구와 계단실(계단,엘리베이터)은 대지형상과 정북일조 그리고 도로레벨을 따라 최적의 위치로 결정됐다. 각 층별 프로그램으로 1∼3층은 사무실로, 4층은 대표의 집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2층과 4층 일부공간은 테라스를 배치하여 외부와 소통하는 공간을 마련했다. 주거지역임을 ..
2023.01.05 -
이이정(異二庭) 2019.9
IIjeong 주변에 다가구 주택들이 즐비한 울산의 근교도시에 부모님을 위한 임대형 상가주택을 신축하는데 있어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울산의 외곽 도심이면서 KTX 역세권 주변인 언양이라는 곳에 자리한 대상 부지는 인구가 많지 않은 덕분에 택지가 형성된지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나대지들이 많이 남아 있다. 최근에 다가구 주택들이 대상 부지 주변을 둘러싸고 많이 신축됐다. 주변의 다가구 주택들과 상업시설을 비롯한 우리의 도시 근교 건축물들은 모두 숨 막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근교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중심도시에 지어지는 건축물과 차별성 없이 계획되어 장소의 특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근교도시의 임대형 상가 주택에 중용적 공간 성격을 가진 마당을 만들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
2023.01.04 -
달_놀이집 2019.9
Myungryun Dong Dal_nori House 달_놀이집은 한 가정과 집주인의 사무소, 그리고 마을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되는 218제곱미터(66평)의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이다. 지하와 지상 1층은 사무소의 회의공간이자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2층은 집주인의 사무실로, 3층과 4층은 부부와 두 아들의 주택이다. 건축주의 사무실로 사용되는 지하층과 1층, 2층은 대지의 높낮이를 이용하여 반층씩 올라가며 공간이 확장되는 스킵플로어 형식을 사용했다. 1층의 공간은 높이가 다른 두 개의 공간이 마치 극장식 카페를 연상시키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다시 폴딩창을 통해 뒷마당으로 공간이 연속적으로 흘러간다. 3, 4층은 두 아이와 건축주 부부의 단독주택으로 협소한 공간 활용을 위해 여러 가지 아..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