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229)
-
담담헌(淡淡軒) 2020.7
DAM DAM HEON 심성을 담은 집 ‘담담헌’은 아산에 위치한 단독주택으로 자신을 드러내어 자랑하기보다 주변과 어울리고 차분한 성격의 건축주의 심성과 닮아 있는 담백한 집이다. 장방형의 대지에 뒤쪽의 도로와 평행한 긴 매스를 배치하고 남쪽 마당으로 쉽게 나갈 수 있는 작은 포치를 추가하는 형태로 계획하였다. 단순한 외형에 풍부한 빛을 담은 공간으로 계획했고 소소한 내부 요소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즐거움을 줄 수 있게 고려되었다. 좁은 오픈과 깊이감 차고와 연결된 입구를 지나 현관에 들어서면 마당으로 시선이 열려있고 왼편으로 돌아서면 2층까지 열린 좁은 오픈공간이 밝게 펼쳐지고 거실과 주방을 마주하게 된다. 복도방향으로 길게 찢어진 오픈공간을 통해 깊이감을 만들어 동선에 활력을 주려고 했다. 주방은 단차..
2023.01.17 -
자기 앞의 집 2020.7
La maison devant Soi 우리는 늘 집을 그리워한다. 아침에 출근해서 열심히 일을 하는 중에도 집을 그리워하고, 집을 떠나 머나먼 곳을 돌아다니는 중에도 집을 그리워한다. 어서 집으로 돌아가야겠다고 생각을 한다. 이럴 때 ‘집’이란 물리적인 건축물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이야기와 온기가 가득 번져있는 추상과 구체적인 공간이 섞인 아주 복합적인 건축물을 이야기한다. 20년 전 사무실을 열고, 종이와 연필과 수채화 물감만 덩그러니 놓여있는 책상에 앉아서 나는 집을 그리기 시작했다. 누구를 위한 집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내가 봤던 집들을 그렸다. 양동마을에 있는 오래된 집도 있었고, 내가 사는 동네에 널려있는 흔한 집들도 그렸다. 내가 특히 즐겨 그렸던 집은 국도를 달리다 만나는, 건축..
2023.01.17 -
삼삼한집 2020.7
Three in one 삼삼한집이 자리잡은 곳은 전주시 덕진구에 조성되는 신도시로 전주지방법원과 전주지방검찰청의 이전으로 만성지구 법조타운이라 불리운다. 이곳 단독주택 필지에 지어지는 대부분의 건축물은 상가+주택의 형태를 갖는다. 지구단위의 영향으로 지붕면의 일정 부분을 박공 지붕 형태로 해야 하며, 최대 3가구 까지만 계획이 가능하다. 단독주택에 대한 장점을 십분 활용하던 가족에게 다가구주택이라는 다른 형태의 주거로의 변경은 많은 부분(주택을 살아본 분들이라면 장점과 단점을 명확하게 알고 있으리라)양보해야 하는 점이 있다는 것을 부부는 받아들이고 있었지만, 그 부분을 최소화 해주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지 않을까 하였다. 대부분의 상가주택이 그러하듯 1층 상가 2층 임대세대 3층 주인세대의 정형화된 층별 ..
2023.01.17 -
이연재(易然齋) 2020.7
Yi Yeon_Jae Prologue 모더니즘이 세상의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 시기에 시카고학파의 거장인 루이스 설리반은 이런 명언을 남겼다. “Form Follows Function.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이 말은 모던 디자인에서 중요한 이념으로 자리잡았으며 많은 디자이너들이 이 말에 열광하며 자신들의 디자인 철학에 적용했다. 그러나 실무를 하면 할수록 과연 기능만이 최고의 덕목인가 하는 반문을 가지게 됐고, 얼마 전 건축 강의를 했을 때 강의 제목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Form Follows Thinking. 형태는 사고를 따른다.” #1 해가 뉘엿뉘엿 질 무렵이었다. “선생님이 설계하신 ‘검이불루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 개념과 같은 집을 짓고자 합니다.” 어제 통화 내용이 ..
2023.01.17 -
이유있는가 2020.6
Lee U House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집 ‘이유있는가’는 오산에 위치한 이 씨 성과 유 씨 성을 가진 가족을 위한 작은 집이다. 남쪽은 완충 녹지로 열려 있고 북쪽에는 뒷집 마당이 있어, 앞뒤로 막힘없는 대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두 아들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빨간 벽돌집을 목표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배치에서 마당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에서 시작됐다. 기본 형태를 만든 뒤 리듬감을 줄 수 있도록 가로변을 남쪽으로 후퇴시키고 기능적인 매스를 덧붙여 변형하였다. 주거의 핵심 공간 1층은 열린 공용 공간(남쪽 마당)과 기능적인 공간(북쪽)으로 구성돼 있다. 2층에는 아이 방·다락으로 연결된 가족실(남쪽)과 안방·서비스 공간(북쪽)이 있다. 집의 핵심 공간은 긴 테이블이 있는 식당이다. 가족들이 ..
2023.01.16 -
내곡동 단독주택 2020.6
The East Garden 대지는 홍씨마을과 인릉산 북서측 끝자락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막다른 도로 끝에 자리 잡은 덕에 인릉산의 풍성한 자연수림과 접하고 있다. 남쪽으로 산을 보고 있으나 남측 인접대지가 상대적으로 높고, 동쪽으로 지형이 낮아지는 지형을 갖고 있어 주변 지형과의 관계가 중요한 이슈가 된다. 동쪽에 조성될 정원은 비정형 형태로 인릉산과 집을 연결한다. Connection_‘집’과 ‘정원’의 연결 건축주는 넉넉한 정원이 있는 집에서 노후를 보내고자 했다. 집에서 생활의 중심을 정원에 두고자 하기에 동쪽에 위치한 정원과 집의 연결은 설계의 시작이자 가장 중요한 이슈였다. 또한 집과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정원 설계 방향이 정해지기에 다양한 관점에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했다. 대지는 ..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