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12)
-
35520 2019.8
35520 약수역 사거리 뒤편, 신당동 안쪽 골목 코너에 위치한 대지다. 관찰 결과 이면도로지만 직장인 유동인구가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주와 논의하여 1층은 카페, 상층부는 사무소로의 임대 목표를 빠르게 설정하고 작업에 들어갔다. 좁은 땅이지만 준주거지역이라서 건물이 수 직으로 곧게 올라갈 수 있는 데다가, 지구단 위계획 상의 용적률 인센티브도 있어서 수직으로 긴 형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인상적인 코너부 디자인을 도출해내고 싶었다. 계획 초반부터 주변 건물들의 분위기를 반영하여 전체적으로 그 동네에 오래 있었던 듯한 느낌을 주는 벽돌을 주재료로 선정하였었는데, 코너 부분은 벽돌의 단단한 느낌을 더 강조해 거대한 벽돌 기둥처럼 보이도록 유도했다. 개구부 디자인을 통해 각 층 ..
2022.12.24 -
충신 연극공유센터 2019.8
Chungshin Theater Center 재생 건축의 길을 묻다 어떻게 다시 태어나게 할 것인가 ‘주변과 위화감 없이 세월을 담는 건물.’ 충신성곽마을 앵커시설 설계공모 당시 잡았던 우리의 설계 방향이다. 각기 다른 레벨을 가진 세 동의 작은 건물을 하나로 엮어 프로그램과 동선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가운데 ‘기존 건물 모습 유지하기’는 간단한 듯하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은 과제였다. 충신 성곽마을 앵커시설은 공공건축가 대상 지명 현상설계 공모에 당선된 작 품으로 인접한 세 필지의 주택을 리모델링해서 앵커시설로 활용하겠다는 계획 하에 시작됐다. 2년여의 짧지 않은 설계과정 중 연극인협회가 운영자로 선정되어 낙산 아래 대학로에서 활동하는 연극인들의 문화예술 활동거점으로 건물 의 윤곽이 정해지고..
2022.12.24 -
[설계공모]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_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NEW GWANGHWAMUN SQUARE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67, 1-68 일대 예정 공사비 ┃ 60,000 백만원 예정 설계비 ┃ 2,764 백만원 설계범위 ┃ 사업범위_설계공모를 통해 당선된 설계자가 공사시행을 위해 실제로 설계하는 구간으로, 현재 광화문광장과 세종대로, 사직-율곡로 등 도로를 포함하여 총 면적 약 126,100제곱미터에 달하는 지역 / 계획범위_사업범위와 접한 주변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경복궁 남측담장, 남쪽으로는 삼 청동천과 백운동천 합수지점, 동쪽으로는 삼청동천(현 종로1길), 서쪽으로는 백운동천(현 새문안로5가길)을 포함하는 지역과, 정부청사, 의정부 터 및 세종대로 하부 지하공간 공모방식 ┃ 국제설계공모 심사위원장 ┃ 승효상 건축사(주. 종합건축사사무소 이로재) 심사위원 ┃ 유홍준 명지대학교 석좌교..
2022.12.14 -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 2018.12
Art Complex, Pyeongchang-dong, seoul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은 일반, 예술가, 학술연구자, 예술매개활동가, 예술꿈나무 등이 크고 작은 공식·비공식의 배움, 연구, 전시활동을 통해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는 공간이다. 분산된 각각의 부지에 적합한 레벨과 규모에 요구되는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수용하여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고 각 동의 독립된 기능은 시각적, 상징적으로 응집되면서 상호 연속, 지역으로의 확장성을 지니도록 연결동선을 구축하여 미술문화공간의 커뮤니티를 조성하 도록 했다. 각 동 1층은 모두 필로티를 설치하여 주차광장 확보로 접근성과 함께 진입개방감과 공공광장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주동으로서의 가동에서 필로티 중간은 뒷편 자연환경과 연계되며, 나동 ..
2022.12.09 -
[설계공모]서울시 동북권 아동청소년 예술교육센터 및 강북구 종합체육센터 _ 2018.9
The Child & Youth Arts Education Center in the Northeast Region and Gangbuk-gu Comprehensive Sports Center 서로 다른 주변 건물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을지를 고민하고, 한 대지 안에 예술과 체육이라는 두 개의 프 로그램이 연계 공간을 공유 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건물은 주변과 조화되도록 낮은 규모로 계획됐다. 입 체적인 가로 구성을 통해 시각적 흐름이 쉽게 인지되며, 주변 경관, 물길들을 따라 흐름이 이어진다. 레벨 차로 자연스럽게 발생된 단은 앞마당, 사랑마당, 뒷마당으로 구분된다. 건물의 파사드는 하얀색 매스와 풍부한 녹지, 빛 세 가지 요소로 표현됐다. 하얀색 파사드는 깨끗한 이미지와 함께 낮에는 반사되어 자연 을 ..
2022.12.07 -
“건축·행정에 건축사 전문성 더 많이 요구돼… 건축의 공공성 토대로 도시현안 해결해나갈 것”_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2018.9
"Architects and administrators are demanding more ... We will solve urban issues based on the public nature of architecture" 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건축이 가진 본질적인 의무가 인간의 삶을 담는 공간, 더불어 공동체 속에서 살 수 있는 공간 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할 때, 건축의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공동체간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는 공간들을 많이 만들어내는데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은 서울시에서도 손꼽히는 건축·도시전문가다. 기술고시 23회 출신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해 서울시 도시관리과장, 주거재생정책관, 주택건축국장 등을 지내 고 지난 2015년 1월부터 도시..
2022.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