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보(6)
-
3x4 2023.6
3x4 그리드의 확장 편집디자이너인 건축주는 ‘책공소’라는 이름의 북 메이킹 교육을 병행하는 카페와 은퇴 후 삶을 위한 주택을 의뢰했다. 건축주와의 대화 중 ‘책의 편집디자인과 비슷한 건축’이라는 말이 나왔고, 여기서 프로젝트 전반을 이끌어간 아이디어가 나왔다. 평면과 단면 모두 3×4 그리드로 구성된 정육면체를 구성했고, 이를 언덕 지형인 대상지 위에 살짝 올려놓는 제안을 했다. 고전적인 3×3 그리드 구성에서 가운데 칸은 가장 높은 위계를 갖고, 다른 실들이 그 주위로 둘러앉는다. 하지만 여러 층이 쌓이는 현대 건축에서 가운데 칸의 위상은 달라진다. 채광이나 환기가 보장되지 않는 가운데 칸은 보통 동선이나 창고로만 기능한다. 프로젝트를 통해 가운데 칸의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고민해 보고 싶었다. 가운데..
2023.06.23 -
01 우리는 사실 다 알고 있다 2019.10
We all know 설계 과정에서 건물의 구석구석까지 가능한 모든 부분에 관심을 기울이고 디자인을 통제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많은 건축사가 그런 것처럼 나 역시 건축물의 뼈대와 공간구성은 물론, 조명기구 하나의 종류와 크기, 타일 한 장의 질감, 마루 한 장의 기준점 위치 등등 온갖 요소들이 조화롭게 모일 때 완성된 공간이 빚어진다고 믿기 때문이다.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주택 프로젝트에도 역시 마찬가지의 고민과 노력이 들어갔다. 설계 단계에서 계획되고 결정된 사항들이 그대로 잘 들어맞아서 문제없이 시공되길 바라는 마음이야 당연하고, 비록 소규모 건축물 감리분리 대상에 해당하여 공식적인 감리 업무를 시행할 수는 없어도 시공 중 발생할 변수들과 실물을 보면서 생길 건축주의 변경 요구에도 적극적으로 대처..
2023.01.05 -
35520 2019.8
35520 약수역 사거리 뒤편, 신당동 안쪽 골목 코너에 위치한 대지다. 관찰 결과 이면도로지만 직장인 유동인구가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주와 논의하여 1층은 카페, 상층부는 사무소로의 임대 목표를 빠르게 설정하고 작업에 들어갔다. 좁은 땅이지만 준주거지역이라서 건물이 수 직으로 곧게 올라갈 수 있는 데다가, 지구단 위계획 상의 용적률 인센티브도 있어서 수직으로 긴 형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인상적인 코너부 디자인을 도출해내고 싶었다. 계획 초반부터 주변 건물들의 분위기를 반영하여 전체적으로 그 동네에 오래 있었던 듯한 느낌을 주는 벽돌을 주재료로 선정하였었는데, 코너 부분은 벽돌의 단단한 느낌을 더 강조해 거대한 벽돌 기둥처럼 보이도록 유도했다. 개구부 디자인을 통해 각 층 ..
2022.12.24 -
어반 스페이스 2019.8
Urban Space 마포구 상수동에 위치한 임대용 근린생활시설이다. 상수역 사거리에서 한강 방향 블록 안쪽 골목에 위치한다. 200제곱미터가 채 안 되는 작은 땅이지만 남쪽으로 3미터 도로가 닿고, 북쪽으로는 두 개의 4미터 도로가 코너에서 만나고 있다. 더군다나 앞쪽 도로는 몇 년째 확장 중인 상수동 상업거리의 연장선상에서 상업적 가능성을 던져주고 있다. 늘 그렇듯 임대용 건물에 대한 건축주의 요구 사항은 명확했다. ‘가장 효율적으로 최대한의 임대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조사선 제한을 피해 북측 전면도로 쪽에 주차장을 확보하고 건물은 남쪽방향으로 물러나 자리 잡아야 했다. 하지만 건축적 정면성과 상업성을 모두 갖는 북측 코너쪽 입면을 포기할 수는 없다고 판단했고, 우선 매스를 전면배치한 뒤 에 일..
2022.12.24 -
지글지글 집빵빵 2018.9
Ossu house 이 건물은 하남미사지구 내에 자리 잡은 점포주택이다. 계획 당시 대지는 주거의 채광이 나 1층 상가의 상권형성에 여러모로 불리한 위치였다. 근린생활시설의 상권형성보다 주거의 수준을 높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주거의 진입 을 도로변에서 눈에 띄는 명확한 디자인으로 하고 택배함이나 우편함 모두 한눈에 관리 가 가능하도록 했다. 모든 주거와 남쪽의 모든 방에서 도로변 조망이 가능하도록 코너창 을 이용했다. 일조사선으로 층고의 제약이 많았던 저층부와 달리 일조 사선을 이용하며 높이를 활용한 거실공간, 다락공간을 계획하여 차별화를 두었다. 외장 재료는 벽돌을 이용해 부분으로 디자인 된 공간들을 하나의 건물로 보이도록 디자 인 했으며, 외관 모습을 군더더기 없이 마무리했다. 내부 인테리어에서도..
2022.12.07 -
영주 붉은서원 2018.9
Red Brick Academy ‘붉은서원’(Red Brick academy)은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이 있던 영주시에 새로 들어서는 학원 프로젝트다.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택지개발지구에 새롭게 들어서는 ‘붉 은서원’은 초·중·고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과목 종합학원으로, ‘제 2의 학교’라 는 이미지로 계획됐다. 건축물 1층의 큰 도로쪽 정면은 학원의 진입부로 사용됐다. 2층, 3층의 창은 반복되는 패 턴으로 학교건축을 연상시킨다. 2층으로 올라오면 오고 가는 친구들을 보며 소통할 수 있는 학생들의 휴식공간이 펼쳐진다. 4층 주거공간에는 학원 원장님 집과 부모님집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공용마당과 함 께 각자의 마당과 다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원건물과 분리하여 외부공간을 만들고 두 세대간의..
2022.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