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건축사(538)
-
제15회 서울국제건축영화제 ‘스케일(SCALE)’ 주제로 9월 6일부터 12일간 개최, 18개국 34편 상영작 소개 2023.9
Given the 15th Seoul International Architecture Film Festival, which will be held for 12 days from September 6th under the theme of ‘SCALE,’ 34 films from 18 countries will be introduced. 9월 6~10일 아트하우스 모모, 10~17일 네이버TV서 온·오프라인 상영 오는 9월 6일, 제15회 서울국제건축영화제(SIAFF, 이하 건축영화제)의 막이 오른다. 이번 건축영화제는 15년간 아시아 유일의 건축영화제로 자리매김해온 영화제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영화제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담아 ‘스케일(SCALE)’을 주제로 개최된다. 이에 건축의 전..
2023.09.14 -
건축, 환경을 만들고 미래를 창조하다 ⑤ 왜 도시에서 건축은 공공적인가? 2023.9
Creating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the future ⑤ Why is architecture in cities considered public? 많은 클라이언트와 이야기하다 보면 건축법의 각종 규제가 불편하다. 내 돈으로 내가 산 땅에 내 맘대로 건물을 짓지도 못하다니. 뭐가 이리 복잡한가? 일견 동의하면서도, 오랜 시간 건축을 도시에 만들어내면서 서로 적절히 배려하는 것이 건축의 필수적 자질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매너와도 같은 것이다. 지하철에서 나 편하자고 다리를 쩍 벌리고 앉아 있거나, 큰 소리로 떠드는 것은 주변 사람 모두에게 피해가 된다. 도시에서 건축은 이런 상황에 있는 셈이다. 인접한 건물을 살펴야 하고, 길 건너의 모습도 신경 써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2023.09.14 -
도시의 정체성 <PARTⅡ> ③ 서울의 도시 어휘들 Ⅲ 2023.9
Identity of the City ③ Urban lexicons of Seoul Ⅲ ■ 도시 어휘 5 _ 탈 위계화된 도시조직 De-hierarchized fabric 서울의 확장과 도시화, 기존 도시화 지역의 변화는 토지의 재분배 방식에 기반한다. 토지의 재분배 방식은 수형도1)와 같은 방식으로 도시 조직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위계가 와해되고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동등한 요소들로 이루어진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기존 구조의 각 위계들은 저마다 다른 변형과정을 만들어낸다. 분배 서울은 자신의 도시적 실체를 특징짓는 도시의 원형 요소를 보존해왔다. 산, 한강, 초기의 주요 도로들은 오랜 시간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서울은 지난 100년간 도시 원형시기에 만들어진 자기 완결적 도시 구조의 규모를 뛰어넘..
2023.09.14 -
도시 오딧세이 ④ 독립운동가이자 선구자적 도시개발자, 정세권이 지켜낸 공간 2023.9
City Odyssey ④ _ An independence fighter and a pioneering urban developer, A space preserved by Se-Kwon Jung 종로 한복판에서 기묘한 풍경이 연출 중이다. 짧은 거리를 두고, 서로 다른 두 공간이 외따로 떨어져 공존하고 있다. 완충지대는 물론 점이지대도 없다. 마치 다가와 있는 것과 다가오고 있는 것의 차이처럼, 두 곳은 전혀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같은 공간 안에 있으면서, 서로 알 필요 없다는 듯 관심을 두려 하지 않는다. 무척 생경한 공존 방식이다. 지하철 5호선 종로3가역을 중심으로, 불과 2∼300미터 거리를 두고 연출되는 풍경이다. 탑골공원 주변이 노년 전유 공간이라면, 익선동은 청년 전유 공간이다. 지하..
2023.09.14 -
설계의도 구현을 위한 ‘소통’의 중요성 2023.9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in Achieving the Intended Design Purpose 친구의 연락 사무소를 오픈하고 몇 해 뒤 친구로부터 오랜만에 연락이 왔다. 아파트에 살고 있던 친구는 근처 소유하고 있던 땅에 단독주택을 짓고자 했다. 설계를 맡길 건축사를 찾기 위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고, 주변에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다른 친구들도 몇 명을 만나본 듯했다. 막바지쯤 나도 친구를 만나게 됐다. 만나서 내가 주택을 진행하는 프로세스와 업무범위를 자세히 설명했고, 말미에는 다양한 건축사를 만나본 후 실력이 있고 소통이 잘 되는 사람과 설계를 시작하라고 당부했다. 솔직히 나에게 설계를 맡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소규모 단독주택은 시공과정에서 설계..
2023.09.14 -
[건축코믹북] 공간게임 2023.9
Architecture Comic Book _ World Space Game 글. 김동희 건축사 Kim, Donghee architect 건축사사무소 케이디디에이치
2023.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