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연재 | Series(199)
-
경쟁 도시의 성장과 그늘… ‘소년시절의 너’ 2021.6
Growth and shadow of a competing city… 'You in your boyhood' 소위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덕분에, 지나간 영화를 보는 게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이리저리 채널을 돌리면서 이달의 숙제를 하기 위해 영화 사냥을 했다. 그렇게 우연히 발견한 영화에 시선이 꽂히면서 2시간이 넘도록 지루할 틈 없이 집중해서 보았다. 영화의 주제는 오래전 일본에서 시작되어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간간이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공통적으로 거론되는 청소년 왕따 문제다. 어쩌면 이는 전 세계적 문제일 수도 있다. 지금의 50대 이상은 사실 크게 느끼지 못했던(그렇다고 없었던 건 아니지만) 따돌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조명이다. 화면을 가득 채우는 풍경은 그다지 세련되거나 정리된..
2023.02.06 -
용어@건축 05콘크리트 2021.5
Term@Architecture 04 Concrete architectural terms 건축용어 우리나라 건축용어 중에는 왜 그렇게 표현하는지 어원을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 연재에서는 필자가 이해하기 어려웠거나 호기심이 크게 생겼던 표현들을 소개하고, 그 어원과 출처를 추적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과 함께 보다 적절한 표현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계기를 갖고자 합니다. 콘크리트 19세기에 Portland Cement 개발과 철근콘크리트 기술이 발전하면서 지금과 같은 콘크리트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20세기에 들어서는 명실상부하게 건축재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건축재료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하늘을 찌를 듯한 높은 마천루가 만들어지고, 인간의 감각으로 상상하기 힘든 속도와 규모의..
2023.02.03 -
북한건축 워치 03북한의 건축행정조직Ⅰ 2021.5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3 North Korea's architectur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Ⅰ 북한은 해방 이후부터 건축을 국가건설의 중요한 과제로 생각하여 정권 초기 내각에 건축관련 부서를 설치하였으며, 1946년 시행한 보통강 개수공사를 초기 북한정권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내세우고 있다. 2012년 김정은 위원장 집권 후에도 건축(건설)관련 중앙행정부처가 3개에 이르고, 대규모 건설사업을 최우선 국가정책으로 추진하는 등 건축은 북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과거 계획경제에 의하여 추진되었던 북한의 건설사업이 시장영역으로 이전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북한개발을 위하여 북한의 건축행정시스템의 특성을 알아보고, 건축..
2023.02.03 -
아멜리에, 사교적 소비 공간인 카페에서 사랑에 빠지다 2021.5
Amelie falls in love at a cafe, a social consumption space 사교적 소비 공간은 사람들을 만나고 교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곳이다. 오래전 발간된 논문에서는 사교적 소비 공간에 대해 이렇게 정의를 내렸다. 대표적으로 카페와 레스토랑이 있으며, 다방도 여기에 해당된다. 그냥 일개 상업 공간일 뿐인 카페를 주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은 사람들이 보이는 반응 때문이다. 물건을 사고파는 상점 등의 상업 공간에 갈 때는 명확한 구매 의사와 목적을 가지고 방문한다. 이 과정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을 보고 판단해서 구매하는 행위가 끝나면 사람들은 그 공간에 더 머물지 않고 떠난다. 상점에 있는 점원과 이용자는 어떤 감정적 교류와 대화를 나누지 않는다. 그..
2023.02.03 -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 2021.5
'Baeksa Village', the last shantytown in Seoul 백사마을의 마지막 봄 코로나 여파가 2년째 계속되는 가운데 또다시 봄을 맞았다. 그래도 계절은 어김없이 바뀌고 꽃은 무심한 듯 피어났다.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에도 봄이 왔다. 서울의 동북쪽 끝 불암산 자락에 있는 이곳은 노원구 중계동 산 104번지(현재는 중계로 2다길)라서 백사마을로 불리고 있다. 1967년 당시 개발을 이유로 정부에서 청계천 등 판자촌에 살던 사람들을 강제 이주시켜 마련해 준 보금자리다. 8~20평 남짓한 허름한 집 1,200여 가구의 절반 이상이 현재 빈집(공가)으로 남아있다. 수년 전부터 추진해온 재개발을 앞두고 내년에 착공 예정이라고 하니 어쩌면 지금의 모습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른다. 백..
2023.02.03 -
북한건축 워치 02Ⅱ 북한의 건축설계 2021.4
North Korean Architecture Watch 02 Ⅱ Architectural Design in North Korea 북한의 건축설계(2) 3. 설계연구소의 조직 국내의 건축사사무소 대부분은 건축설계 외에 구조, 토목, 전기, 기계, 조경 및 내역서 작성은 외주를 주어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측량 및 지질조사 등을 직접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북한의 도시설계연구소는 건축설계만이 아니라, 건축설계와 관련된 업무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구조이다. 건축설계 외에, 구조, 토목, 기계, 전기설계, 내역서 작성 그리고 측량과 지질조사부서도 설계연구소 내에 있다. 북한의 설계연구소는 대체로 ①건축설계실, ②표준설계실, ③혁명사적설계실, ④시설설계실, ⑤지질실, ⑥도시계획설계실, ⑦측량실..
202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