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칼럼 | Column(278)
-
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역사 2020.11
Joseon Dynasty history of the Buddhist architecture 대한건축사협회의 한옥 교육 과정은 인기가 높다. 해마다 이수하려고 하는 건축사들이 상당한 경쟁을 거쳐 들어오게 되는데, 이들의 관심과 열정은 진지하며, 제출되는 과제에서도 그 애씀을 알 수 있다. 공간을 다루는 건축사들인 만큼, 하늘과 땅 사이의 건축을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코자 하는 전통건축에 대한 관심이 클 수밖에 없다. 전통건축 중에서도 사찰건축은 주위 환경과의 독특한 배치, 전통 목구조의 특성, 그곳에서 수행하는 스님의 삶 등 여러 상상력을 일깨우는 존재물로 우리를 늘 고찰로 향하게 한다. 개인적인 인연으로 저자와 알고 지낸지 20년이 넘었다. 저자가 불교건축을 전문적으로 조사·연구하고, 금강산 신계사 복원..
2023.01.26 -
01 젊은 건축사의 ‘공공건축하기’ 2020.10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매년 상당히 많은 국가예산이 투입되어 소규모 리모델링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신축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공공건축이 실행된다. 뛰어난 계획안으로 설계공모에 당선되어 기대가 큰 프로젝트라 할지라도 국민들에게 최종 선보이는 준공건물은 기대 이하였던 경우가 많다. 간혹 좋은 작품들이 나오기도 하지만 결과가 유난히 좋았던 작품의 경우 건축사의 끊임없는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왜 공공건축은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예산임에도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가? 공공건축 용역에 수많은 인원들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과연 어떤 부분들이 문제인가? 최근 들어 놀랄만한 결과물을 보여 주고 있는 중국의 공공건축을 보면 우리도 하루빨리 문제점을 개선하고..
2023.01.25 -
02 공공건축 설계공모제도의 현황과 과제 2020.10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매년 상당히 많은 국가예산이 투입되어 소규모 리모델링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신축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공공건축이 실행된다. 뛰어난 계획안으로 설계공모에 당선되어 기대가 큰 프로젝트라 할지라도 국민들에게 최종 선보이는 준공건물은 기대 이하였던 경우가 많다. 간혹 좋은 작품들이 나오기도 하지만 결과가 유난히 좋았던 작품의 경우 건축사의 끊임없는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왜 공공건축은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예산임에도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가? 공공건축 용역에 수많은 인원들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과연 어떤 부분들이 문제인가? 최근 들어 놀랄만한 결과물을 보여 주고 있는 중국의 공공건축을 보면 우리도 하루빨리 문제점을 개선하고..
2023.01.25 -
03 좋은 공공건축을 위한 첫 번째 과제 : 건축설계공모전 2020.10
건축담론 Architecture Discussion 매년 상당히 많은 국가예산이 투입되어 소규모 리모델링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신축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공공건축이 실행된다. 뛰어난 계획안으로 설계공모에 당선되어 기대가 큰 프로젝트라 할지라도 국민들에게 최종 선보이는 준공건물은 기대 이하였던 경우가 많다. 간혹 좋은 작품들이 나오기도 하지만 결과가 유난히 좋았던 작품의 경우 건축사의 끊임없는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왜 공공건축은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예산임에도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가? 공공건축 용역에 수많은 인원들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과연 어떤 부분들이 문제인가? 최근 들어 놀랄만한 결과물을 보여 주고 있는 중국의 공공건축을 보면 우리도 하루빨리 문제점을 개선하고..
2023.01.25 -
[건축비평] 근대적 대립구조의 시선 2020.10
Architecture Criticism Conflicting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Dwelling 일광 유얼스에 관한 자료를 보다 사소한 사진 설명 하나가 관심을 끌었다. 일광 유얼스의 대지는 한 쪽은 바다, 다른 쪽은 배후지를 면하고 있는데, 배후지 도로 쪽 사진이 정면, 바닷가 쪽 사진이 배면으로 되어있다. 바닷가에 세워지는 건축이면 보통 바닷가 쪽이 파사드 아닌가 라고 생각하다가, 그러고 보니 배후지 쪽과 바닷가 쪽의 디자인 밀도가 사뭇 다르다. 오신욱 건축사는 대지를 주변으로부터 에워싼다. 반쪽집에서 시작되어 인터화이트, 마로인 빌딩 등에서 나타났던, 가로변에 세워지는 프레임이 일광 유얼스에도 반복되어 나타난다. 나머지 대지는 낮은 담으로 에워싸여 주변과 분리된다...
2023.01.25 -
교회, 구별에서 교류로 전환되는 에클레시아 2020.10
Church, transit from distinction to intimate Ecclesia 그리스도교 교리에 따르면 교회는 유형의 물리적 건축물이 아니다. 라틴계열의 언어인 불어로는 교회를 에글리즈(eglise)라고 부르는데, 그리스어 어원 에클레시아(ecclesia = ek 밖으로 + caleo 부르다 의 합성어)에서 온 것으로 ‘어떤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부름 받은 자들의 모임’ 이라는 뜻 즉 ‘민회’라는 단어로부터 온 것이다. 그래서 기독교적인 의미로 번역하자면, 교회는 구별 또는 성별(聖別)된 자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구별하는 교회 초기 기독교에서 교회건축은 구별, 또는 속세와의 분리라는 의미의 공간 조성에 집중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로마 네로 황제의 박해를 피해서 조성되었던 지하묘지 카..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