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1544)
-
불법건축물의단속과 처벌 2025.10
Crackdown and Punishment of Illegal Construction Ⅰ. 글의 첫머리에 우리 사회는 산업화와 도시화를 급격하게 겪으면서 건축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이 과정에서 건축허가 절차를 무시하거나 법령이 정한 건축기준을 위반한 ‘불법건축물’1) 이 대량으로 양산되었다.특히 개발이익을 선점하거나 각종 규제를 회피하고, 건물수익을 극대화하려는 경제적 동기에 의해 고의적이고 조직적인 불법건축 행위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서의 위법·편법 건축 역시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국토 전반에 불법건축물이 확산되는 결과를 낳았다.불법건축물은 단순한 법규 위반에 그치지 않는다. 도시 경관을 훼손하고,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
2025.10.31 -
건축계소식 10월 2025.10
이달의 법령정보아시아 건축사·건축인 2만 명, 건축 100년의 청사진 제시 제21차 인천 아시아건축사대회 개막 국민 삶 바꾸는 공공전문가인 건축사 역할 재조명 아시아 건축 기술 공유하고 K-건축의 우수성 알려건축사의 전문성과 공공성을 바탕으로 다음 100년의 청사진을 제시한 ‘제21차 인천 아시아건축사대회’가 개막했다. 11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 전시홀에서 개막한 아시아건축사대회는 아시아 건축계 최대 규모의 축제로 국내에서 17년 만에 개최됐다.이날 행사에는 대회를 주최한 대한건축사협회 김재록 회장과 공동 주최한 인천광역시 유정복 시장, 아시아 24개국 건축사단체인 아시아건축사협의회 사이푸딘 아메드 회장, 건축사들의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 이상경 제1차관, 정일영 국회의원,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윤학수 수..
2025.10.31 -
건축사가 그려낸 선의 가치 2025.9
The Value of Goodness Drawn by Architects 많은 분들이 이미 들어보셨을 수 있지만, 디자인 업계에 몇 가지 일화들이 있다. 유명 패션 브랜드 로고를 디자인한 디자이너가 100만 달러를 청구하고 받았다는 이야기와, 은행 로고를 디자인한 디자이너는 회의 중에 5분 만에 그려낸 디자인으로 150만 달러를 받았다는 이야기이다. 심지어는 5분이 아닌 30초 만에 그려낸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30초를 강조하는 이유는, 보다 짧은 시간에 엄청난 가치를 만들어냈음을 강조하는 것인 동시에 “30초에 완성하기 위해 30년을 준비한 것이다”라는 인상 깊은 문장을 만들어내기 위함인 것 같다. 유명한 예술가의 회화작품이 전시되는 경우 “이런 그림은 나도 그리겠다”라는 이야기를 종..
2025.09.30 -
아이 엠 키라_“건축이 주는 따뜻한 영향력을 확장하고 싶습니다” 소상용 건축사 2025.9
건축사사무소 비전은? 사람마다 고유한 지문이 있듯, 건축사마다 자신만의 건축 세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건축주 역시 내면에 자신만의 건축을 품고 있다고 믿습니다. 다만 그것이 뚜렷하지 않거나, 건축적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모를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당신의 이야기를 건축 공간으로’라는 표현을 좋아합니다. 이것이 제가 지향하는 건축 철학이자 소아키 건축사사무소의 비전입니다.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은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사무소 개소 직후에 진행했던 첫 번째 프로젝트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운이 좋게 개소 직후 첫 번째 건축주를 빠르게 만났습니다. 개인적인 인연이 없었음에도 저를 믿고 프로젝트를 맡겨주신 것에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우 섬세하고 꼼꼼한 스타일의 건축주와 함께 일하며..
2025.09.30 -
아이 엠 키라_“문화와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지속가능하며 미래지향적인 공간 설계 목표” 김선미 건축사 2025.9
I AM KIRA Q. 건축사사무소의 미션과 비전은? ‘건축사사무소 루단’은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간 창출을 목표로 합니다.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중점을 두고, 건축주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며 전문가로서 건축의 중심을 잡고 있습니다. 동료 건축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하고 있기도 합니다. 장기적으로 이런 경험이 밑거름으로 작용해 건축분야 발전에 기여하면 좋겠습니다. 다양한 문화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그럼에도 가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의미 있는 건축, 그것이 루단의 비전이자 미션입니다. Q.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은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동료 건축사인 오혜영 건축사(주.건축사사무소 하이어)와 함께 진행했던 대전 청소년종합복지센..
2025.09.30 -
임진우의 '감성풍경화첩' 2025.9
그ㄹ 임진우건축사 Lim, Jinwoo (주)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2025.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