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House(306)
-
탑클라우드 포레 2024.1
TOPCLOUD FORET 이 프로젝트는 대지의 위치와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시작된 분양 프로젝트이다. 소비자적 시각에서 대지의 활용가치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시대적 주거형태, 환경, 서비스 시설 등의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시작한 타운하우스이다. 공원이 감싸고 있는 대지의 형태와 지형, 자연 특성 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건물의 배치에 있어서 3면의 개방성을 가지며, 대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각각의 건물이 갖고 있는 정형화된 건축의 단조로움은 대지의 효과적인 사용과 더불어 시각적 피로함을 덜어내면서도 입면 재료 분할과 볼륨감 부여로 각도에 따라 형태적인 개성을 느낄 수 있도록 계획했다. 2층 발코니와 개방된 옥상 발코니는 거주자에게 풍부한 경관을 제공하고, 단독주택의 개방감과 합리적인 ..
2024.01.31 -
회원 첫 작품_유유재 2024.1
YUYUJAE - A Tranquil House 유유재(𤘜有齋)_고요하게 자리한 집 배경(背景)을 살피다_ 도․농 경계부에 위치한 집 순천은 수려한 자연을 가진 거대한 정원이다. 철새의 낙원 순천만, 드넓은 황금빛 논과 밭, 한국의 산지승원 선암사. 자연 풍경과 함께하는 도시, 순천의 지역 거주민은 문 앞을 나서는 순간 커다란 마당이자 정원과 마주하게 된다. 도시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단계에서 부지에 주어진 다양한 차원의 배경(背景)을 먼저 살폈다. 특히 유유재(𤘜有齋)가 자리 잡은 동네는 도시 끝자락에 위치하여 도시와 농경지의 경계라는 도시적 맥락을 바탕으로 한다. 도시와 농경지의 상반된 풍경, 상반된 밀도 경계에 위치해 시각적 배경을 누리고 담아낸다. 기능은 전형적인 상가주택으로, 학업과 직장으로 인해..
2024.01.31 -
강화바람언덕 협동조합주택 2023.12
Ganghwa House Complex 강화도 산마을고등학교 학부모 몇 분의 발의로 시작해,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의 도움과 참여로 최종 12가구의 가족이 모여 함께 부지를 물색하고 예산을 마련, 마을의 정체성과 지향하는 모습 등을 구체화해 가며 3년여의 노력 끝에 결실을 거두어 완성된 협동조합형 마을이다. 첫째로 조합원들이 주체가 되어 직접 참여하고 검증해 평생 거주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주택을 건립하고, 둘째로 조합원 각각의 개별적 거주와 더불어 함께 사는 공동체 환경이 발휘될 수 있는 마을 공간을 만들며, 셋째로 배타적인 전원마을 조성이 아니라 기존 마을과의 관계를 소중히 하고 기회를 공유할 수 있는 마을을 만들고자 했다. 필지별로 분할된 각각의 집들의 조합이 아니라, 열두 집 모두 열려 연속된 경관..
2023.12.30 -
포레스트 에지 2023.12
Forest Edge 산 나무와 죽은 나무의 병치 포레스트 에지는 숲의 끝자락에 지어진 건축물이다. 농어촌 민박용 주택과 근린생활시설 두 개 동으로 이루어진 시설은 서양식 중목구조가 뼈대를 이룬다. 구조미가 강한 내부와 다르게, 외부는 주변 자연의 거칠기와 대비를 이루기 위하여 기하학적으로 단순하지만 명료한 덩어리로 완성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근생동의 경우 프리팹(PREFAB)으로 정밀하게 가공된 8개의 A-트러스들이 지붕면을 지지한다.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는 트러스 한변의 길이는 보편적인 서양식 목구조 구법의 생산 규격인 20피트(6,096㎜) 그대로다. 이 트러스들은 다시 4×8합판의 보편적인 생산 규격인 8피트, 즉 2,440밀리미터의 모듈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듯 공식화된 재료가 구축한..
2023.12.30 -
지산돌집 2023.12
Jisan stone house 지산돌집은 무등산 국립공원과 광주 도심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부지는 혼재된 가로경관과 협소한 삼각형이라는 제약조건을 지닌다. 클라이언트는 일상과 취미활동의 공존이 가능한 몇몇 부가기능과 함께 거주 영역의 안정감을 지킬 수 있도록 경계성이 공고한 집을 원했다. 이에 집의 구성은 1층 다이닝 키친 공간, 2~4층 주거 공간, 옥상 공간으로 구분되며 3개의 층위를 지니게 되었다. 느슨한 경계 스킵플로어를 통해 공간별 개방감을 확보하고 층간 이동의 부담을 줄였다. 또한, 안방과 화장실을 제외한 나머지 실은 유리 개구부를 두거나 최소한으로만 구획하여 느슨한 경계를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유연한 개입 협소한 여건으로 인해 계단을 중심으로 하는 콤팩트한 공간 분할과 병..
2023.12.30 -
고운동주택:열린덮개_No3 2023.11
OPEN COVER_No3 열린-덮개 전원주택지에서 개개인의 삶을 외부로 개방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상황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아졌다. 대지가 가진 각종 법규와 지침은 주택지 외부로의 열린(커뮤니티를 생성하기 좋은) 방향성을 갖고 있지만, 실제 주거하는 당사자들의 이해관계는 사뭇 다르다. 서로 다른 방향성에서 오는 부딪힘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열린-덮개를 제안했다. 파사드-반투과성 껍질 전면의 반듯하고 거대한 벽은 주변의 시선과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견고하게 서 있는 벽에 위화감을 느껴 쉽게 다가서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반투과성의 벽면으로 주변과의 중화를 노렸다. 직사각형 노출콘크리트 프레임의 진입구는 같은 맥락으로 거대한 정면에 대비하여 작은 끌림으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요소로..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