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House(306)
-
감솔채 2023.11
Three pines 감솔채는 ‘놀집’이다. 암벽등반, 서핑, 트레킹 등 산과 바다를 좋아하는 건축주는 일이 없을 때 잘 놀고 잘 쉬며 지금까지 해온 무언가를 버리고 앞으로 해야 할 무언가를 채울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공간인 ‘놀집’을 의뢰했다. 현장 방문 첫날, 이 땅의 낮은 언덕과 소나무에 손을 대지 못하겠다는 생각에 건축주에게 동의를 구하여 결과적으로 이 언덕은 집의 뒷마당이 되었다. 낮은 언덕을 몇 걸음 오르면 그곳에 일부 평평한 땅이 있어 마당이라 부르기 어색할 수 있으나, 이곳은 주택 내부, 실용적인 앞마당 등과 연결되는 생활에서 잠시 거리를 두고 사색할 수 있는 공간인 동시에 기존 집터의 형상이 그대로 보존된 대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외부공간으로서, 집이 들어서기 전 이 땅의 기억을 ..
2023.11.30 -
태민빌딩 2023.11
Taemin building 안행8길의 대로변 안쪽, 고즈넉하게 완산공원 도화봉의 풍경을 마주 보고 있는 대지는 다양한 채도의 회색으로 둘러싸여 있다. 건축주는 아이들이 어릴 때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 이 대지에 주택을 포함한 근생건축을 계획하기로 했다. 도화봉의 풍경을 최대한 차경으로 담으며, 주택과 근생의 시각적 개방과 분리를 조율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상리공생(相利共生) : 상호 작용을 통해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것 · 마을과 태민빌딩 _ 세월의 모습을 켜켜이 담고 있지만 정체되어 있는 안행8길. 튀지 않고 담백하게 주변과 조화를 이루면서 무게감 있는 건축물을 계획해 새로운 변화의 구심점을 만들고자 했다. 회색의 모노롱타일을 다양한 채도로 베이스 삼아 주변과 시각적인 밸런스를 살렸다. 날씨..
2023.11.30 -
몽하우스 2023.10
Mon house ‘무엇이 나를 미는지, 무엇이 나를 끌어당기는지’ 에 답이 있었고, 그렇게 시작되었다. 나다 건축사사무소의 첫 번째 프로젝트 ‘나의 집’ Mon house(몽하우스, 『몽 카페(신유진 저)』의 오마주). Prologue 모두 비슷하게 분할된 택지개발지구의 대지에서 어떤 공간을 만들어 낼 것인가. 상가주택이라고 하면 당연하게 떠오르는 이미지에서 어떻게 탈피할 것인가. 기본적인 조형미와 성능을 갖추면서도 상가로서의 가치와 주택으로서의 가치 모두를 충족시킬 방법은 무엇인가. 한정된 비용과 주어진 조건 안에서 치열하게 고민한 끝에 완성된 몽하우스는 지금도 계속 지어지는 중이다. 집을 지은 ‘나’를 떠나 집을 채워가는 ‘나’를 통해서 매일 지어지고 있다. 하늘을 소유하다_ 두 개의 마당 이 집에..
2023.10.31 -
연주가 2023.10
YEON-JU GA 신도시 택지지구의 단독주택지, 지구단위계획지침 내용은 지역에 상관없이 대체로 유사하다. 대부분 필지들은 반듯한 형태에 면적은 약 231~265제곱미터(70~80평) 내외, 단지 내 도로 폭은 6미터 내외로 균질하며, 그런 이유로 작은 필지들이 이웃하여 유사한 집들이 연속되는 동네 풍경이 된다. 주차장 2면과 대지경계선 이격 거리, 일조권 사선이격 규정을 지킨 후 남은 땅은 작은 마당이 되고, 집은 그 마당을 면해 기역(ㄱ) 자나 일자형으로 배치된다. 지붕의 경사도, 주요 재료, 집의 색감까지 지침을 지켜야 하는 현실에서 법령이 정한 기준과 틀은 지키면서 주변 환경에 신선한 자극과 긍정적 환기가 되는 집을 목표로 했던 것이 설계의 출발점이었다. 건축주가 원한 집의 조건은 대략 다음과 같..
2023.10.31 -
장하우스 2023.10
JANG HOUSE 대지는 아직 개발의 바람이 닿지 않은 양평의 한적한 산지 지형의 능선이다. 5년 지기인 건축주는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함께 해온 분으로, 자신의 여생을 평안히 오가며 보낼 수 있는 세컨드하우스 겸 소장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갤러리를 의뢰했다. 여러 요구 조건을 기반으로, 대지를 매입하는 과정부터 설계, 감리, 완공까지 2년여의 여정을 함께 하며 모든 순간을 기록해 왔다. 건축은 과정의 예술이기에, 다양한 가치가 휘발되지 않도록 모든 순간들을 아카이빙하여 영롱한 결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대지는 남향의 언덕이며, 1,322제곱미터(400평) 가량의 경사지를 옹벽화하고 성토해 대지의 기반을 조성했다. 마스터플랜 설계에서는 배치의 여러 요구 조건들을 고려해 대지를 편집하고 의미를 부여..
2023.10.31 -
담빛95 2023.10
Dambit95 대지 여건 지인이 담양군소재지 근거리에 위치한 택지개발지구 내 단독필지를 구입했다. 6미터 전면도로에 접한 부지는 직사각형 형태로 애매한 경계선을 갖는다. 내심 주변 경관, 자연조건을 이용해 콘셉트를 만들어 내리라 생각했던 기대는 차분히 내려앉았다. 어떤 이야기들을 만들어 내지? 건축주 이야기 건축주는 친한 대학 동기로, 나름 열심히 살았던 흔적들을 정리하고 이곳에 터를 잡아 2막을 시작하려 했다. 부부와 딸, 타지에서 지내며 주말에 오는 아들 2명이 거주하며, 이중 대장은 딸이다. 각자의 취미가 있어 이에 필요한 영역과 공동의 생활공간, 마당, 텃밭 등이 필요했다. 디자인 프로세스 장방형의 대지는 여러 대안을 모색하게 했다. 결과적으로 북서측에 매스, 남측에 마당이 있는 안으로 결정했다..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