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House(306)
-
영월 네모난 집 2023.8
The 'Square House' in Yeongwol 땅과 집 영월 주택은 귀촌을 꿈꾸는 아들이 고향에서 거주하는 부모님과 함께 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건축 부지를 구입하며 시작됐다. 건축주는 집을 지을 땅을 찾기 위해 1년 가량 건축사와 함께 영월읍 중심가의 많은 대지를 둘러보았으나 적당한 장소를 찾지 못했다. 그러던 중 마지막으로 찾아 매입한 땅이 현재 집이 지어진 대지이다. 기존에 찾던 읍내 중심가에서는 조금 떨어졌지만, 뒤편으로 병풍같이 펼쳐진 산과 강의 풍경을 배경으로 가진 집이 지어지게 되었다. 집과 마당 대지 주변에는 건물이 없고 시각적으로 수평적인 느낌이 강해서 땅 위로 구축되는 네모난 집이 주변과 잘 어우러질 수 있도록 낮고 넓게 계획했다. 낮고 넓게 만들어진 이 집은 가운데 마당을 두..
2023.08.18 -
고덕동 상가주택ⅠTimeless 2023.8
Godeok TimelessⅠ 요즘 생겨나는 신도시 상가주택들의 모습을 보면, 수익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임대형 상가주택들은 대부분 법적 제한사항과 각종 지침으로 대부분 비슷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규제로 인해 비슷한 모습을 만들어내는 건축들은 스스로 아이덴티티를 찾아야 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거주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는 ‘심플(Simple)’을 중심으로 접근했다. 평면 역시 단순한 동선과 기능을 갖도록 구성했으며, 허투루 만들어진 공간 하나 없게 모든 공간에 빛과 바람이 잘 들도록 계획했다. 옆 필지의 건물조차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건물의 설계가 진행되기 때문에 오히려 도시가 아닌 건물에 집중하여 스스로 완결되는 디자인을 추구했다. 이는 맨 처음 생각한 아이덴티티가 있는 집으로..
2023.08.18 -
회원첫작품_이리루 2023.8
IRIRU 이리루는 두 개의 누마루가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건축주가 직접 지은 이름이다. 비록 264제곱미터(80평) 남짓한 소규모 한옥이지만, 다층건물, 복합용도로 고밀도 도시에 적응하는 한옥으로서 현명한 해법을 찾는데 의미 있는 작업이 되었다. 배치와 구성 대지는 두 개의 직선과 동그랗게 말린 곡선이 만든 부채꼴 모양이다. 동·서·북 방향으로 세 개의 인접대지와 맞닿아 있고, 남향 습지공원과 경계를 만들면서 전면도로가 지나고 있다. 길 건너에는 사계절마다 옷을 갈아 있는 ‘습지공원’과 동북방향으로는 2층 정도 높이에서 공원 넘어 멀리 ‘북한산’ 전경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설계 조건은 명확했다. 한 지붕, 작은집 세 채. 지상 1층에 게스트하우스 운영을 위한 두 채 ‘하심채’와 ‘운유루’, 지상 2층에..
2023.08.18 -
플라잉하우스 2023.7
FLYING HOUSE 자연을 실은 비행선 이 주택의 주인은 젊은 비행사와 그의 가족이다. 그들의 비행 인생을 위한 미래의 보금자리가 인천국제공항에 인접한 이 신개발타운 위에 사뿐히 착륙한 것이다. 건축적 ‘비행’ ‘비행’이라는 비행사의 일상적 행위 특성을 한국전통건축의 조형적 특성인 ‘비상’과 연계해 시대적 은유성으로 번역하고 이를 상징성 있게 건축화함으로써 이 집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이 주택의 안마당 위에 떠있는 루마루 곡면지붕의 비상성, 그리고 움직임이 동결된 주택 전체 매스의 역동성은 비행사의 라이프스타일인 ‘비행’의 행위를 은유적으로 상징화한 건축적 조형요소들이다. 또한,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나는 일상적 불안정성을 상쇄하기 위해 거실을 땅에 직접 접촉하는 썬큰된, 한국전통건축의..
2023.07.24 -
연연재 2023.7
Light House 대지조건과 배치 능곡동의 단독주택 단지 내에 지어진 연연재는 단지 안쪽 깊숙이 자리 잡고 건너편 선사유적지와 마주하고 있다. 남쪽에는 학교가 위치하고 있어 학교에서의 시선을 차단하고자 하였고, 큰 도로로부터 등을 지도록 배치해 소음으로부터 보호받는 동시에 남쪽 하늘로 열리는 중정 마당이 만들어지도록 배치했다. 또한 가벽으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입면의 요소로 사용했다. 건물과 낮은 가벽 사이의 틈으로 들어오면 조경이 있는 작은 진입 마당이 이용자를 맞이한다. 1층은 주방과 식당, 그리고 홈 짐을 두어 중정 마당을 각 공간에서 사용하도록 했다. 2층은 아이들과 함께하는 거실 공간을 두고 각 방으로 나뉘는 형식이다. 거실은 천장 상부를 오픈하여 수직적 볼륨감을 갖는 공간이다. 남자아이의..
2023.07.24 -
우록리 주택 2023.6
Urok-ri House 2018년 1월의 어느 날, 가창면 우록리에 있는 부지로 현장조사를 갔다. 차를 타고 마을을 지나 그리 넓지 않은 길에 도착했다. 첫인상은 도로 공사로 인한 토목 옹벽이 주변 환경과 이질적이라는 느낌이었다. 그러나 주택이 들어설 곳으로 다다랐을 때, 눈에 들어오는 주변 산세는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계획의 시작은 대지가 갖는 강력한 경관과 건축주의 삶을 부족하지 않게 담을 수 있는 겸손한 공간을 준비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긴 수평적 프레임 속에 잔잔하고 따뜻한 삶을 담을 수 있게 하면서, 형태와 재료의 사용을 최소화해 주변에 스며들 수 있도록 노력했다. 특성은 북동쪽으로 열려있고 나머지 부분은 능선으로 둘러싸인 형상을 하고 있었다. 주된 경관의 방향은 북동쪽으로 향하고 있었..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