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House(306)
-
새솔동 단독주택Ⅰ2022.9
Saesoldong HouseⅠ 클라이언트와의 만남 2021년 6월, 예약 없이 회사로 갑작스레 방문한 건축주. 그의 첫마디는, 단독주택을 짓고 싶은데 잘 짓고 싶다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건축주들이 하는 말이다. 누군들 잘 짓고 싶어 하지 않을까! 불신의 건축시장에서 ‘난 당하지 말아야지’하는 건축주의 마음이 안타까울 뿐이었다. 이것저것 궁금한 점을 물어보고 돌아간 건축주는 역시나 한동안 뜸했다. 1개월 정도 지나서 다시 방문한 건축주는 저렴한 설계비와 집장사들의 집들 사이에서 고민했다고 한다. 이젠 그만 고민하고 우리와 같이하고 싶다고…. 집을 짓는 이유 아파트에서만 살아왔던 그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집에 대한 로망이 있었다. 은퇴할 나이가 다가오고 있고, 편하지만 이런저런 문제점이 있는 아..
2023.02.23 -
지우네집(문호리 패시브 주택) 2022.9
Munho-ri Passive House 문호리 주택은 설계자 본인의 가족을 위한 3.2리터 패시브 주택으로 설계되었다. 가장 단순한 재료와 군더더기 없는 설계로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한 콘크리트 구조인데 플랫 슬래브를 적용하여 보를 없앴으며, 내부 벽은 가벽으로 구성하여 추후 다양한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오픈플랜으로 계획하였다. 내부 노출콘크리트는 유로폼을 적용하고 최소한의 보수를 거쳐 날것 그대로의 촉감을 드러냄과 동시에 패시브 주택으로서 축열의 성능을 시험하고자 하였다. 동남측으로 도로에 면해 있어 외부시선을 적절히 차단하면서도 햇빛을 충분히 끌어들이는 것이 본 계획안의 주안점이다. 기역(ㄱ)자 배치로 도로에서의 시선을 적절히 차단하고 1.6미터 높이의 금속담장을 설치하..
2023.02.23 -
묘각형주택 2022.8
Cat-tagonal House 맥락이 부재한 땅 처음 동천동을 방문했을 때 땅 주변은 토지 조성을 위한 토목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토목 공사로 각종 중장비들이 오가는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이제 겨우 윤곽을 드러낸 땅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건축사가 그러하듯 건축을 고민하는 가장 첫 출발은 땅을 통해서 그 주변을 이해하고 적절한 개입을 찾는 일일 것이다. 우리가 기존까지 건축을 수행하며 땅에 기댔던 나름의 원칙들은 이제 막 개발된 주택 단지 안의 토지 위에서는 적용이 어려워 보였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미 여러 차례에 걸쳐 주변의 주택 단지들이 조성을 마치고 있었고 우리가 건축을 수행할 땅 주변의 모습도 1년 후 어떤 모습으로 변해 있을지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능했다. 땅 계약을 마..
2023.02.22 -
명륜동 네박공집 2022.8
Myeongryun-dong four-perforated roof 하마비(下馬碑) 오래된 동네는 뭔가 다르다. 동네 입구에는 하마비下馬碑(말을 타고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표시)가 있었고, 3.1운동 집결터 등의 안내문에서 이 동네의 역사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비석과 표식 외에 3~4층의 다세대 주택이 이미 점령한 동네는 어디에서도 역사를 읽을 수가 없었다. 서울 종로구 명륜동이다…. 산업화 이후 1990년대까지, 우리의 오래된 동네들이 이렇게 변했다. 이 오래된 동네에 현재 우리의 삶은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나? 이 프로젝트는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집합주택의 연접 방법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이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모여 살기 두 필지가 연접해 있는 부지는 사업성을 위해 ..
2023.02.22 -
닫힌집, 열린집 2022.8
Closed house, open house 닫힌집, 열린집. -고향으로 회귀하는 이를 위한 주택 고향 지금 우리 사회는 자신의 인생을 열심히 살아온 많은 이들이 은퇴 또는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 그들 중 몇몇은 고향으로 돌아가서 남은 자신의 인생을 살아보고자 고민하는 이들이 있을 것이다. 이 주택은 울산의 도심에서 열심히 인생을 살아온 건축주 부부가 고민 끝에 남편의 시골 고향으로 돌아가 주택을 지어 살면서 고향 마을에 의미 있는 일을 하고자 하는 계획을 가지고 출발한 프로젝트이다. 집 그리고 문학관 건축주는 도심의 삶을 좋아하고 시골의 삶을 낯설어 한다. 시골의 삶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안전이었다. 설계 의뢰 당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타인이 집안을 쉽게 보거나 들어 올 수 없는 구조였다...
2023.02.22 -
SONG HOUSE 2022.8
SONG HOUSE 닮지 않은 형제 건축주는 함께 회사를 운영하는 형제다. 형은 다양한 취미 생활을 하며 삶을 즐기고, 동생은 가정적이며 단란한 가족생활에 집중하고 있었다. 동탄 2신도시 단독주택지는 한때 유행했던 땅콩집처럼 1필지 2가구 이하의 다가구를 허용하고 있었고, 이에 토지를 매입한 건축주는 형제로서의 왕래를 유지하면서 각자의 삶을 독립적으로 만들고 싶었다. 형은 본인의 취미 생활과 더불어 지인들과의 교류 공간을 핵심으로 생각했으며, 동생은 가족 구성원 3명만을 위한 집이 되길 바랐다. 떨어져서 본 형제의 모습은 여러모로 다르다. 취미, 가족, 성격 등 어느 것 하나 비슷한 구석이 없어 보였지만, 긴 호흡으로 설계를 거듭 진행할수록 결국 그들은 형제구나 하고 체감하게 된다. 완벽한 반전형 땅콩집..
202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