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House(306)
-
ASI 2024.7
ASI STAY ‘머무르다’, ‘남다’라는 뜻을 가진 영문 단어 스테이(STAY)는 언제부터인가 ‘감각적인 숙소’라는 뜻을 대신하는 명사가 되었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스테이가 호텔, 펜션, 풀빌라 등의 다양한 숙소 형태를 벗어나 새롭게 독자적인 시장으로 인식될 수 있는 이유와 소비되는 이유를 다시금 고민해 봤다. 스테이는 결국 모든 게 갖추어진 일세(전·월세와 같은) 기준의 단독주택이 아닐까 생각한다. 많은 이들이 각자 자신만의 주택을 짓고 살기를 꿈꾸지만,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건축사를 고용하고, 시공과정을 함께하는 것은 경험적으로도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차별화된 시장의 매력 포인트가 생기는 게 아닐까 싶었다. 스테이 시장을 통해 한 집이..
2024.07.31 -
ALC 패시브하우스 동락(同樂) 2024.6
ALC Passibe House Dong-nak 2.1리터 패시브하우스의 의미 가장 추운 날 새벽에 보일러를 30분정도 가동한 후 그 날은 더 이상 보일러가 가동될 일이 없는 주택. 즉 에너지 소요량을 적게 하려는 주택을 뜻한다. 이런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밀/열교차단은 기본이고 외부전동블라인드, 전열교환기를 설치했다. 그 결과 외부 기온 변화에 쉽게 대응하고 실내공기질이 건전하다. 준공 후 인터뷰한 건축주는 “평소 쾌적한 것은 말할 것 없고, 특히 봄과 가을에는 이보다 더 좋은 주택이 있을까 하는 생각으로 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런 실내의 쾌적함은 오로지 경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준공 후 실증(열교·기밀·실내공기질 등)을 통한 금산패시브하우스 성능 확인 준공 1년 이후 연중 가장 추울..
2024.06.30 -
정다운 집 2024.6
A friendly house 건축주는 결혼을 앞두고 있는 예비 신혼부부였다. ‘정다운집’은 남편이 아내에게 선물한 로맨틱한 건물명이다. 부부는 아파트 대신 집을 짓는 것을 선택해 조금은 다른 라이프 스타일을 만들고 싶어했고, 이에 맞춰 설계를 진행했다. 계획부터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까지 대지가 가지고 있는 형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프로젝트였다. 좁고, 꺾이고, 여유 공간이 없는 대지. 하지만 건축주의 니즈와 시공사의 원활한 진행으로 깔끔하면서 간결한 외관을 가진 건축물을 만들게 되었다. 건축주들은 작지만 외부에서 바비큐가 가능한 3층의 작은 중정과 주차 걱정 없는 1층 주차장을 원했다. 이렇게 건축주들의 요구사항을 듣고, 그 대지에 맞게 잘 풀어내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오는 듯하다. 예전의 건물이 ..
2024.06.30 -
월락동 여러 집 2024.6
Collective House 느슨한 연결 전라북도 남원시 도심 외곽에 놓인 대지는 북쪽으로 도로와 아파트 단지를 면하고 남쪽으로 지리산과 논밭을 향해 열려있다. 매입한 대지에 여러 해 동안 농사를 짓고 가금류를 키워 온 건축주는 저층 상업시설과 상부 공동 주거로 이루어진 건물을 계획했는데, 이는 건축주가 운영하는 의료시설 직원에게 복지 주택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1층에 들어오는 상업시설이 북쪽 도로로부터 적정 거리에 놓이는 동시에 여러 주호가 동등한 경관과 향을 누릴 수 있도록 건물은 남쪽을 주향으로 삼은 후 대지 경계선에 맞게 조율됐다. 규모에 비해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건물은 몇 번의 분절을 통해 전체와 부분이 입체적이고 느슨한 관계를 맺는 점에서 도심지의 소규모 복합용도 건물의 수직적이고 ..
2024.06.30 -
오 마이 북 2024.5
Oh! My Book 시골 책방_Oh! My Book 남측으로는 청도 남산이 펼쳐지고 북으로는 화양읍이 눈에 들어오는 대지에 ‘시골 책방’ 콘셉트의 서점과 카페, 주인장의 주거공간 프로젝트이다. 건축주는 ‘책방’을 모티브로 화양읍 일대의 젊은 부부, 청년들의 문화 공간이자 소통의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이 공간은 실제 여러 엄마들의 교류 장소가 되었고, 마당은 아이들의 놀이터, 저녁엔 아빠들의 사랑방이 되었다. 청도읍성과 가까이 있어 지역 외 사람들의 방문도 잦다. 배치 ‘책과 카페’라는 특성을 고려해 주 도로에서 마당을 숨기고, 건물 내부는 마당으로 열었다. 남산 방향으로 열린 마당은 파고라와 목재데크를 계획하여, 서점과 카페의 특성상 실내 분위기와 맞지 않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행위들은 옥외..
2024.05.31 -
분강리 주택 2024.4
Bungang-li House 목조주택의 상품화 교외의 전원주택은 많은 이들이 꿈꾸는 주거 방식이지만, 막상 지어보면 현실적인 어려움이 다수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건물과 관련된 부분으로 보자면, 높은 공사비와 유지관리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현장 제작 방식의 비중이 전통적으로 높은 국내 건설업에서는 비용 관리의 개선과 공사비의 효율적인 산정이 여전히 어려운 편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북미식 경골 목구조를 토대로 하여, 효율적인 공사비 산정을 위해 극대화된 박스 형태와 외쪽 경사지붕을 도입함으로써 형태와 구법, 비용 산정에 있어 ‘의도적인 심플함’을 계획했다. 결과적으로 유지관리에도 용이하면서, 동일 규모와 스펙의 콘크리트 건축물에 비해 70~80%의 비용으로 건물을 완공할 수 있었다. 대지 ..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