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229)
-
심락재 2019.10
Simrakjae 심락재는 평면이 스킵플로어로 구성돼 있다. 단순히 레벨만 움직이지 않고 건물의 방향도 같이 바뀌는 구조기 때문에 공간의 독립성도 충분히 유지되고 있다. 현관으로 들어오면 가족들의 중심 공간인 대청과 식당을 만나게 되고, 반층 올라서면 양쪽으로 나누어 배치된 침실공간인 안방과 자녀방을 볼 수 있다. 2층은 가족실과 다락이 있고 지하는 두 개의 레벨로 나누어 반지하층과 선큰이 있는 지하층을 배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한옥은 태생적으로 레벨 변화에 잘 적응하는 구조적 특성이 있어 경사지에서 스킵플로 구조 적용은 매우 효과적이다. 심락재는 한옥의 내외부의 연속성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다. 한옥의 아름다운 구조가 외부에서 느낀 것과 같이 내부에서도 구조의 흐름이 단절 되지 않고 연속성이 유지되..
2023.01.05 -
구천일호 2019.10
No.9001 하천(구덕천)을 끼고 구덕산 끝자락인 아담한 숲을 배경으로 한다. 소음과 먼지 나는 대로변에서 골목으로 1분 남짓 들어서면 만나는데 저소득층 세입자들의 주거지역이다. 그러나 그 앞으로 흐르는 보잘 것 없는 얕은 개울물이 맑고, 작은 물고기 떼들을 보게 되는 의외의 장소다. 아틀리에는 하천으로 면하고 2, 3층이 주택이다. 원룸형식의 방 하나를 별채개념으로 독립시킨 것은 쓸모에 대한 선택의 여지를 두기 위함이다. 대문을 지나 오르는 계단과 옥외복도까지는 외부로부터 1차적으로 보호받는 준 사적공간이자 2채의 공용공간이 되고 여기서 2채가 분리된다. 외부계단의 상부공간은 다시 2층 주택의 내부계단이 중첩되고 다락방이 있는 옥상데크까지 이어진다. 이 동선은 길과 같은 흐름과 시각적 연속성으로 거..
2023.01.05 -
꽃_놀이집 2019.10
Flower nori house 아파트의 전세금은 오르고 단독주택은 저평가되고 있다. 건축주는 더 이상 남들의 시선을 의식한 삶 대신 자신과 가족을 위해 작지만 풍요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하기로 했다. 기존 거주지에서 내려다보일 만큼 가까운 곳에 작은 땅을 구입하고 설계를 시작했는데 막상 따져보니 각 층당 최소 40제곱미터 이상을 지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구입한 땅은 좁은 도로확보를 위해 10제곱미터 이상의 땅을 떼어 주어야 했다. 협소주택 중의 협소주택 처음 생각과 달리 가용할 면적이 작아지면서 주어진 공간을 최대한 사용하기 위한 협소주택 설계가 필요했다. 구조 벽으로 사용하는 벽량을 최소화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자투리 공간을 이용하여 가구를 설치하면서 가전제품을 넣은 가구를 만들었다. 가변형 벽체와 포..
2023.01.05 -
이이정(異二庭) 2019.9
IIjeong 주변에 다가구 주택들이 즐비한 울산의 근교도시에 부모님을 위한 임대형 상가주택을 신축하는데 있어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울산의 외곽 도심이면서 KTX 역세권 주변인 언양이라는 곳에 자리한 대상 부지는 인구가 많지 않은 덕분에 택지가 형성된지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나대지들이 많이 남아 있다. 최근에 다가구 주택들이 대상 부지 주변을 둘러싸고 많이 신축됐다. 주변의 다가구 주택들과 상업시설을 비롯한 우리의 도시 근교 건축물들은 모두 숨 막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근교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중심도시에 지어지는 건축물과 차별성 없이 계획되어 장소의 특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근교도시의 임대형 상가 주택에 중용적 공간 성격을 가진 마당을 만들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
2023.01.04 -
흥동주택 : 화이트파빌리온 2019.9
Heung-dong House : White Pavilion 전원의 주택단지에 집을 짓는 것은 아파트로부터의 탈출과 자연과 만남의 의미를 가진다. 이 자연과의 만남 상황은 흥동 주택에서 공간을 만들어가는 실마리가 된다. 자연과의 접점 공간을 잠재적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의 연결부, 또는 확장부에 파빌리온 공간을 만들었다. 이 공간은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를 맺어준다. 이곳을 거쳐서 내부로 들어가고, 이곳을 거쳐야지만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이 주택은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아도 루버로 만들어진 파빌리온을 감지할 수 있고 이곳은 형태이기도 하고 공간이기도 하다. 내부 공간은 두 개의 생활공간으로 들띄우고 그 사이에 빛을 담아냈다. 이 빛은 생활의 방향을 제시하고 공간의 흐름을 이끈다. 층 ..
2023.01.04 -
달_놀이집 2019.9
Myungryun Dong Dal_nori House 달_놀이집은 한 가정과 집주인의 사무소, 그리고 마을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되는 218제곱미터(66평)의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이다. 지하와 지상 1층은 사무소의 회의공간이자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2층은 집주인의 사무실로, 3층과 4층은 부부와 두 아들의 주택이다. 건축주의 사무실로 사용되는 지하층과 1층, 2층은 대지의 높낮이를 이용하여 반층씩 올라가며 공간이 확장되는 스킵플로어 형식을 사용했다. 1층의 공간은 높이가 다른 두 개의 공간이 마치 극장식 카페를 연상시키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다시 폴딩창을 통해 뒷마당으로 공간이 연속적으로 흘러간다. 3, 4층은 두 아이와 건축주 부부의 단독주택으로 협소한 공간 활용을 위해 여러 가지 아..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