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229)
-
밀양(密陽) 햇살 담은 집2018.06
Maison De Soleil 도시 이름부터 타는 듯한 햇살이 느껴지는 밀양(密陽). 그곳에 고성능, 고단열 패널을 주 구조재로 사용하는 SIP 공법으로 패시브하우스의 5가지 요소(고단열, 고기밀, 고성능창 호, 열회수환기, 열교없는 디테일)을 확보하여 그 햇살을 적절히 이용한 ‘햇살 담은 집’이 지어졌다. 대지가 배산임수에 더 없이 좋은 언덕에 위치한 탓에 남쪽으로는 탁 트인 평야가 한눈에 들어오고 동서로는 아담한 산이 감싸고 있다. 이 대지 최고의 장점인 경치를 담아내는 것 은 대지가 주는 당연한 숙제였다. 남쪽 거실과 안방에 큰 창을 내 시원한 경치를 담음과 동시에 겨울에는 햇빛을 최대한 받아들이고 여름에는 외부 블라인드로 햇살을 차단함으 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동쪽으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
2022.12.02 -
공원을 품은 집 2018.06
House with a garden 건축주는 빛이 잘드는 거실이 있는 주택을 원했다. 3면에는 인접한 주택들과 동쪽으로는 도로 건녀편에 근린공원이 있는 대지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면서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해 야 했다. 동쪽의 근린공원 쪽으로 거실과 주방이 있는 공용공간과 안방공간으로 구성된 별채 사이로 중 정형의 아늑한 마당을 가진 배치를 계획했다. 외장 재료는 유지관리가 편하며 건물의 형태에 잘 어울리도록 청고벽돌과 백고벽돌을 이용했 다. 본채는 거실과 주방, 2층의 방이 있으며, 별채는 부부가 사용하는 안방과 드레스룸으로 이 루어져 있다. 모든 실에 큰 창문을 배치해 공원의 사계절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남쪽에 위치 한 별채는 단층으로 낮추어 중정에 빛이 충분히 들어올 수 있도록 고려했다..
2022.12.02 -
화암동 주택 2018.04
Hwaamdong House 화암동 232 이 대지는 북측과 서측에 이웃 주택이 자리하고 남동측에 작은 도로를 맞댄 이형적 다각형 컨텍스트를 지니고 있다. 대지의 독특한 형태를 활용한 ‘ㄱ’자 형태의 매스와 그것에 안긴 형태의 정원을 배치하면서 거실과 안방에서의 조망을 확보하였다. 서측에는 안방과 방, 드레스룸, 욕실 등 정적인 공간, 동측에는 거실과 주방과 같은 동적인 공간을 배치하고 현관과 계단을 통해 각각의 영역을 분리시키고 각 방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거실과 주방이 함께 최대한정원을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거실과 2층 가족실, 주방 상부의 다락의 상호 공간들은 거실이 소통의 매개체이며 오히려 주공간은 2층의 가족실과 특이한 다락을 위하여 포진한다. 아울러 다락이라기 보다 들려진(띄워진) 레벨..
2022.12.01 -
연희동 주택 2022.11
Yenhuidong House 오래된 단독주택의 새 옷 갈아입기 연희동 주택은 준공된 지 꽤 오래된 집이다. 건축주 부부는 오래된 집의 매력에 끌려 신축하지 않고 살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3명의 아이들과 부부가 함께 생활하기에는 공간이 다소 작고, 공간의 크기에 비하여 방의 개수가 많아서 실내는 어둡고 답답한 느낌이다. 가족들은 밝은 집, 공부하기 좋은 카페 같은 집,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마당이 있는 집을 원했다. 일주일에 1회, 가끔은 2회의 회의와 매 회의 때마다 5명의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이 바뀌기는 했지만, 회의가 거듭될수록 집에 대한 기대로 가득 차는 가족들의 모습을 보면서 기꺼이 즐겁게 진행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고정관념 깨기 지상 1층에는 거실과 주방이 있고, 2층에는 침..
2022.11.14 -
테트리스하우스 2022.11
Tetris House 하나이면서 셋 건축주의 첫 번째 요구사항은 210제곱미터의 대지에 건폐율 60%를 최대한 활용하여 2층짜리 건물을 짓되, 세 가구가 살 수 있는 건물을 설계해 달라는 것이었다. 은퇴하신 부모님과 미혼인 아들, 자녀가 둘 있는 딸 부부, 그리고 임대 세대까지 이렇게 세 가구를 위한 공간을 설계하는 것이 우리들의 숙제였다. 보통 은퇴하신 부모님을 중심으로 3대가 모여 사는 집일 경우 하나의 주거 공간 속에서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며 가족들이 함께 살 공간들을 마련해 주는 것이 일반적인데, 율현동 주택 건축주의 경우 부모님과 딸 부부가 완전히 분리된 세대가 되기를 원하였고, 또한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임대 세대까지 있어서 제한된 건축면적에서 어떻게 하면 세 가구를 효율적으로 분배해 ..
2022.11.14 -
연가 2018.02
Connected House “4대가 어우러지는 두 가구의 집.” “각각의 공간에 대한 프라이버시는 지켜주되, 모든 구성원이 같이 식사할 수 있고 세대가 어우러질 수 있는 집.” “2,450㎡의 넓은 대지, 개발이 시작된 단지에 처음 들어서는 집.” 허투루 집을 짓고 싶지는 않다는 건축주의 이러한 요구는 어쩌면 당연한 것인데도 흔히 단지형 전원주택이라는 건축에서는 쉽지만은 않은 요구였다. 우선 남향으로 주향을 잡고, 두 세대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내부공간으로 연결되어지며 마당과 중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배치했다. 두 개의 현관을 두어 세대를 분리했으며 내부의 복도와 계단을 통한 동선의 끝에 각각의 실을 두어 공간을 완성했다. 그렇게 완성된 두 집은 하나의 연결통로를 통해 한 집이 되도록 했다. 전..
202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