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이야기(84)
-
아파트 재건축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2025.7
Strategies for successful apartment reconstruction projects Ⅰ. 글의 첫머리에 아파트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공동주택 형태로,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거주하는 주거 공간이다. 아파트는 주거의 안정성과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주거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도시화가 진행되고 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아파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아파트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노후화되는 과정을 피할 수 없다. 노후화는 단순히 외관의 문제를 넘어서 건물의 안전성과 거주 환경의 질을 악화시키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증가시키며, 주민들의 주거 만족도는 낮아지고, 생활의 질도 떨어진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
2025.07.31 -
건축물 사용승인의 법적 문제 2025.6
Legal issues concerning Approval for Use of Building Ⅰ. 글의 첫머리에 건축물의 사용승인은 건축법상 중요한 절차로서, 건축물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종 확인 단계이다.1) 이는 단순히 물리적 완공을 넘어 건축물의 사용이 법적, 기능적, 환경적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건축물의 사용이 공공의 안전과 복리를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절차로 자리 잡고 있다.사용승인 절차는 건축물의 법적 지위와 그 활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건축물의 소유자, 사용자 및 일반 대중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현대의 건축물은 그 규모와 복잡성이 커지고, 다양한 용도와 기능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전성, 편의성 및 환경..
2025.06.30 -
건축물의 대지와 도로의 관계 2025.5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site and roads Ⅰ. 글의 첫머리에 건축법 제4장은 ‘건축물의 대지와 도로’라는 제목으로 대지와 도로의 관계, 토지 굴착부분에 대한 조치 등을 규정하고 있다. 제40조(대지의 안전 등), 제41조(토지 굴착 부분에 대한 조치 등), 제42조(대지의 조경), 제43조(공개 공지 등의 확보), 제44조(대지와 도로의 관계), 제45조(도로의 지정·폐지 또는 변경), 제46조(건축선의 지정), 제47조(건축선에 따른 건축제한) 등의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이다.건축물의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에 관한 건축법 제44조 내지 제47조의 각 규정들의 취지는 건축물 이용자의 통행상의 편의뿐만 아니라 유사시의 피난상, 소방상, 위생상 안전한 상태를 유지, 보..
2025.05.31 -
건축공사감리자의 업무상 주의의무의 범위와 한계 2025.4
The scope and limits of construction supervisors’ duty of care Ⅰ. 글의 첫머리에 건축공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공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부실공사는 사람의 생명과 신체에 위해를 가하기 때문에, 건축공사에 대해 엄격한 경찰법적 규제를 가한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공사업자가 제대로 공사를 하여야 하고, 감리자는 시공과정을 철저하게 감리하여야 한다. 건축설계 자체가 잘못되거나 구조계산을 잘못해서 부실공사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 이런 경우는 드물다. 설계비에 비해 감리비는 상대적으로 큰 금액이 아니기 때문에 감리업무에 큰 비중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고, 건축주나 시공회사, 설계자와의 관계 때문에 객관적으로 엄격한 기준에 따라 철..
2025.04.30 -
건축공사도급계약을 둘러싼 분쟁 해결방안 2025.3
Solutions to disputes over Construction Contract Ⅰ. 글의 첫머리에 건축공사를 건축주가 직접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대부분의 건축공사는 건축주가 공사업자에게 맡겨서 진행된다. 건축주는 건축에 대해 문외한이므로 모든 것을 공사업자에게 맡기고, 공사도급계약서도 대충 작성하고 계약 단계에서 하나씩 꼼꼼하게 따지지 않고, 가급적 싸게 해준다는 말만 믿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막상 공사를 시작하면, 공사업자는 당초 약속했던 공사기간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계약서에 없는 사항을 이야기하면서 공사대금의 증액을 요구하고, 부실공사를 계속한다. 건축주와 끊임없는 다툼이 계속되면서, 심지어는 공사업자가 공사를 중지해버리는 사례도 있다.건축공사도급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
2025.03.31 -
건축설계업무의 합법성과 적정성 2025.1
Legality and Appropriateness of Architectural Design Work Ⅰ. 글의 첫머리에 건축사의 가장 중요한 업무는 건축물의 설계와 감리라고 할 수 있다. 감리업무는 이미 설계가 완성되어 건축허가를 받은 다음 시공과정에서 설계도서대로 제대로 공사를 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임에 반하여, 설계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에 해당하기 때문에, 건축주와 설계자가 처음 단계에서 어떠한 건축물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 충분히 상의하고, 그에 따라 구체적이며 명확한 내용으로 설계계약서를 작성하고 설계에 착수해야 한다. 설계업무는 건축에 대한 인허가절차와 연관이 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허가와 개발행위허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인지 여부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설..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