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House(306)
-
신당동 테라스하우스 율담 2018.9
Terrace house you-dam 신당동 테라스하우스 율담의 대지는 서울시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역의 인상이 강하지만 드 문드문 사무실이 들어서 있는 골목길에 활기를 줄 수 있는 아름다운 집을 짓고자 하는 건축주 부부의 세밀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계획을 시작한다. 1층 전면의 근린생활시설은 복층으로 구성하여 내부계단으로 연결되고, 후면의 근린생활시설은 5평 의 작은 규모이지만 외부 데크와 마당으로 이어진 커다란 창문으로 답답함을 해소한다. 2층의 근린생 활시설에 배치된 테라스는 이웃집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채광과 통풍을 해결하는 공간이다. 4~5층의 복층구조로 이루어진 집은 5층에 주출입구를 배치하여 거실/식당/주방/아이방/서재를 배치하 고 높은 천장고로 만들어져 다락과 연결된다. 5층에는..
2022.12.07 -
이천시 행죽리 주택 2018.08
House of Icheon Haenjok-ri 이천평야의 어느 넓은 대지에 위치한 주택이다. 차량은 입구에서부터 대지안을 크게 돌아서 자연석담장을 따라 천천히 오르다가 하늘이 보이는 하얀색 목재루버밑을 지나 주차장에 다다른다. 층간에 수평선을 길게 배치해서 건물전체에 편안한 느낌을 주고자했다. 수평선 아래는 시원한 유리창으로 개방감을 주고 위로는 자유로운 곡선 벽체들과 사이의 유리창들로 조형미를 구성했다. 2층은 경쾌한 느낌을 주고자 은색파이프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마감했다. It is a house located on a large land Icheon Plain. Vehicle around the site goes up along the natural stone fence and reaches..
2022.12.06 -
마실 2018.08
MASIL MASIL : 마을 또는 이웃에 놀러다니는 일 북쪽에서 남쪽으로 길게 펼쳐지고, 경사가 있는 대지에 건축주는 자연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쉼의 공간을 만들 고자 했다. 자연과 함께 호흡하고, 제주의 주변마을과 어울리는 건물을 만들고자 성·절토를 최소화하고, 남향 을 고려해 최대한 일조량을 높일 수 있게 건물을 배치했다. 2개 동의 건물이 조형적으로 하나가 될 수 있도록 가벽을 설치하여 두개의 동(건물)을 연결하고, 주택과 근린생활시설이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건물 외벽을 태극문양의 곡선 형태로 만들어 자연스러움과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노력하면서도, 심플함과 모 던함을 통해 깔끔한 이미지를 추구했다. 외부 공간을 제주의 특색을 살려 현무암과 수목들로 구성했다. 보행 자 및 차량 동선은 구분하여 사용..
2022.12.06 -
허백당(虛白堂) 2018.08
HeoBaek-dang 허백당(虛白堂) : 비운 자리에 빛이 가득차는 집 “가족들이 건강하게 살고, 남을 배려하며 세상풍파에 휘둘리지 않으며 행복하게 사는 집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고운동 주택은 단아한 주택이 되면 건축주와 어울리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절제와 비워냄을 택 하였다. 정제되어 있는 면과 선으로 이루어지는 멋, 그것은 거짓과 욕심을 버려야 얻을 수 있는 인격과 통한다. 이 러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집에는 허백당(虛白堂) 집 이름을 지었다. 장자의 허실생백(虛室生白)이라는 글귀에 서 가져온 것인데 “비운 자리에 빛이 가득차는 집”이라는 뜻이었다. 안정된 정주공간을 만들기 위해 대지외곽으로 실을 둘러 배치하고 주택의 내부를 최대한 보호하였다. 사랑채 위계를 거실 개념으로 ..
2022.12.06 -
층층마당집 2018.08
CheungCheungMaDang-Jip 층층마당집 설계자 ┃ 허재봉 KIRA ┃ (주)티에이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주 심철의 / 감리자 주택용 _ 정웅 종합 건축사사무소 시공사 심철의 설계팀 김도영 대지위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산2로 37(동산동) 주요용도 다가구주택 / 대지면적 271.2㎡ 건축면적 162.5㎡ 연면적 465.41㎡ 건폐율 59.92% 용적률 171.62% 규모 지상 4층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재 Q블럭(고밀도시멘트벽돌)벽, 기와 내부마감재 강마루, 일반벽지, 물푸레나무내 부계단판, 창호(프로젝트창+이중미서기창) 설계기간 2017. 03 ~ 2017. 06 공사기간 2017. 07 ~ 2017. 12 사진 허재봉 구조분야 강영주 _ 광림구조이엔지(주) 기술사사무소 기계설비·전기..
2022.12.06 -
삼마당 집 2018.06
Three yard house 세종특별자치시 단독주택용지에 한국 전통한옥의 중정 공간 구조를 이미지화해서 설계된 3개 의 마당을 품은 집이다. 본채와 별채 사이에 중정을 설정하여 폐쇄적이지 않으면서 주택 내부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공간을 만들었다. 더불어 도로에서의 바라보는 주택의 외관도 고려했다. 본 채는 거실과 주방, 2층의 방으로 구성돼 있다. 남쪽의 별채는 단층으로 낮추어 중정을 통해 충 분한 빛을 유입시키고 부부가 사용하는 안방과 서재가 있다. 주택에는 생활패턴에 맞게 다양한 마당을 배치됐다. 먼저 중정형 안마당과 거주자가 서재에서 사용하는 전용 안마당이 있다. 마지막으로 담장이 없는 정원마당에서는 외부공간과 연결되어 자연스럽게 걸으며 소통할 수 있다. 지붕의 형태는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을 사용할..
202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