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Neighborhood Facility(150)
-
삼성동 AUTOCRYPT 보안연구센터 2024.9
AUTOCRYPT Security Research Center 대지는 삼성동 주거지역 내에 위치한다. 주변을 둘러보면 붉은 벽돌의 연와조 건물들이 모여 있다. 주거 건물들이 모인 골목길 모퉁이에 새롭게 놓일 한 회사의 연구센터가 잘 어우러지기를 바라는 생각에서 설계를 시작했다. 먼저 동네 분위기를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같은 재료인 벽돌을 사용하되, 차분한 모노톤으로 차별점을 두었다. 경사진 지형과 최대로 확보한 지하층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기단부가 형성되는데, 가장 먼저 마주하는 건물의 얼굴이 된다. 코너를 따라 흐르듯 배치하고, 메인 벽돌의 색상보다 한층 어두운 톤을 사용하여 분절된 매스들의 중심을 잡아준다. 같은 색상의 디자인 블록으로 중첩된 켜는 방향성을 만들어내 입구성..
2024.09.30 -
백설농부 2024.8
Baekseol Farm’s Cafe 농부의 정원과 닮은 백설농부 백설농부는 농부인 건축주가 지역 농부들과 상생을 도모하는 소매점 겸 카페, 그리고 정원이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 농부들의 연대를 강화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려는 건축주의 비전을 담아 세 가지 목표로 정리된다. 첫째, 건물 전체에 농부의 정서를 담아내는 것, 둘째, 정원을 위한 건축을 실현하는 것, 셋째, 정원의 오브제로서 건축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농부의 건축: 세련된 헛간의 재해석 세련된 헛간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글루램 중목 구조를 채택했다. 글루램 중목은 집성 접착된 목재로 높은 강도와 안정성을 지니며, 내부에서 아름다운 정원을 조망할 수 있는 대형 창을 구현할 수 있게 만든다. 노출된 글루램 중목 구조와 대형 창으..
2024.08.31 -
마야2024 2024.8
MAYA2024 위치와 조화 도심 안쪽 시골스러운 은근한 정취 속 변하지 않는 천변과 보문산, 식장산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이곳에 주택을 짓기로 한 이유는 접근성 좋은 도심 속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했다. 교통의 편리함과 더불어 병원 등 필수 시설과의 접근성과 도심 속 전원주택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외부와의 단절 없이 자연을 가까이할 수 있는 환경을 갖도록 했다. 사선의 활용 수평과 수직에서 벗어나 사선을 사용했다. 전면에 있는 창문 주변의 사선 요소는 건물에 깊이와 입체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사선 요소는 단순한 평면적 구성을 피하고 시각적으로 흥미를 갖게 하는 효과를 만들어내며, 건물에 생동감을 더한다. 또한, 사선이 만들어내는 그림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며 건물의 표정이 달라지도록..
2024.08.31 -
인텍빌딩 2024.8
INTEC BUILDING 용도에 따라 변화하는 건축 주거를 목적으로 해당 대지를 구입했던 건축주. 대지 검토 과정 초기에는 연남동 지구단위계획 지침상 저층 이외에는 주거 용도로 계획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우리는 주거 용도에 알맞은 동선 계획과 건축 디자인을 제안했다. 하지만 프로젝트 진행 중 연남동 지구단위계획 지침이 변경되어 전 층을 근린생활시설로 계획할 수 있게 되었고, 긴 고민 끝에 용도를 건축주의 사무실과 임대 공간으로 변경하여 새로운 공간 구성, 디자인으로 지금의 결과물을 선보이게 됐다. 시간과 비용 때문에 초기 디자인을 수정하지 않고 동일한 건물의 형상에서 용도 변경만 실행한다면 우리가 건축으로서 도시와 사람에게 제공하는 의미를 잃게 된다고 판단했다. 연남동 숲길에서의 인지성과..
2024.08.31 -
4x4 2024.7
4x4 건축주의 요청 사항은 명료했다. 묵직하고 유행을 타지 않으며 누구나 선호할 수 있는 디자인의 건축물. 그리고 건축사는 고민했다. ‘누구나 좋아할 수 있는 건축물은 무엇인가?’ 이 고민이 프로젝트의 시작이었다. 층층히 그리고 단단히 쉬워 보이는 듯 어려운 건축주의 의뢰 내용으로 건축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게 됐다. 인류는 수렵 생활을 청산하고 농경작을 시작하면서부터 자연에서 벗어나 그들만의 둥지를 만들기 시작했다. 원재료를 그대로 엮거나 쌓아 올려 자연으로부터 몸을 보호했고, 개체수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둥지를 지어왔다. 크레인 같은 기계가 없었기에 자신의 몸무게보다 무거운 재료를 작게 쪼개어 쌓는 방식으로 둥지의 크기를 키워냈다. 이렇듯 건축은 ‘쌓는 것’에서 태..
2024.07.31 -
그라스하우스 2024.7
Grass House 대지는 진주 혁신도시를 따라 흐르는 남강과 저류지 공원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윤슬을 타고 온 강바람과 강변 식생이 대지까지 밀려와 남강의 풍요로운 기운을 느끼게 하는 곳이다. 배치는 남서쪽 저류지 공원과 남강을 향해 열린 디귿(ㄷ)자로 계획했다. 남동쪽 인접 대지를 제외하고 3면이 경관녹지와 산책로로 둘러싸여 있는데, 인접 녹지공간과 건축물과의 관계를 다양하게 계획하여 대지의 환경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남서쪽의 소나무 군락지에는 공용공간을 가깝게 배치했다. 통창 너머로 소나무 군락을 바라보고, 소나무 사이로 큰 스케일의 풍경(저류지 공원과 남강)을 온종일 내려다볼 수 있도록 했다. 아기자기한 꽃나무로 조성된 북동쪽 녹지에는 주인 침실 영역을 배치해 아늑한 풍..
2024.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