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건축사(605)
-
[인터뷰] "고덕 ‘e편한세상 어반브릿지’ 23개 유닛으로 서로 다른 거주자들의 삶 존중" 건축사 전이서, 윤정현 2025.2
Godeok ‘Seoul e-pyunhansesang Urban Bridge’ Respecting the lives of different residents in 23 units 강동구에 위치한 서울 e편한세상 어반브릿지는 서울시와 SH공사가 민간 사업자 공모 방식으로 진행한 공동주택이다. 이 프로젝트는 2019년 설계 시작부터 2024년 준공까지 설계자, 사업주, 시공사가 긴밀히 협력하며 완성한 결과물로, 거주자의 삶을 존중하는 철학이 곳곳에 담겨 있다. 이 아파트는 연결의 공동체, 차이의 복합체, 스마트 반응체라는 세 가지 공동체 콘셉트를 중심으로 설계됐다. 담장을 없애고 건물 주동의 배치를 통해 전체를 하나로 느슨하게 묶으면서도 자연스러운 경계를 형성했다. 또한 23개의 유닛 설계를 통해 서로 비..
2025.02.28 -
환영가(桓煐家) 2025.2
Welcome House 건축을 결심하다 30대 초반의 젊은 부부는 아내의 꿈인 단독주택을 짓기로 결심했다. 줄곧 아파트 생활을 했던 남편과 달리 30여 년의 삶 중 10년 정도를 단독주택에 거주했던 아내는 결혼 후 오피스텔에 살게 되면서 집이 너무 답답하고 내 집 같지 않은 느낌이었다. 특히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의 소음을 들어가며 산다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 처음엔 아내가 원해서 막연하게 호응했던 남편도 건축 관련 일을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멋진 건물을 지어 살아보고 싶은 욕망을 갖게 되었다. 사실 부부는 대학에서 건축과 실내디자인을 전공했고, 남편은 건축 관련 공무원으로, 아내는 인테리어 설계를 직업으로 갖고 있었다. 부부는 수원시 구도심에 햇빛이 잘 드는 땅을 장만하고 건축사를 만나게 되었다...
2025.02.28 -
석수동 단독주택 및 카페 2025.2
Seoksu-dong detached house and cafe 석수동 단독주택 및 카페는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위치하며, 2021년 설계를 시작해 2023년 완공된 건물이다. 연면적 387.32제곱미터로 지상 1층부터 지상 3층, 다락층이 있는 규모이다. 지상 1층은 근린생활시설이 주를 이루며 주택 현관과 작은 홀이 함께 있다. 지상 2층부터는 주택이며, 외부 마당을 내부 공간들이 디귿(ㄷ)자로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3층의 내부공간 역시 디귿(ㄷ)자 형태로 마당을 둘러싸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예술공원에서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ㄷ’자 중정 형태의 마당을 만들었으며, 마당을 통해 집안 깊숙이 햇볕과 관악산의 풍경이 들어올 수 있게 했다. 1층의 카페는 입구 ..
2025.02.28 -
바이스트로닉 코리아 2025.2
Bystronic Korea Brand Experience Center 절삭기계체험관과 오피스 공간을 의뢰한 바이스트로닉(Bystronic)은 금속재의 절곡과 절삭 등의 레이저 커팅 기계를 제작하는 글로벌 스위스 회사다. 우리는 이 기업의 모토인 절곡(bending)과 절삭(cutting)이라는 특성을 기본 건축어휘로 사용하기로 했다. 먼저 총 필요공간을 산정해 건축면적과 매스를 형성했고, 가로에 적용하여 절곡 후 배치했다. 주 공간인 절삭기계체험관과 오피스 영역을 결정하고 나머지 보조 공간을 구분하여 매스를 절삭했고, 다시 높은 계단실을 삽입해 연결시켰다. 전체적으로 건물의 외관은 금속 덩어리처럼 보이는데, 가까이 다가가면 여러 개의 세로줄이 그어진 강판이 촉각을 자극한다. 보행자들의 주요 동선..
2025.02.28 -
물맑음수목원 숲 문화센터 2025.2
Forest cultural center of mulmaakeum arboretum 작품배경 남양주 물맑음 수목원은 첨단기술을 접목해 도서, 문화, 체험이 가능한 특화공간을 구축한다. 큰 개념에서 하나의 스토리라인 안에 두며 관람객의 집객과 분산의 역할을 담아낼 수 있는 공간구성을 고려했다. 특히, 남양주 물맑음수목원이 갖는 자연 지리적 특성과 주변현황을 고려하고 주변시설들과의 연계성을 염두에 둔다. 형질 변경을 최소화해 배치와 동선을 계획하고, 주변시설과 유기적 연계가 되도록 했다. 사업부지 북측 축령산 방향으로 배치 및 평면의 조망을 확보하고, 옥상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직원차량, 이용객 차량, 대중교통 이용자를 배려한 효율적 접근이 필요했다. 계획개념 - 지형에 순응하고, 형태..
2025.02.28 -
디어원 2025.2
DEAR’ONE 미즈메디 디어원은 전문 산후조리원으로 미즈메디병원이 늘어나는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고자 메디특구 지정을 위한 협의를 논의하면서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2020년 건축설계를 시작으로 시공자 선정, 공사, 그리고 사용 승인까지 만 4년의 시간이 걸렸다. 실시설계 중에 코로나 펜데믹이 시작되어 외국인 환자의 발길이 끊겼고, 시공 중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레미콘 파동이 일어나고 원자재값과 인건비가 급상승했으며, 건설계에 터진 PF사태 등을 겪어야 했고, 출생률 급감이라는 국가적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완공되었다. 사업 초기에는 외국인 환자 유치라는 사업적인 마인드로 접근했겠지만, 이러한 어려움이 지속되는 와중에도 병원 측은 분만과 난임 전문 병원으로서의 사명감을 갖고 본 사업을 완수했..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