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House(306)
-
리오넬과 루이하우스 2021.8
Lionel & Louis’ s House 집의 문 앞에는 애런 잭슨이라는 작가의 업싸이클링(Upcycling) 작품인 ‘리오넬’과 ‘루이’라는 캐릭터가 놓여 있다. 업사이클링은 업그레이드(Upgrade)와 리사이클링(Recycling)의 합성어로 재활용품을 이용해 새롭게 재구성했다는 뜻이다. 의뢰인은 부산 출신이지만 어머님을 모시고 서울로 올라와 사회생활을 시작했다고 한다. 상당히 오랜 시간을 서울에서 보낸 이후 중년이 되어서야 다시 어머님과 전원 속에 집을 짓고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면서 요리사로서 살아가는 제2의 인생을 꿈꾸고자 하였다. 의뢰인이 이 캐릭터의 이름으로 집의 이름을 지은 이유는, 도시를 벗어나 인적이 드문 전원 속에 집을 짓고 살아야 하기에 가족을 지켜주는 수호신 같은 요정이 함께하길 ..
2023.02.08 -
세덩이 안마당집 2021.8
Three mass courtyard house 단독주택 건축이 할 수 있는 것 아파트가 아닌 단독주택에서 실현할 수 있는 건축적 대안을 생각해 본다. 아파트처럼 면적을 기능에 최적화시키거나 공원 같은 커다란 조경공간을 가질 수는 없다. 단독주택은 작지만 거실에서 바로 나갈 수 있는 마당을 지닐 수 있고, 다섯 방향(천창포함)으로 창을 내어 빛과 경관을 내부로 끌어들일 수 있으며 수직으로 확장하는 뚫린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설계방향 설정 1. 도로면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2. 마당을 만들고 실내공간과 유기적으로 확장 또는 활용할 수 있게 만든다. 3. 내부공간은 밝고 넓게 보이게 한다. 4. 형태와 공간에 장식과 군더더기를 없앤다. 세 개의 덩어리(큰 덩어리 한 개와 작은 덩어리 두 개) 큰 ..
2023.02.08 -
가리봉동 다세대주택 2021.7
GARIBONG-DONG HOUSING 가리봉동 다세대주택이 자리 잡은 ‘구로동로’ 일대는 상업적 성격을 가진 폭 20미터의 왕복 4차선 도로에 면해, 비교적 많은 차량과 보행자가 통행하는 곳이다. 도로 주변으로 낙후된 건물이 많고 번잡한 환경으로 향후 정비가 요구되는 거리이다. 대지는 남북 방향으로 약 10% 정도의 경사가 있는 동서 방향의 긴 형태로, 일조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차로로부터 소음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돼 있어 이를 차단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했다. 1층에는 작은 소매점으로 이용될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하고 2층부터 5층까지 다세대주택 6세대를 배치했다. 4~5층에는 한 세대가 2개 층을 이용하는 ‘복층형 타입’ 2세대를 마련했다. 면적이 작은 대지의 특성상 콤팩트(compac..
2023.02.07 -
리오네즈 2021.7
LYONNAISE 대지에 그려진 선율… 고요함, 새들의 지저귐, 바람의 향기, 녹음, 실록, 예찬, 촉촉함, 자연, 정갈함, 정제됨, 정성, 배산임수, 위요감, 밀도, 수평성, 고즈넉함, 안식처, 청정, 투명함, 속도, 느림, 차분함, 원초성, 적막, 물아일체, 안빈낙도, 강호한정, 유유자적, 안분지족, 절제, 어머니, 사랑, 따스함, 온화함, 소박함, 섬세함…. 장인의 마음가짐으로 소중한 이들에게 따듯한 음식과 가치 있는 공간을 선물하고자 하는 건축주와 대지에 대한 첫인상을 기록해 두었던 단어들이다. 설계하는 과정과 감리하는 2년이라는 기간 동안 가슴과 머리에 항상 뿌리내렸던 가치들이다. 보통 건축행위를 이끌어가는 주된 인자는 합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것들이지만, 본 프로젝트에 임할 때는 위 단어들로..
2023.02.07 -
일곡동 단독주택 2021.8
Ilgok-dong House 외마당과 안마당 부지는 북향을 주 출입구로 두고 동측이 1.2미터가량 낮은 지형에 기존 단층 주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건폐율 40% 미만 지역에서 건축주가 요구하는 규모를 수용하기 위해 3개 층이 필요했으나, 3층의 높은 집보다는 다소 낮고 수평적인 비례의 집을 만들고자 했다. 때문에, 초기에 지하층을 가진 2층 규모로 검토했지만, 1.2미터의 낮은 지형차에서 지하 상부가 건폐율에 산정되는 문제가 있어 최종적으로 3층 집으로 결정하였다. 다만, 상부를 경쾌하게 처리하고 도로변에서 매스를 분절하는 방식으로 시각적 부담과 높이감을 상쇄시키기로 하였다. 건축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부지 내부에서도 어느 정도 사회적 마주침이 가능한 공간을 두기 위하여 각각의 성격이 다른 두 개의 마..
2023.02.07 -
꿈을 꾸는 家 2021.7
Dreaming House ‘꿈을 꾸는 家’는 강원도 원주시 혁신도시에 위치한 단독주택으로 건축주 부부와 아이 셋을 위한 공간이다. 집이란 장소는 가족 모두의 삶, 정체성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건축주 부부가 서울에서 강원도로 내려와 단독주택을 짓고 살게 된 이유도 부부와 삼남매가 집이란 장소에서 꿈을 꾸고 먼 훗날 소중한 추억, 기억들을 떠올릴 수 있는 가족 모두의 전 생애에 걸쳐 행복한 공간을 만들고자 함이었다. 삼남매의 성장기를 위한 주택으로, 공원으로 둘러싸인 대지는 그 자체로도 아이들에게 쉼터이자 놀이터가 된다. 건축은 다만 거들 뿐이다. 중정을 품은 스킵플로어 구조의 주방과 거실에서 공간과 자연의 변화를 함께 느낄 수 있고, 순환 동선의 내부 구조는 아이들이 우당탕 뛰어놀 때도 숨바꼭질을..
2023.02.07